[[분류:2023년 게임]][[분류:캡콤]][[분류:액션 게임]][[분류:PlayStation 5 게임]][[분류:Xbox Series X\|S 게임]][[분류:Xbox Play Anywhere]][[분류:Windows 게임]][[분류:Xbox Game Pass]][[분류:공룡 게임]][[분류:시간여행물]][[분류:차원이동물]] [include(틀:캡콤 주요 게임)] ||<-3>
{{{#ffffff {{{+1 '''엑조프라{{{#ff0000 이}}}멀'''}}}}}}[br]{{{#ffffff '''エグゾプライ{{{#ff0000 マ}}}ル'''}}}[br]{{{#ffffff '''EXOPRI{{{#ff0000 M}}}AL'''}}}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oprimal Box Art.jpg|width=100%]]}}} || || '''개발사''' ||<|2>[[캡콤|[[파일:캡콤 로고.svg|height=18&theme=light]][[파일:캡콤 로고 화이트.svg|height=18&theme=dark]]]] || || '''유통사''' || || '''장르''' ||[[3인칭]] 팀 대전형 매시브 [[액션]] || || '''엔진''' ||[[RE 엔진|[[파일:New RE Engine LOGO.jpg|height=80]]]] || || '''디렉터''' ||히라오카 타쿠로 || || '''프로듀서''' ||키요카와 이치로 || || '''발매일''' ||2023년 7월 14일 || || '''플랫폼''' ||[[PlayStation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4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PlayStation 5|[[파일:PlayStation 5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PlayStation 5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br][[Xbox One|[[파일:Xbox One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Xbox One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Xbox Series X\|S|[[파일:Xbox Series XS 로고 가로형.svg|height=16&theme=light]][[파일:Xbox Series XS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br][[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ESD''' ||[[PlayStation Network|[[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Microsoft Store|[[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height=16&theme=light]][[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height=16&theme=dark]]]][* [[Xbox Play Anywhere|[[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svg|height=25&theme=light]][[파일:Xbox Play Anywhere 로고 화이트.svg|height=25&theme=dark]]]]] | [[Steam|[[파일:스팀 로고.svg|height=16&theme=light]][[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height=16&theme=dark]]]]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width=20]] '''{{{#000,#ddd 15세 이용가}}}''']] || || '''홈페이지''' ||[[https://www.exoprimal.com/k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캡콤]]에서 2023년 7월 14일 발매한 PvPvE 멀티플레이를 지원하는 팀 대전형 매시브 3인칭 액션 게임. [[RE 엔진]]으로 개발되었다. [[크로스 플레이]]를 지원한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3>
'''{{{#fff 시스템 요}}}''''''{{{#ff0000 구}}}''' '''{{{#fff 사항}}}''' || || '''{{{#fff 구분}}}''' || '''{{{#fff 최소 사양}}}''' || '''{{{#fff 권장 사양}}}''' || || '''운영체제''' || Windows 10 Ver 20H2 64-bit || Windows 10 Ver 20H2, 11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7500[br]AMD Ryzen 3 1200 || Intel Core i7-8700K[br]AMD Ryzen 5 3600X || || '''메모리''' || 8 GB RAM || 16 GB RAM ||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50 Ti[br]AMD Radeon RX 560[br]4 GB of VRAM || NVIDIA GeForce GTX 1070[br]AMD Radeon RX 590 || || '''API''' ||<-2> DirectX 12 || || '''저장 공간''' ||<-2> 50 GB || ||<|2> '''추가 사항''' || ※그래픽 설정 「성능 우선」을 통해[br]1080p / 30fps의 게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그래픽 설정 「그래픽 우선」을 통해[br]1080p / 60fps의 게임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 ||<-2> ※부하가 큰 장면에서는 프레임 레이트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 == 스토리 == * [[https://youtu.be/svLDv7vdKSg|2분 만에 알아보는 엑조프라이멀 - 스토리 편]] >Suit up. Adapt. Survive >최흉을 최강으로 박살내라! 서기 2040년 갑자기 출현하는 공룡 떼에 의해 거리와 사람들이 습격당하는 현상, '공룡 재난'이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여 인류는 위기에 처해 있었다.​​ 하지만 아이비우스가 개발한 차세대 AI '리바이어던'으로 공룡 재난이 일어나는 장소를 특정하는 '공룡 예보'가 가능해졌으며, 더불어 공룡에 대항하기 위한 최신예 파워 슈트 '엑소 슈트'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었다. 엑소 슈트를 몸에 걸치고 공룡을 구축하는 인류의 희망 '엑소 파이터'. 당신은 이제 아이비우스의 파이터 적합 테스트를 응시하고, 엑소 파이터로서 공룡 재난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전투에 뛰어들게 된다. 3년간 처음 공룡대란이 일어난 빅키토아섬 상공을 정찰하는 수송선의 예비파일럿으로만 근무하던중 갑자기 수송선 정면에 발생한 시공이상에 휘말려 빅키토아섬으로 추락하게되고, 추락하는 와중 메인 파일럿은 부상을 입어 주인공이 엑소슈트를 입고 주변정찰을 하던 중 리바이어던에 의해 강제로 시공이동을 하게된다. 리바이이던은 여러 평행차원에서 엑소 파이터를 모아 5기씩 2팀으로 경쟁과 대결을 시키는 '워게임' 을 진행해 최고의 엑소슈트를 만들것이라며 주인공에게 싸울것을 강요하고, 다른 엑소파이터들의 도움을 받아 겨우겨우 생존한 후 리바이어던이 원래세계로 돌려보내줘 수송선으로 돌아오게된다. 수송선은 추락으로 많은 부품이 고장나 전혀 날 수 없는 상태고, 이후 수송선을 고칠때까진 주기적으로 워게임에 불려나가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는 상황. 다른 세계의 파일럿의 안내로 섬에서 죽어있는 어떤 박사의 시체에서 다른세계와 통신을 하게해주는 통신기를 찾아내고, 여러 파일럿팀과 소통하며 어떻게하면 살아남을 수 있을지 고민하게된다.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q4YyQrqEgs)]}}}||{{{#!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xmJ9Xq3lNo)]}}}|| || '''{{{#white 프로모션 영상}}}''' || '''{{{#white 개발자 인터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0oPS2jgkwI)]}}}||{{{#!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UTArkYfCJg)]}}}|| || '''{{{#white 게임 플레이 트레일러}}}''' || '''{{{#white 게임 플레이 프리뷰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3wp-zndh_I)]}}}||{{{#!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YD4pVKkwk4)]}}}|| || '''{{{#white 팀워크 게임 플레이 영상}}}''' || '''{{{#white PVP 게임플레이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Tvbou5YkQU)]}}}||{{{#!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i_fLgG3t9k)]}}}|| || '''{{{#white 공룡 소개 영상}}}''' || '''{{{#white 스토리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NaQbtCva6o)]}}}||{{{#!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VoTxGeueM4)]}}}|| || '''{{{#white 발매일 공개 트레일러}}}''' || '''{{{#white 게임 플레이 영상 [디렉터 해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VSVlPxRmWA)]}}}||{{{#!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WX1B_qXOjs)]}}}|| || '''{{{#white 엑소 슈트 트레일러}}}''' || '''{{{#white 몬헌 시리즈 개발자의 '엑조프라이멀' 체험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TPP9p0G9rQ)]}}}|| || '''{{{#white 런칭 트레일러}}}''' || == 게임 모드 == '''디노 서바이벌'''(Dino Survival)은 5명의 플레이어가 한 팀이 되어 5대5로 팀의 승패를 겨루게 된다. '리바이어던'이 제시하는 미션을 상대 팀보다 먼저 클리어하면 승리한다. 1차 오픈베타에서는 PVE 미션을 클리어한 뒤 최종적으로 상대 플레이어와 PVP를 펼치게 되는 구성이었는데, 이는 결국 PVE를 원하는 플레이어와 PVP를 원하는 플레이어 그 누구도 만족 시키지 못해 부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PVE 선호 플레이어는 결국 승패가 PVP로 정해지니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 PVP 선호 플레이어는 길고 지루한 PVE 미션을 선행해야 PVP를 할 수 있으니 재미를 느끼지 못했다. 이에 2023년 6월 13일, 캡콤 40주년을 맞아 공개된 캡콤 쇼케이스에서는 이러한 피드백을 수용해 상대 플레이어와의 직접적인 PVP 없이 PVE 미션의 클리어 속도만 겨루는 규칙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 엑소 슈트 == * [[https://youtu.be/0h1QkZREiR8|2분 만에 알아보는 엑조프라이멀 - 엑소 슈트 편]] '''Exosuits'''. 공룡에 대항하기 위한 최신예 파워 슈트 '엑소 슈트'. 엑소 슈트에는 '포지션'이라는 역할이 있으며 '어설트', '탱커', '서포터'의 3종류가 있다. 전투 중 언제든지 슈트를 바꿀 수 있으니 팀 편성이나 전투 상황에 따라 엑소 슈트를 변경하고 미션을 달성하자. ---- 탑승형 장비이지만 사지 구조의 인간형이라 그런지 파일럿과는 별개로 슈트 자체도 외형으로 성별이 구분된다. 관련 음성 대사 또한 슈트의 모델에 따라 성별에 맞는 음색으로 나오는 것이 특징. === 어설트 === '''Assault'''. 다양한 공격 수단으로 적을 구축해 나가는 슈트. 슈트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격 방법을 지녔으며, 각각 유효 거리나 범위가 다르다. 전투 상황에 따른 공격으로 적을 배제하고, 길을 개척해 주는 존재가 될 것이다. * 데드아이(Deadeye): 성우는 [[조 지자]]. 사격을 특기로 삼는 중원거리 전투형 슈트. 범용성이 뛰어나 기술이나 환경에 좌우되지 않는 성능을 지녔다. 돌격소총은 쟁반형 탄창이 총몸 위에 장전되는 형태나 사격시 탄창이 회전하는 연출에 있어 영락없는 [[루이스 경기관총]]의 [[사이언스 픽션|Sci-Fi]] 스타일인 게 특징이다. * 제퍼(Zephyr): 성우는 제이슨 리너 화이트(Jason Linere-White). 근접전에 특화된 고속 격투형 슈트. 슈트가 얇기 때문에 전투 중 이동하며 싸우려면 기술이 필요하다. * 버라지(Barrage): 성우는 어빙 그린(Irving Green). 수류탄을 퍼붓는 화력 특화형 슈트. 폭발이나 염상 효과를 활용할 수 있는 좁은 곳에서의 전투가 특기이다. * 비질런트(Vigilant): 원거리 저격이 특기인 슈트. 위치 선정과 정확한 저격 기술이 전투의 관건이다. 예고편 공개 시점에서는 어설트 포지션 중 [[홍일점|유일한 여성형 슈트.]] 다수의 소형 공룡들을 상대하는건 장점이 별로 없지만[* 다만 스킬 중 하나인 스팅어 샷이 일직선으로 굵은 빔을 날릴 수 있는데, 소형 공룡은 전부 관통하는데다 빔의 굵기가 엄청나기 때문에 소형 공룡이 일직선으로 몰려오는 상황에서 한 방 날릴 경우 그 어떤 엑소슈트도 따라할 수 없는 대몰살이 가능하다. 대형 공룡의 약점 위주로 사격하다가 쿨타임 찰 때마다 스팅어 샷을 적절히 날려주면 점수가 수천 단위로 폭증한다!] 대형 공룡을 얼려서 딜타이밍을 버는것과 PVP의 저격은 상당한 효과를 보여준다. === 탱커 === '''Tank'''. 적의 공격을 유도하여 약간의 대미지를 무릅쓰고, 동료를 지키는 믿음직한 슈트. 수많은 적이 밀려오는 장소나 돌진해 오는 공룡의 움직임을 멈추거나 하는 장면에서는 특히 팀의 선두에 서서 활약할 수 있을 것이다. ---- 예고편 공개 시점에서는 [[남초|여성형 슈트가 전혀 없는]] 포지션이다. * 로드블록(Roadblock): 성우는 [[데이브 B. 미첼]]. 내구성이 뛰어난 중량형 슈트, 거대한 방패로 아군을 보호하며 팀의 생존율을 높인다. 전반적으로 [[장기에프]]의 오마쥬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는데, 춤추는 자세부터 장기에프의 도발 자세와 동일하며 필살기 또한 장기에프의 [[더블 래리어트]]와 흡사하다. 방어성능으로는 가장 우월한 슈트이며, 전방의 공룡을 도발해 자신에게 공격을 집중시키는 기술이 있어 도발로 공룡을 한데 모은 뒤 근접공격을 가하거나 실드로 방어하는 사이 아군의 집중포화로 몰살시키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또한 트리케라톱스의 돌격을 실드로 정면에서 받아낼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방패에 온 힘을 다해 매달리는 동시에 숨겨져 있던 로켓 부스터가 튀어나와 앞으로 밀어내는 매우 파워풀한 연출은 덤. * 크리거(Krieger): 성우는 잭 레이저 호프먼(Zach Lazar Hoffman). 높은 제압력을 가진 중장비형 슈트. 슈트에 내장된 병기로 적의 접근을 막는다. 포지션은 탱커이나 순수 탱커보다는 딜탱으로서의 면모가 매우 강하다, 돔 실드는 랩터나 프테라노돈 같은 소형 공룡 다수를 상대로는 매우 유용하나 대형 공룡을 상대로는 시간을 오래끌지 못하고 실수로 보호막 생성 위치에 대형 공룡이 겹치면 바로 파괴되어 버려 보호막이 큰 효율이 없다. 대형 공룡을 상대로는 미사일 포드와 미니건을 활용해 최대한 빨리 갈아 버리는 식으로 대응해야 된다. 대신 레이드에서는 로드블록이 공중에서 날아오는 공격을 막을 방법이 없는 반면에 크리거는 돔으로 광범위 방어가 가능하므로 매우 큰 장점이 된다. * 무라사메(Murasame): 중간에 위치한 적을 절단하는 요격 특화형 슈트. 사정거리가 긴 칼로 주위의 적을 한번에 공격한다. 적의 공격을 받아치면서 동시에 광범위한 공격을 퍼붓는 트리키한 탱커다. 주요 기믹은 적의 공격을 방어하는 동시에 에너지를 흡수하다가 주변에 데미지를 입힌 후 일반 공격을 강화하는 것이므로 적 무라사메가 방어막을 켜고 에너지 흡수 태세일 경우 주의하자. === 서포터 === '''Support'''. 아군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슈트. 회복은 물론, 슈트 종류에 따라서는 적의 약화나 아군의 강화 등의 지원도 가능하다. 전투 능력은 낮지만, 지원 능력으로 팀이 전투하기 쉬운 상황을 만들어내 미션 달성에 공헌할 수 있다. ---- 예고편 공개 시점에서는 [[여초|여성형 슈트가 가장 많은]] 포지션이다. * 위치닥터(Witchdoctor): 성우는 지크 허드먼(Zeke Hardman). 아군과의 연계가 특기인 지원형 슈트. 아군이나 자신의 슈트를 수리하고 능력을 강화하여 싸운다. 공격 수단이라고 할만한건 근거리 범위에 아주 약한 데미지와 감전을 유발하는 전기찜질뿐이라 모든 엑소슈트 중 가장 수동적이고 공격 능력이 떨어지지만, 회복에 있어선 다른 서포터들을 능가한다. 서포터 포지션 중 [[청일점|유일한 남성형 슈트이다.]] * 스카이웨이브(Skywave): 성우는 [[던 M. 베넷]]. 비행 가능한 후방 지원형 슈트. 적의 행동을 방해하는 다양한 액티브 스킬이 있다. 힐러답게 물몸인데다 지상형 공룡들에게서 도망칠 수 있다 뿐이지 딱히 자유비행이 가능하거나 속도가 빠른 것도 아니므로 PVP에 들어가면 웬만하면 탱커 옆에 붙어있자. 적팀에 데드아이나 비질란테가 있을 경우 엄폐물 하나 없는 공중에서 느릿느릿 움직이다 순식간에 녹는다. * 님버스(Nimbus): 성우는 [[주디 앨리스 리]]. 두 종류의 총을 바꾸며 싸우는 지원형 슈트. 공격과 회복을 교묘하게 구사하며 전장을 교활하게 뛰어다닌다. 가장 공격적인 서포터다. 인라인 스케이트를 착용한것 같은 모습이지만 딱히 이동속도가 차이나진 않음. 이동용 스킬로 자신의 홀로그램을 내보낸 후 홀로그램 위치로 순간이동이 가능한데, 이 홀로그램은 이동중 아군 부활 비컨을 만나면 아군을 부활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다. == 리그 == '''Rig'''. 엑소 슈트의 추가 장비 '리그'. 엑소 슈트는 '리그'라고 불리는 추가 장비를 하나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공격 주체인 제퍼에 캐논을 장착해 원거리 공격도 가능하게 하거나 로드블록에 에이드를 장착해 끈질기게 전선에 계속 서는 등, '슈트×리그' 조합에 따라 장점을 더욱더 살리거나 단점을 보완하는 등, 자신이 원하는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리그는 슈트와 마찬가지로 전투 중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 캐논 : 강력한 레이저를 쏜다. * 에이드 : 착탄 지점에 회복 필드를 펼치는 에너지 탄을 쏜다. * 캐터펄트 : 이동 방향으로 재빠르게 부스트 점프를 한다. * 실드 : 다양한 공격을 막는 실드를 전방에 펼친다. * 드릴 피스트 : 순간 공격 후 거대한 드릴로 강력한 공격을 한다. * 블레이드 : 접촉한 적을 마비시키는 전자 수리검을 던진다 == 크래프트 == '''Craft'''. 필드에 설치하면 효과를 발휘하는 「크래프트」. 크래프트는 필드에 설치하여 전황을 유리하게 만들 수 있는 설치물. 게임 중 필드에 크래프트 칩이 출현하는데, 획득하면 크래프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매 게임 마다 한 종류의 크래프트만이 드랍되며 어떤 것이 드랍될 지는 랜덤하게 결정된다. * 월 : 높은 내구성을 가진 벽을 설치한다. 아군의 공격은 통과하고 적의 공격은 막는다. * 플랫폼 : 공중에 뜨는 발판을 설치한다. 높은 곳에서 유리한 전투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 포탑 : 레이저를 발사하는 대포를 설치한다. 일정 간격으로 전방의 적을 계속 공격한다. * 리페어 부스트 : 설치 지점을 중심으로 HP를 회복시켜주는 리페어 존을 형성한다. * 어택 부스트 : 설치 지점을 중심으로 공격력 부스트 존을 형성한다. 공격력을 20% 상승시킨다. == 적 == === 공룡 === * [[https://youtu.be/RXyaqO9LWP0|2분 만에 알아보는 엑조프라이멀 - 배틀&공룡 편]] '''Dinosaurs''' >'''과거 자연계의 최강 생물이 시공을 초월한 영향으로 광폭화.''' >역사상 가장 흉포한 존재인 공룡이 볼텍스를 통해 시공을 초월해 현대에 출현. >인류 최강인 엑소 슈트에 버금가는 전투 능력으로 덮쳐 온다. >- 홈페이지 설명문 * [[시노르니토사우루스]] 여러마리가 한꺼번에 플레이어에게 들러붙어서 이동속도를 감소시켜버린다. 데미지도 조금씩 들어와서 거슬리기 때문에 빨리 떼어내주어야 한다. * [[스테고사우루스]] 등에 있는 골판을 이용해 음파 공격을 가하는 공룡으로, 공격 범위 내에 있는 모든 플레이어들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스킬 사용을 봉쇄시킨다. 다른 대형공룡과 싸우는중이거나 소형공룡에 둘러쌓인 경우 굉장히 치명적이므로 등의 골판을 빨리 부숴 울부짖는걸 멈추게 해야한다. 울부짖을때 골판이 빛나는데, 이때 골판을 쏘면 쉽게 잡을 수 있다. * [[벨로키랍토르|랩터(벨로키랍토르)]] 크기로 알 수 있듯이 벨로키랍토르인지 확실하지 않다. 국내 웹사이트에서만 벨로키랍토르로 불린다. * [[프테라노돈]] 하늘을 날면서 공격해오는데, 그냥 방치하면 계속 심기를 불편하게해서 미리 잡아두는게 좋다. * [[안킬로사우루스]] 가까이 가면 꼬리를 휘두르거나 몸을 부딪히면서 공격한다. 역시 등은 딱딱해서 때려봤자 소용없고, 배 쪽을 쏴서 죽여야 한다. 뒷다리쪽이 그나마 데미지가 많이 들어간다. 뒤집혔을때 배를 때리면 딜 타이밍이기 때문에 이걸 잘 노려주자. * [[트리케라톱스]] 강력한 공룡 쪽에 속하고, 카르노타우루스 못지 않게 쎄다.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을 하면 플레이어는 제압당해버린다. 그대로 벽에 박으면 치명타다. 옆으로 굴러서 피해를 주는 스킬도 있고, 궁극기는 울부짖다가 앞발을 들어 찍어버린다. 미리 알면 대처가 쉽다. ~~가끔 가만히 안 있고 돌진하면서 멀리가버려서 딜을 제대로 못 넣으면 개빡친다.~~ * [[티라노사우루스]] 강력한 대형 공룡. 튜토리얼에서도 지금은 못 잡는다며 도망가버린다. 좀 진행을 하다보면 등장하게 되는데, 기본 공격은 그냥 물기이고, 스킬중에 도약하는게 있는데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엄청 높고 멀다. 궁극기를 쓰면 하늘을 봤다가 준비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이건 방패고 뭐고 다 뚫어서 플레이어를 물어버리고 즉사시킨다. 머리를 잘 노려주어야 한다. * [[파키케팔로사우루스]] 기를 모아서 플레이어를 향해 돌진한다.~~이거 맞고 낙사하면 골때린다~~ * [[딜로포사우루스]] [[딜로포사우루스(쥬라기 공원 시리즈)|쥬라기 공원]]에서처럼 목에는 목도리가 있고 독을 발사한다. * [[카르노타우루스]] 중형 공룡으로, 중간보스 포지션을 하고 있다. 머리를 잘 노려주면 수월하게 제압할 수 있다. * [[바리오닉스]] 게임플레이 영상이나 베타 시절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으나, 게임 메인 커버 이미지에서 파키케팔로사우루스 옆에 모습을 보였다. 버라지의 불 공격이 통하지 않고, 총에는 데미지를 더 받는다. * [[수코미무스]]: 바리오닉스와 함께 메인 커버 이미지에서 스테코사우루스 옆에 모습을 보인다. 얼음에 저항이 있는 것인지, 비질런트의 얼리기 스킬에도 얼지 않는다. 총에도 데미지를 덜 받는다. 버라지의 공격은 불이라 데미지를 많이 받는다. * [[데이노니쿠스]] 스피노사우루스와 마찬가지로 게임 플레이 모습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커버 이미지 카르노타우루스 위에 있다. 랩터와 달리 높은 곳에서 부터 활공을 해서 덮쳐온다. === 네오소어 === '''Neosaurs''' >'''체구와 능력이 이상화된 공룡 변이체.''' >모든 공룡은 볼텍스를 통해 시공을 초월하여 출현 시 불안정한 에너지 물질에 침식된다. >그 영향에 의해 공룡은 광폭화한다. >그중 함유량이 높은 공룡은 '네오소어'라고 불리며, 몸이 변이되어 일반 개체와는 다른 행동이나 공격 방법을 갖는다. >- 홈페이지 설명문 * 시노르니토사우루스 변이체 * 스텔스 네오소어: 기절하지 않으면 은신 상태로 엑소 파이터를 찾아다니며 엑소 파이터를 인지하면 달려들어 목도리마냥 둘러싸곤 전기를 방출, 일정 시간동안 무력화시킨다. 흐릿한형체는 보이니 방해기술을 사용하는걸 추천. * 아이스 네오소어 * 랩터 변이체 * 가스 네오소어: 붉은색 덩어리가 몸에 붙은 네오소어. 엑소 파이터에게 다가와 부풀어오른 후 자폭해 큰 데미지를 입힌다. * 스나이퍼 네오소어: 보라색 오브가 몸 주변을 맴도는 네오소어. 멀리서 엑소 파이터를 조준하고 세개의 탄환을 발사해 공격한다. 공격속도가 빠르진 않고 탄환은 발사 준비단계에 사격해서 없앨 수 있지만 근접 공룡을 처리하다가 눈치채지 못하면 따끔한 데미지에 깜짝 놀란다. * 프테라노돈 변이체 * 서먼 네오소어: 프테라돈인데 몸 색깔이 보랏빛과 연녹빛이 섞여 있는 게 특징. 일반 프테라노돈보다 더 체력이 높고 일정 주기로 포탈을 열어 추가 프테라노돈을 소환한다. * 플레임 네오소어 : 붉게 타오르는 날개를 가진 프테라노돈, 일정지역을 폭격하듯 불덩이를 던져댄다. * 네오 안킬로사우루스 * 네오 티라노사우루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ddd 플랫폼}}}''' || '''{{{#fff,#ddd 메타스코어}}}''' || '''{{{#fff,#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PlayStation 5|{{{#ffffff PS5}}}]]}}}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5, code=exoprimal, y=, score=6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5, code=exoprimal/user-reviews, r=, score=4.0)]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Xbox Series X|{{{#fff XSX}}}]]}}}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series-x, code=exoprimal, y=, score=7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series-x, code=exoprimal/user-reviews, r=, score=4.2)]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exoprimal, y=, score=6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exoprimal/user-reviews, r=, score=3.9)]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5224, title=exoprimal, rating=fair, average=69, recommend=33)] [include(틀:평가/Steam, code=1286320, rating=대체로 긍정적, percent=78, count=1\,279, rating2=-, percent2=-, count2=-, date=2023-07-22)] 공룡, 로봇, 슈팅 액션, 협력, 대전 등 게이머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요소들이 여럿 들어가 있는 게임이지만 정작 발매 후 평가는 그리 좋지 않은 편. 게임은 무조건 워게임 랜덤 매칭으로만 플레이하게 되는데 매칭된 플레이어의 레벨 중 가장 낮은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스토리 진행도가 결정되다보니 거의 튜토리얼 미션에 가까운 랩터->프테라->파키케->트리케 아님 카르노 사냥만 주구장창하게 되기 쉽고 다른 컨텐츠의 존재 자체를 알기가 어렵다. 특히 오픈 초기엔 10명중 한두명은 1렙 플레이어가 반드시 껴있어 두 시간 동안 같은 미션만 반복하다가 컨텐츠가 부족하다며 환불 요청을 한 플레이어도 종종 보일 정도. 꽤나 아이러니하게 랜덤 매칭과 초반 콘텐츠 반복은 지루하지만 레벨이 오르고 스토리 진행으로 풀리는 10인 레이드만큼은 이 게임의 진가라 평가받는데 타 플레이어의 도움을 받는 부활 외 자체 리스폰 횟수 제한으로 긴장감 있게 직관적인 패턴에 강렬한 연출의 [[몬스터 헌터 시리즈]] 같은 보스전을 치루거나 수천 마리의 공룡과 한꺼번에 싸우는 10인 레이드가 시간 경쟁 요소와 PVP 때문에 스트레스가 크던 일반 게임보다 더욱 재밌다는 호평이 많다. 그 외 1000여 마리의 랩터가 쏟아지고 다수의 대형 공룡과 위협적인 네오소어들이 몰려드는 등의 도전적인 PVE 미션들을 고레벨 때 경험할 수 있으나 10인 레이드처럼 고통에 가까운 저레벨 무한 반복을 견뎌야 하는 것이 이 게임의 제일 큰 문제이다. == 기타 == * 출시 당일 [[Xbox Game Pass]]에 게임이 등록된다. [[Xbox Game Pass/Day 1|발매 첫날부터 콘솔, PC, 클라우드에서 플레이]]가 가능하다. * 게임 장르는 한참 다르지만, 마찬가지로 [[캡콤]]에서 만든 공룡 게임이라는 특징 덕에 [[디노 크라이시스 시리즈]]를 떠올리기도 한다. 캡콤 측에서도 이를 의식했는지 작중 등장하는 여성 캐릭터인 마제스티의 외형은 디노 크라이시스 1·2편의 주인공인 [[디노 크라이시스 시리즈/등장 인물#s-1|레지나]]와 유사한 [[머리카락/빨간색|빨간]] 단발머리이다. 또한 메카닉이 등장하는 점과 대형 몬스터를 공략하는 3인칭 슈팅 액션이라는 점에서 과거 캡콤의 작품인 [[로스트 플래닛]] 시리즈가 연상된다는 반응도 있다. * 엑소 슈트의 이름과 개념은 물론 가동 방식마저 유사한 [[ANTHEM(게임)|ANTHEM]]이 떠오른다는 평이 꽤 있다. 단, ANTHEM은 [[루터 슈터]] 장르이나 본작은 [[히어로 슈터]] 장르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