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사출)]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ctoplasmer-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엑토플라즈마'''|| || 일어판 명칭 ||<-4>'''エクトプラズマー'''|| || 영어판 명칭 ||<-4>'''Ectoplasmer'''|| ||<-2> 필드 마법 || ||<-2>이 턴 플레이어는 2종류의 몬스터를 지명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공격력의 절반을 엑토플라즈마로 변환시킬 수 있다.|| 원작에서는 필드 마법 카드로서, 지정한 몬스터의 혼을 고통스럽게 분쇄하여 그 원혼으로 데미지를 주는 사악한 카드로 등장했다. 또한 현 OCG 효과와는 달리 현재 공격력 절반을 대미지로 준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 [[판도라(유희왕)|판도라]]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자신의 [[킬러돌]]과 [[블랙 매지션]]을 제물로 바쳐 대미지를 주려 했다. 원래대로라면 이걸로 피니시를 낼 생각이었으나, 대상으로 "블랙 매지션"을 지정했기 때문에 마침 동일한 카드를 내놓았던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에게도 권한이 있었고,[* 당시의 룰은 듀얼리스트 킹덤 시절의 [[TRPG]]식 룰을 예전만큼 광범위하게 채용한 것은 아니었지만, 여전히 일부 파트에서는 그러한 룰이 쓰이고 있었기에 발생한 일.][* OCG 룰로 이 상황을 재현하자면 원작 엑토플라즈마의 효과는 대충 '이 카드명의 1의 효과는 1턴에 2번밖에 발동할 수 없다. 1: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필드에서 릴리스된 몬스터와 같은 카드명의 몬스터를 릴리스하여 이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무효로 하지 않았을 경우, 릴리스한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만큼의 데미지를 준다.' 정도가 될 것이다.] 유우기의 블랙 매지션이 스스로의 의지로 자신을 제물로 바침으로서 엑토플라즈머의 대미지가 상쇄되어버린다. 이 때 어둠의 유우기는 판도라를 몬스터의 신뢰를 배신하는 비열한 녀석이라고 매도했...는데 똑같이 [[중강갑 거북|몬스터를 사출하는 몬스터]]를 쓴 유우기가 할 말은 아니다. 유우기는 자신의 몬스터의 영혼을 뽑아내 공격하는 이런 카드는 카드의 신뢰를 배신하는 것이라고 매도했다. 문제는 유우기 본인도 이러한 신념의 옳고그름을 떠나 '''[[중강갑 거북|비슷한 카드]]를 사용한 적이 있다는 것.''' 게다가 애니 기준으로는 한참 뒤에도 여전히 그 카드를 쓰고 있어 괴리감이 더 심하다. 그래서 유우기의 [[내로남불]]이라며 놀려먹는 소재 중 하나.[* 물론 똑같은 사출계 카드이기는 하지만 두 카드의 연출은 엄연히 다르다. 엑토플라즈머의 경우 '''몬스터의 영혼을 고통스럽게 추출하고 그것으로 공격'''하는 반면, 중강갑 거북은 그냥 몬스터가 중강갑 거북의 탄이 돼서 날아가는 것 뿐이다... 다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도마 편|도마 편]]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오리컬코스의 결계를 발동하고 비정해졌음을 나타내는 장치로 몬스터를 마구 사출하는 장면으로 표현된 적이 있다. 중장갑 거북은 원작에서는 정상적으로 쓰이다가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 때문에 의도치않게 이미지가 떡락한 케이스.] 이후 본선전을 앞두고 [[어둠의 바쿠라]]가 [[고스트 코츠즈카]]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것으로도 등장. [[폴터 가이스트(유희왕)|폴터 가이스트]]를 발동시킨 뒤 궁지로 몰아넣은 상황에서 이 카드로 피니시를 낸 것으로 묘사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듀얼로그가 더 상세히 묘사되어 코츠즈카가 [[악몽의 쇠창살]]을 발동해 바쿠라의 공격을 봉쇄했다고 한숨을 돌리고 있던 차에 발동한 뒤 [[사령 백작]]을 제물로 바쳐 피니시한 것으로 나온다.[* 여담으로 바쿠라는 이 카드를 드로우하자 혀를 차는데 그 이유는 '''좀더 놀고 싶었기 때문'''. 그럼에도 질질 끌지않고 바로 끝낸 것에서 바쿠라의 성격을 엿볼 수 있다.]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의 룰 상 [[라이트닝 보텍스|몬스터를 직접 파괴하거나]] [[파이어 볼(유희왕)|플레이어에게 직접 데미지를 주는 카드]]가 금지되어있으니 이 카드도 물론 사용 금지겠지만, [[판도라(유희왕)|판도라]]나 [[어둠의 바쿠라]]는 정식 참가자가 아니기 때문인지 상관 없이 덱에 투입한 것으로 보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의 정령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OCG 사양으로 사용. [[원한의 킬러돌]]과의 콤보로 연속해서 쥬다이에게 대미지를 주었다. 그 다음 턴 쥬다이는 [[엘리멘틀 히어로 클레이맨#클래이랩|클레이랩]]의 효과로 이 카드를 파괴하면서 성가신 이 카드를 어떻게든 대처해냈다. 문제는 '''파괴하지 않았으면 그냥 그 턴에 승리할 수 있었다.''' 당시 쥬다이는 필드가 비어있는 사이코 쇼커를 [[엘리멘틀 히어로 페더맨]]으로 직접 공격한 직후 엑토플라즈머의 효과로 총 1500 대미지를 준 상태였는데, 사이코 쇼커도 다음 턴에 비슷한 짓을 했으나 쥬다이의 라이프는 남아있었고, 무엇보다 필드가 비었다. 그 상태에서 쥬다이는 바로 다음 턴에 공격력 2000의 [[엘리멘틀 히어로 램파트 건맨]]을 융합 소환했으니, 이걸로 직접 공격하고 효과를 사용하면 그대로 피니시를 낼 수 있었던 것.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유희왕 엑토플라즈머.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엑토플라즈머, 일어판 명칭=エクトプラズマー, 영어판 명칭=Ectoplasmer,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한다. 턴 플레이어는 이하의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2=●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골라 릴리스하고\, 릴리스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양쪽 플레이어의 엔드 페이즈마다 그 플레이어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강제 [[사출]]시키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리니어 캐논]]의 지속 마법 버전. 매 턴 1장씩 릴리스하기 때문에 몬스터를 잘만 갖춘다면 지속적인 화력 요원으로서 활약해줄 수는 있다. 동시에 릴리스 가능한 몬스터가 있을 경우 턴 플레이어는 반드시 릴리스해서 데미지를 줘야만 하기에 간접적인 제거 요원으로서의 성능도 겸비하고 있다. 지속 화력 요원으로 활용할 경우 릴리스할 몬스터를 매 턴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지속 마법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부활하는 [[원한의 킬러돌]]과 상성이 좋다. [[사령왕 도하스라]]와 필드 마법을 조합시킨다면 그 높은 타점을 이용해 상당한 데미지를 뽑아낼 수 있다. [[성각]] 역시 릴리스를 통해 벽 몬스터를 꺼낼 수 있는데다, 이 카드가 참조하는 수치도 원래 공격력인 덕분에 성각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드래곤족 몬스터를 사출시켜서 나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하고도 특히 상성이 좋은데, 즉석에서 어드밴티지를 회복하고 상대의 저항을 대비할 수 있는데다, 자신을 사출시켜도 1500 데미지는 줄 수가 있다. [[종말의 기사]] 등으로 잽싸게 2장 확보해서 교대해가며 되살리고, [[원한의 킬러돌]]의 상위호환이나 다름없는 히트앤런 전법도 가능해진다. 펜듈럼 덱이라면 펜듈럼 존에 펜듈럼 몬스터가 갖춰져 있는 이상 매 턴 릴리스 요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효과 데미지 방지 대책이 갖춰진 [[DD(유희왕/카드군)|DD]] 테마는 일방적인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으니 나름 궁합이 좋은 편. 다만 상대도 펜듈럼 덱이라면 역이용당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 번 효과를 무시하고 제거 카드로서 채용할 경우, 몬스터가 존재하면 반드시 릴리스해야된다는 점이 난관이 된다. 몬스터를 전개하지 않는 덱이라면 채용해볼 수 있을지도. 또한 이 카드를 깔아놓고 여러 턴을 버티다 보면 이 카드의 효과로 자신 필드가 비어버리기 쉬운데다, 상대도 이 효과를 계속해서 써올 테니 오히려 사용자 본인이 얻어맞는 꼴이 되기 십상이다. 여러모로 상성을 많이 타는 카드. 이 카드의 효과는 대상 지정이 아니며, 엔드 페이즈에 효과 발동시 체인 블록을 생성하여 효과 처리시에 릴리스할 몬스터를 고른다. [[통혼의 주술]] 등을 발동한다면 이 효과의 발동시에 체인해서 발동하게 된다.[* 단 엑토플라즈머의 컨트롤러가 자신일 경우 자신의 카드 효과로 취급되기 때문에 자신 쪽이 통혼의 주술로 떠넘기는 전술은 불가능하다.] 데미지 기준이 되는 원래 공격력은 묘지에서 참조한다. 따라서 원래 공격력이 0이나 ?인 몬스터를 릴리스하면 당연히 데미지도 0이 된다.[* 2021년 1월 22일자 재정.] 다만 원래 공격력이 정해진 [[토큰(유희왕)|몬스터 토큰]]이나 [[함정 몬스터]]를 릴리스했을 경우, 묘지에서 몬스터로 존재하는 개념이 아님에도 그 데미지는 엄연히 발생하게 되어 있으므로 주의할 것.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은 코스트가 아닌 효과이기 때문에 마법 효과 내성을 가진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는 없다. 반대로 말하자면 [[호루스의 흑염룡#호루스의 흑염룡 LV6|호루스의 흑염룡 LV6]] 같은 카드를 지정해서 강제 릴리스를 피해가는 꼼수가 가능하다는 것. 이는 다른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있어도 써먹을 수 있는 전법이니 쓸 때 알아두면 좋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4-05-2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OD-JP043 | '''[[듀얼리스트의 투혼|SOUL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5-1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7-JP023 | [[무적의 요새|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守護神の砦]]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12-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3-JP043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07-03-0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12-JP023 | [[암흑의 주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暗闇の呪縛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7-0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5AY-JPB24 | [[결투왕의 기억|15周年記念商品 決闘王の記憶 - 決闘都市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10-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OD-EN043 | '''[[듀얼리스트의 투혼|SOUL OF THE DUELIS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6-05-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7-EN023 | [[무적의 요새|STRUCTURE DECK INVINCIBLE FORTRES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6-11-2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3-EN043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10-0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CYW-EN175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11-1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GLD-ENB24 | [[결투왕의 기억|YUGI'S LEGENDARY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11-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OD-KR043 | '''[[듀얼리스트의 투혼]]'''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 || ||<(> 2007-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7-KR023 | [[무적의 요새|스트럭처 덱 - 무적의 요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8-07-0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3-KR043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8-08-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5AY-KRB24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배틀 시티 편 - 스페셜 세트]]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기타 === * 2019년 5월경엔 뜬금없이 [[영혼 보내기]]를 조롱하는 짤로 유행했다. == 관련 카드 == === [[원한의 킬러돌]] === === [[중강갑 거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