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엘리멘틀 히어로, top2=히어로(유희왕), top3=네오스)] [include(틀: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시리즈)] [목차] == 개요 == > '''[[유우키 쥬다이|주다이]]님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유산]]과 [[무토 유우기|유]][[어둠의 유우기|희]]님의 [[카오스 솔저|유산]]이 [[융합|하나로 뭉쳤을 때]], 용감무쌍기사로 다시 태어난다! 컴백 오브 네오스!! 융합 소환! 부활하라,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 ------ >[[후도 유세이|유성]]의 미사용 오리지널 대사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ElementalHERONeosKnight-JP-Anime-MOV2.png]] || 한글판 명칭 ||<-4>'''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 일어판 명칭 ||<-4>'''[ruby(E・HERO, ruby=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ネオス・ナイト'''|| || 영어판 명칭 ||<-4>'''Elemental HERO Neos Knight'''|| ||<-5> [[융합 소환|융합]]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빛 || 전사족 || 2500 || 1000 || ||<-5>"[[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전사족 몬스터[br]이 카드의 공격력은,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이외의 융합 소재로 한 몬스터의 공격력의 절반만큼 올린다.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패러독스(유희왕)|패러독스]]와의 3vs1 듀얼 중 사용. 작중 유일하게 등장한 [[네오스]] 융합 형태로, 패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와 [[후도 유세이]]가 필드에 꺼내놓은 [[정크 가드너]]를 융합하여 융합 소환되었다. 자신의 효과로 공격력을 3200까지 상승시켜 [[정크 가드너]]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된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과 [[Sin 레인보우 드래곤]]을 2회 공격해서 격파해내는 활약을 보였다. 이후 [[Sin 패러독스 드래곤]]의 공격 선언시 [[히어로 베리어]]로 공격을 막았으나 [[Sin 클로 스트림]]에 의해 파괴, 그 직후 [[엘리멘틀 미라지]]의 효과로 필드로 돌아왔으나 공격력은 원래대로 돌아왔고, 이내 [[융합 해제]]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와 [[정크 가드너]]로 분리되었다. 공격명은 '래스 오브 네오스슬래시(ラス・オブ・ネオススラッシュ / Wrath Of Neos Slash)'. 융합 소재로 딱히 싱크로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시리즈상으로는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를 제치고 최초로 싱크로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삼은 케이스다. 이후 유세이가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를 소환하는 계기가 됐다는 설정이 작품 외부에서 밝혀졌다. 작중에서는 분명 유세이의 [[정크 가드너]]와 융합했지만, 생김새는 [[어둠의 유우기]]의 [[카오스 솔저]]를 연상시키는 모습이다. 또한 2회 공격 효과는 [[카오스 솔저 -개벽-]]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어쩌면 디자인 당시에는 이쪽과 융합할 예정이었을지도 모른다.[* 극장판이 아니라 TV애니메이션 등장 당시 카오스 솔져와도 융합할 예정이었을지도. 혹은 GX 시절에 만들어질 예정이었던 유우기와 쥬다이가 [[사이오 타쿠마]]에게 맞서는 극장판이 예정되었던 시절에 구상되있던 카드일지도.] 레인보우 네오스, 암드 네오스 등 동료들간의 융합체가 동료들의 몬스터의 외형상 특징을 가진 것과 달리 전혀 특징을 가지지 않은 점은 아쉬운 점이다. 사실 파이브디즈 시절 등장한 융합체들은 멀티 피스 골렘, 파동룡기사, 네오스 나이트 등 융합체보다는 싱크로체처럼 외형상 특징을 공유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20TH-JPC77.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 일어판명칭=E・HERO(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 ネオス・ナイト,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Neos Knight, 몬스터=, 효과=, 융합=, 레벨=7,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2500, 수비력=1000,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전사족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이외의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절반의 수치만큼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상대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 이 된다., )] 원작과는 달리 현실에서는 전투 데미지를 전혀 주지 못하는 효과 때문에 외면받는 카드가 되었다. 융합 소재가 굉장히 느슨한데다 [[엘리멘틀 히어로]]라 [[미러클 퓨전]], [[평행 세계 융합]] 등에 대응하기 때문에 쉽게 나올수 있는 몬스터가 기본적으로 3000을 넘기는 공격력으로 [[더블어택|2회 공격]]을 해대는 것이 문제된다고 생각했는지 디메리트를 씌워버린 것. 비교적 이후에 출시된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는 공격력 5000에 트리플 어택 효과를 가진걸 생각하면 아쉬운 편. 아마도 극장판에서 이 카드가 정크 가드너와의 콤보로 수비 표시 몬스터만 썰었기 때문에 극장판 설정과 충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짠 디메리트가 이것인 듯하다. 차라리 2번째 공격에만 전투 데미지를 줄 수 없다고 했다면 괜찮았을 듯. 즉 이 카드는 딱히 피니셔로 활용하는 용도가 아니고, 높은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를 상대가 잔뜩 전개해두었을 때 꺼내서 써먹어볼만한 카드. 데미지는 줄 수 없더라도 상대 몬스터를 쓰러뜨리는 데에는 좋다. 굳이 이 카드로 데미지를 주고 싶다면 [[정크 어택]]이나 [[암즈 에이드]] 등 공격시 또는 몬스터 파괴시 효과 데미지를 주는 카드들과 병용해보는 방법도 있긴하나 그렇게 효율적인 방법은 아니다. 융합 소재는 느슨한 편이지만 코믹스판 융합 히어로와는 달리 융합 소재로 반드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요구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히어로 비트]] 덱에는 잘 들어가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하기 위해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를 재차 소환하는 것은 손해다. 일단 융합 대체 몬스터를 사용한다면 정말 쉽게 꺼낼 수 있긴 하다. 또한 이 카드는 융합 소재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정확히 지정하는 네오스 몬스터기 때문에 [[미러클 퓨전]]뿐만 아니라 [[미러클 콘택트]]에도 대응한다. 단, 미러클 콘택트로 소환한 이 몬스터는 융합 소재를 사용한걸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공격력이 올라가지 않는다. 이는 [[네오스 퓨전]]으로 특수 소환해도 마찬가지. 또한 공격력은 원래의 공격력을 참조한다. 참고로 융합 소재의 '전사족 몬스터'라는 것이 어느 특정한 이름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콘택트 아웃을 쓸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하자. 또한 융합 소재의 전사족 몬스터가 네오스 본인도 포함되기 때문에 네오스 2장으로 융합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이외의''' 융합 소재로 이용한 전사족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만큼 올라간다라고 되어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공격력이 올라가지 않는다. 비슷한 효과를 가진 [[비전 히어로#비전 히어로 트리니티|비전 히어로 트리니티]]와는 일장일단이 있다. 일단 꺼내기만 하면 3회 공격에 높은 공격력으로 전투 데미지까지 줄 수 있는 비전 히어로 트리니티 쪽이 좀더 강력하지만 소환 난이도나 받을 수 있는 서포트면에서는 이 카드 쪽이 더 좋다. 디자인에 맞춰 [[카오스 솔저(유희왕/카드군)|카오스 솔저]] 테마와 조합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카오스 솔저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융합시켜 이 카드를 소환한 뒤, 묘지로 간 이 소재들을 용의 거울로 다시 융합시켜 카오스 솔저를 융합 소재로 쓰는 [[궁극룡 기사]]를 소환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더블어택이 되는 공격력 4000의 몬스터가 벽 몬스터를 2장까지 없애고, [[궁극룡 기사|최강의 공격력을 자랑하는 몬스터]]가 직접 공격까지 선언할 수 있는 상황도 된다. 굳이 네오스 덱이나 히어로 덱이 아니라 하더라도, 전사족 몬스터를 융합소재로 사용하는 몬스터를 채택하는 덱에서는 조커로써 기용해볼만한 카드. 국내에선 2011년 6월에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6에 수록되었다. 참고로, 이전 텍스트에선 '공격력의 절반만큼 올린다'라고만 되어있으나, 실제로는 '''원래 공격력'''을 참고하도록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특수재정|특수재정]]이 내려져 있었다.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또한 해당 텍스트에 동일 재정이 있었다가 에라타되어 바뀐 이후론 이 카드에만 특수재정이 내려져 있었다가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에서 '''원래 공격력'''으로 에라타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V점프]] 2010년 4월호 동봉 || VJMP-JP048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77 || [[울트라 레어|울트라]] [[패러렐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텍스트 에라타 || || [[익스트림 빅토리|Extreme Victory]] || EXVC-EN093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6]] || PP06-KR013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version=52)] [[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히어로(유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