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엘리멘틀 히어로, top2=히어로(유희왕), top3=네오스)] ||<#1F2326> '''{{{#!html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시리즈)][include(틀:유벨의 진화도)] }}}}}} ||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E・HERO ネオス・クルーガ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크루거, 일어판명칭=E・HERO(エレメンタルヒーローネオス・クルーガー, 영어판명칭=Elemental HERO Neos Kluger, 속성=빛, 레벨=9,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마법사족, 소재="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유벨", 효과외1=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 또는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네오스 와이즈맨"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3)] [[네오스 와이즈맨]]의 융합 버전 리메이크 몬스터. OCG 버전 네오스 와이즈맨 소재를 가지고 원작 네오스 와이즈맨의 소환 방식[* 원작 네오스 와이즈맨은 비슷하지만 '유벨'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OCG와 조금 다르다.]으로 소환한 몬스터이다. 그래서인지 [[엘리멘틀 히어로]] 중 최초로 마법사족이며, 외형도 네오스 와이즈맨을 어느 정도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 모습이다. 까다로운 소재는 여전한 데다 융합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소환 조건이 있지만, 소환 조건을 무시할 수 있는 [[네오스 퓨전]]이나 [[미러클 콘택트]], 게다가 엘리멘틀 히어로라 [[미러클 퓨전]]까지 있기에 꺼내기는 어렵지 않다. 그러나 네오스 퓨전으로 꺼낸 턴 안에 제거되면 해당 카드의 맹세 효과 때문에 ②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굳이 정규 융합 소환을 하겠다면 한쪽을 [[늪지의 마신왕]] 같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 대체하는 것도 좋다. 네오스 와이즈맨 운용의 문제점이었던 네오스와 유벨 어느 쪽이나 패 말림 요인이 되기 쉽다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① 효과는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발효과]]. 원본과 비슷하나 '''데미지 계산 전'''으로 타이밍이 바뀌었고 파괴 내성, 회복이 사라져 원본보다 약화되었다. ② 효과는 애니판 네오스 와이즈맨의 분리 효과를 계승한 듯한, 상대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거나 전투로 파괴되면 '''네오스 와이즈맨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유발효과]]. 효과 파괴 내성이 사라진 것을 어느 정도 보충해 주며, 필드에서 벗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파괴, 제외, 바운스 모두에 대응하고 소환 조건이 빡세서 쓰이지 않는 와이즈맨을 드디어 쓸 수 있게 만들었다. 본래는 바운스를 당해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었지만, 2020년 4월부터 개정된 마스터 룰 때문에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되었다. 네오스 융합체들이 실전성이 떨어지는 것들이 많은지라 쓸만한 카드로 선공 첫 턴에 마땅히 소환할 융합 몬스터가 없었던 네오스 덱에서 그나마 뽑을 만한 효과다. 번 데미지도 나쁘지 않으며, 고타점 몬스터가 있으면 자폭으로 효과 대미지를 준 후 [[네오스 와이즈맨]]을 소환, 다시 한 번 효과 대미지로 턴 킬을 낼 수도 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메인 덱에 [[유벨]]과 [[네오스 와이즈맨]]이라는 말림 패를 2장이나 넣어야 한다는 점이다. 유벨이야 어떻게 융합 소재로 쓰면 되지만 와이즈맨은 패에 잡히면 처리하기 곤란하다. 오히려 [[유벨(유희왕/카드군)|유벨]] 덱에서 쓰기 좋은 카드인데 [[융합파병]]으로 유벨을 덱 특소하거나 세워두기 힘든 유벨 몬스터들 대신 이 카드를 꺼내기위해 [[네오스 퓨전]]과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투입하는 구성으로 짜이곤 했었다. 이후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유벨 지원이 나오면서 사용도가 늘었는데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유벨을 덤핑&카피하여 [[유벨-다스 에비히 리베 베히터]]를 소환하는 용으로 넣을 수 있게 되었다. 마법사족 [[히어로(유희왕)|히어로]] 몬스터로서는 사용 불가 카드인 [[엔터테인먼트 히어로 피트 보스]] 이후 두 번째이다. 한국판은 クルーガー(Kurūgā)를 적당히 영어처럼 읽은 '네오스 크루거'라는 이름으로 번역했지만, 독일어 발음을 따르면 '클뤼거'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 카드명의 '클뤼거(klüger)'는 독일어로 '현명한', '총명한'이라는 뜻으로, 원조격인 네오스 와이즈맨의 이름인 'wiseman([[현자]])'에 맞춘 네이밍으로 보인다. 또한 유벨의 이름 역시 'Übel(사악하다)'이라는 독일어 이름이며, 클뤼거라는 작명은 유벨의 작명에 맞춰 독일어로 지은 것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LEGENDARY GOLD BOX]] || LGB1-JP009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20th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LEGENDARY GOLD BOX|레전더리 골드 세트]] || LGB1-KR009 || [[울트라 레어]][br][[패러렐 레어|패러렐]]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융합 소재 몬스터 === ====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 ==== [[유벨(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벨]] ==== === 기타 관련 카드 === ==== [[네오스 와이즈맨]] ====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분류:유희왕/OCG/융합 소환]][[분류:히어로(유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