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탈리아 공산당 제6대 서기장[br]{{{+1 엔리코 베를링구에르}}}[br]Enrico Berlingu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55748021475.jpg|width=100%]]}}} || ||<|2> '''출생''' ||[[1922년]] [[5월 25일]] || ||[[이탈리아 왕국]] [[사르데냐]] [[사사리(이탈리아)|사사리]] || ||<|2> '''사망''' ||[[1984년]] [[6월 11일]] (향년 62세) || ||[[이탈리아]] [[베네토]] [[파도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가족''' ||자녀 4명 || || '''종교''' ||[[무종교]] ([[무신론]]) || || '''소속 정당''' ||[include(틀:이탈리아 공산당)] || || '''주요 약력''' ||[[이탈리아 공산당]] 청년 연합회 위원장[br][[이탈리아]] 하원 의원 (5선)[br][[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 || || '''서명''' ||<-2>{{{#!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EnricoBerlinguerSign.svg|width=15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의 정치인. [[이탈리아 공산당]]의 서기장을 무려 12년간 역임하였다. 이 시기 이탈리아 공산당은 그야말로 최전성기로, 베를링구에르 서기장이 급사한 이후 공산당도 서서히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이 때문에 그는 이탈리아 내에서는 공산주의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 생애 == [[1922년]] [[사르데냐]]에서 [[귀족]]의 자제로 태어났다. 그의 사촌은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기독교민주당]]의 당수이자 후일 [[이탈리아 대통령]]까지 오르게 되는 [[프란체스코 코시가]]였고 할아버지는 [[주세페 가리발디]]의 절친한 친구로 당연히 베를링구에르도 보수적인 환경에서 자라났다. 그러나 [[1937년]] [[반파시즘]] 운동을 접하고 감명을 받아 [[1943년]] [[이탈리아 공산당]]에 입당해 [[무솔리니]]에 반대하는 [[폭동]]에 참여했다가 잠깐 구속되었고, 아버지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비교적 진보적인 성향이었던 아버지가 그를 공산당의 당수였던 [[팔미로 톨리아티]]에게 소개해줬고 그 인연으로 베를링구에르는 공산당의 열성당원으로 승승장구하게 된다. [[1968년]] 그는 [[로마]] 지역구의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얼마 안가 루이지 롱고 [[서기장]]이 서기장직을 사퇴하자 학생 운동과 [[1957년]] [[소련]] 방문으로 유명해져있던 베를링구에르는 공산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공산당 내의 반소파, 온건론자로서 소련의 외교 정책을 비판하고 [[중국 공산당]]과의 관계 단절 역시 거절했다. 또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회동을 가지고, 이탈리아 [[가톨릭]]계와도 친선 조약을 맺는 파격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1973년]]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불가리아]]에서 그는 [[교통사고]]로 위장된 소련의 암살시도로 죽을 위기에 내몰렸지만 오히려 이로 인해 이탈리아 시민들에 의해 베를링구에르와 공산당이 소련과 다르다는 인상을 주어 지지율이 올라갔다. [[1976년]] 총선에서 공산당을 주도로 한 정권 교체가 진지하게 제기되었고 막판 [[우파]]와 [[중도좌파]]의 표 결집으로 공산당이 1당이 되지는 못했지만, 최대 의석을 확보하고 단독 개헌선 역시 차지하여 여당이었던 [[중도주의|중도파]] 기민당과 [[중도좌파]]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사회당]]을 위협하였다. 또한 베를링구에르는 기민당과의 [[대연정]]을 추구하여 전후 처음으로 집권 정당이 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공산당과 사이가 매우 나빴던[* [[사민주의]]와 [[공산주의]] 간의 악연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사민주의 비판때부터 이어져오던 유구한 전통으로, 사민주의의 세가 강력했던 [[북유럽]]의 일부 국가들에서는 오히려 사민주의 정당들이 우파 정당들보다 더욱 강경한 [[반공주의]] 정책을 펼쳐, 미국이 이들을 지원하는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사민주의 정당들의 반대와 공산당의 집권을 두려워한 미국의 은밀한 방해, 그리고 결정적으로 [[알도 모로]] 전 [[이탈리아 총리|총리]]가 과격파 공산주의 무장단체 [[붉은 여단]]에 의해 [[암살]]당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이는 무산되었다. 그럼에도 [[1981년]]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공식적으로 비판하고 이어서 [[소련 공산당]]과의 관계도 단절하는 등 [[유럽공산주의]]의 시초라고 보일만한 민주적이고 반소적인 정책들을 연이어 내놨고, 당내 좌파들에게서는 비판을 받았지만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이런 공산당의 노선 전환은 호응을 얻었다. 이도 잠시 [[1984년]] 베를링구에르는 대중 연설 도중 [[뇌출혈]]로 인해 쓰러졌고 그대로 사망하였다. 향년 62세로 그의 죽음은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줬고, 무려 100만명이 [[장례식]]에 참가했는데 이는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는 기록이라고 한다. 또 그의 동정표로 공산당은 그해의 [[유럽의회 선거]]에서 11,714,428표라는, 이탈리아 역사상 단일 정당으로는 최다 득표수를 기록하게 되는 어마어마한 양의 표를 받았다. == 여담 == * 자녀는 4명을 두었으며 그중 비앙카 베를링구에르는 유명한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사생활이 매우 깨끗했다고 한다. * 종교에 친화적인 몇 안되는 공산주의자였지만 역시나 그도 무신론자였다. [[분류:1922년 출생]][[분류:사사리 출신 인물]][[분류:스페인계 이탈리아인]][[분류: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분류:이탈리아의 무종교인]][[분류:이탈리아의 사회운동가]][[분류:사회운동가 출신 정치인]][[분류:돌연사한 인물]][[분류:198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