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EDLC, other1=전기이중층 커패시터, rd1=울트라커패시터)] [include(틀:신시내티 레즈/로스터)] ---- ||
'''{{{#FFFFFF 엘리 데 라 크루즈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44번}}}''' || || [[아리스티데스 아퀴노]][br](2019~2022) || {{{+1 →}}} || '''{{{#FFFFFF 엘리 데 라 크루즈[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lydelacruz_060623.jpg |width=100%]]}}} || ||<-2> '''신시내티 레즈 No.44''' || ||<-2> '''{{{+2 엘리 데 라 크루즈}}}[br]Elly De La Cruz''' || || '''본명''' ||엘리 안토니오 델 라 크루스[br]Elly Antonio De La Cruz || ||<|2> '''출생''' ||[[2002년]] [[1월 11일]] ([age(2002-01-11)]세) || ||몬테 플라타 주 사바나 그란데 데 보야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196cm / 90kg || || '''포지션''' ||[[유격수]], [[3루수]] || || '''투타''' ||[[우투양타]] || || '''프로입단''' ||2018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신시내티 레즈|CIN]]) || || '''소속팀''' ||'''[[신시내티 레즈]] (2023~)'''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기록''' ||'''[[사이클링 히트|힛 포 더 사이클]] (2023.6.23.)''' || || '''SNS''' ||[[https://www.instagram.com/la_cocoa_____1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ellylacocoa18|[[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sa_today_20841064.0.jpg |width=100%]]}}} || [[신시내티 레즈]]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신시내티 레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lly-de-la-cruz-getty-images.jpg |width=100%]]}}}|| ==== 2023 시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48140dee25142.30210833.webp|width=100%]]}}}|| 6월 6일 [[닉 센젤]]이 부상자 명단에 올라 처음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Ez58iTN9oQ)]}}}|| || '''{{{#fff 데 라 크루즈의 빅리그 첫 안타}}}''' || 당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홈 경기에서 4번 3루수로 선발 출전해 데뷔전을 치렀으며 [[토니 곤솔린]]을 상대로 풀카운트 끝에 볼넷으로 출루했고 적시타 때 득점도 기록하였다. 3회말에는 2루타를 때려내는 등 3타수 1안타 2볼넷 1득점으로 활약하며 팀의 승리에 일조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yDosxRWwAELsE5.jpg |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yEUEnqWIAE1ulr.jpg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AYQICnD8t0)]}}}|| || '''{{{#fff 데 라 크루즈의 빅리그 데뷔 홈런}}}''' || 그리고 다음 경기에서 4번 유격수로 출전하여 첫 타석부터 '''[[노아 신더가드]]를 상대로 데뷔포를 쏘아올렸다.''' 힘 하나 만큼은 진퉁이라는 걸 증명이라도 하는 듯 공을 쪼개버린 듯한 타격음과 함께 '''114.8MPH''' 짜리 아치를 그렸다. 빅리그 두번째 경기만에 홈런을 기록한 것이다. 다음 타석에서는 변화구를 받아쳐 우중간을 갈랐다. 무난한 2루타 코스로 보였으나 큰 키에서 뿜어져 나오는 엄청난 속도를 이용해 3루까지 성큼성큼 미끄러져 들어갔다.[* 홈에서 3루까지 고작 '''10.83초'''가 걸렸다고 한다. 이는 이번 시즌 가장 빠른 기록이고 2020년 이후로 보면 [[코빈 캐롤]]의 10.75초 기록 다음이라고 한다.] 팀은 [[윌 벤슨]]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다저스를 8-6으로 제압하였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3bvOAB8Vuc)]}}}|| || '''{{{#fff 데 라 크루즈의 빅리그 데뷔 첫 사이클링 히트}}}''' || 6월 23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 '''데뷔 15경기만에 [[사이클링 히트|힛 포 더 사이클]]'''을 기록했다! 이는 1918년 [[클리프 히스코트]](8경기)와 1980년 [[게리 워드]](14경기)에 이은 MLB 역대 3번째로 적은 경기만에 기록한 사이클링 히트이자, 1972년 이후 최연소 사이클링 히트(21세 163일). 2회말 선두타자로 첫 타석에서 2루타, 3회말 5:2에서 추격의 투런포, 5회말 1타점 적시타, 6회말 3루타로 네 타석만에 깔끔하게 성공하였다. 레즈 프랜차이즈로선 역대 7번째이자, 1989년 6월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에 [[에릭 데이비스]]가 기록한 이후 34년만의 기록. 3루타를 기록하고 홈스틸까지 노렸으나 아쉽게 실패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T42mCeAII4)]}}} || ||<#c6011f> {{{#ffffff '''데 라 크루즈의 1이닝 3도루'''}}} || 7월 8일 경기에서 데 라 크루즈는 6:5 리드를 잡는 적시타로 출루한 이후 [[제이크 프랠리]]의 타석에서 '''단 3구[* 2구에 2루, 4구째에 3루를 훔친 이후 투수가 방심하는 사이 홈까지 파고들었다. 한 타석에 도루 3개를 기록한 선수는 1969년 [[로드 커류]] 이후 처음.] 던지는 동안 2루 → 3루 → 홈에 이르는 3연속 도루'''를 시전하면서 '''만21세의 나이로 [[라이브볼 시대]](1920~) 이래 최연소 단일 이닝 3연속 도루'''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로써 데뷔한 이후 29경기 만에 16개의 도루를 성공하게 되었다. 단순히 힘만 좋은 선수가 아닌, 엄청난 보폭과 준수한 주루센스에서 기인한 뛰는야구에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며 [[5툴 플레이어]]의 자질을 유감없이 뽐내고 있다. 올스타 브레이크 전 데 라 크루즈의 기록은 '''29G 122타석 .328/.366/.533 4홈런 16타점 16도루 OPS .899'''. 임팩트 좋게 맞은 타구들은 공을 쪼개버릴 정도의 파워와 폭발성을 보여주었으며, 주루에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였다. 수비도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데 라 크루즈의 데뷔와 함께 신시네티는 엄청난 상승세를 탔으며 연승 행진을 달리기도 하였다. 다만 떨어지는 유인구에 배트가 쉽게 나오는 등 이전부터 지적되어 왔던 선구안에서는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럼에도 3할을 넘는 타율에 345에 근접한 슬래시라인을 기록해내며 기분 좋게 전반기를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컨택, 파워, 주루, 송구능력을 두루 갖춘 전형적인 중남미 출신 [[5툴 플레이어]]. 타격에 있어서는 민첩한 운동신경을 바탕으로 한 빠른 스윙과 이에 기반한 준수한 파워를 보여주며 AAA 시절부터 엄청난 타구 스피드를 선보였다. 스위치 히터이지만 좌타석에서 좀 더 좋은 스윙을 보여주고 있고 좌투수 상대로는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컨택과 선구안은 초창기에는 약점으로 꼽혔지만 마이너리그를 거치며 컨택은 꾸준히 발전시켰다. 주루 능력 역시 강점으로 홈플레이트에서 3루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10.83초에 불과한 압도적인 스피드를 가지고 있다. 강력한 어깨 역시 장점으로 100마일[* 메이저리그에서는 99.6마일이 최고 기록이었다.]에 가까운 스피드의 송구를 뿌린다. 그러나 체격이 유격수치고 너무 커 부상 위험도가 높은 것이 우려되는 점이다. 물론 [[칼 립켄 주니어]]같이 큰 체구에도 부상을 거의 안 당하는 [[금강불괴]] 유격수들도 --립켄이 넘사라서 그렇지-- 소수 존재하긴 하지만, [[카를로스 코레아]], [[코리 시거]] 등 키가 190cm를 넘어가는 유격수들 중에서 부상을 많이 당하는 사례가 월등히 많기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선구안에서는 아직도 약점을 보인다. 특히나 미완성된 툴가이 유망주들이 대부분 그렇듯 브레이킹볼에 매우 약한 편으로[* 연차가 적은 선수들 중에선 [[제레미 페냐]]가 이러한 경우고 이를 고치지 못해 메이저리그에서 손꼽힐 정도로 낮은 선구안으로 자리잡아버린 선수로는 [[하비에르 바에즈]]가 있다.][* [[류현진]]이 등판한 토론토전에서 모두 떨어지는 변화구에 삼진만 두개를 당한 적이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뛰기엔 여전히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는 중이다. 또한 수비 불안 요소도 존재하는데 보유한 툴은 분명히 뛰어나지만 안정성이 떨어져 2023년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할때도 수비율이 그닥 높은 수준(0.977)은 아니었기에 [[카를로스 코레아]]의 경우처럼 연차가 쌓이며 발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엘리 데 라 크루즈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신시내티 레즈|CIN]] || 98 || 427 || 91 || 15 || 7 || 13 || 67 || 44 || 35 || 35 || 144 || .235 || .300 || .410 || .710 || 1.7 || 0.8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98 || 427 || 91 || 15 || 7 || 13 || 67 || 44 || 35 || 35 || 144 || .235 || .300 || .410 || .710 || 1.7 || 0.8 || == 여담 == * 어릴 때 맺은 대출 계약 때문에 평생 연봉의 10%를 대출업체에게 납부해야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majorleague/768285|#]] *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의 광고에 출연했다 [[https://twitter.com/alexmorgan13/status/1677350174509912064?s=20|#]]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2002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몬테플라타 주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우투양타]][[분류:스위치 히터]][[분류:신시내티 레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