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NuviatheWicked-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사신 누비아'''|| || 일어판 명칭 ||<-4>'''[ruby(女邪神, ruby=めじゃしん)]ヌヴィア'''|| || 영어판 명칭 ||<-4>'''Nuvia the Wicke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불명 || 불명 || 2000 || 80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NuviatheWicked-JP-Manga-DM-NC.png]][* 원작 21권의 182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원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 [[레어 헌터|어둠의 가면]] 사용. [[가면(유희왕)#약체화 가면|약체화 가면]]으로 약화된 [[카이바 세토]]의 [[푸른 눈의 백룡]]을 쓰러뜨리려 했으나, [[어둠의 유우기]]가 발동한 [[정령의 거울]]로 인해 약체화 가면이 이 카드로 옮겨가는 바람에 그대로 백룡에게 역전당해 파괴되었다. [[칠흑의 표범전사 팬서 워리어]], [[지옥시인 헬포에머]]와 더불어 작중에서는 최강의 하급 어태커지만, 정작 [[카이바 세토|카이바]]는 이 몬스터를 "당하는게 전문인 졸개 몬스터따위…"라며 디스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작중 전개 진행 전에 이미 OCG가 나온 이유인지, 공식 효과로 인한 사정상 [[성스러운 인형]]이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정작 이 카드는 2기 오프닝에만 잠깐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에서는 [[사토 코지]]의 프로 듀얼리스트 시절 상대 중 하나가 사용한 것으로 등장.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NuviatheWicked-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여사신 누비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ruby(女邪神, ruby=めじゃしん)]ヌヴィア'''|| || 영어판 명칭 ||<-4>'''Nuvia the Wicke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는 4.] || 흑마족 || 악마족 || 2000 || 800 || ||<-5>과거의 원한을 풀기 위해 사신에게 혼을 팔아넘긴 사람의 모습.||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는 원작처럼 레벨 4로 돌아온 덕분에 [[초스피드 암살자]]에 버금가는 우수한 악마족 어택커로서 군림했다. 또한 여성 몬스터인 덕분에 [[사이버 실드|사이버 본디지]]에도 대응한다. 그 능력치 덕분에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최종 보스와 히든 보스가 주력으로 사용하며, 필드도 [[어둠(유희왕)|어둠]]으로 고정되어 있어 2600으로 강화된 공격력으로 위협해온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card1001479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 여사신 누비아, 일어판 명칭= () (じゃ) (しん)ヌヴィア, 영어판 명칭= Nuvia the Wicked, 속성= 어둠, 레벨= 4, 종족= 악마족, 공격력= 2000, 수비력= 800, 효과1= 일반 소환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상대가 1장이라도 몬스터를 컨트롤하고 있는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당 200 포인트 내린다.,)]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자폭]]하는''' [[유발효과]], 상대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공격력이 내려가는 [[지속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2기 시리즈에서 다수 등장한 공격력 2000의 디메리트 어태커 중 하나로, 그 중에서도 [[멧돼지 병사]]와 더불어 유난히 무거운 디메리트를 안고 있다. 소환되면 자폭해버리는데다, 반전 소환은 낮은 수비력 때문에 힘들고, 공격 표시로 있어도 상대 필드에 따라 공격력이 내려간다. 몬스터와 전투를 하게 되면 아무리 높아도 1800밖에 안 되니, 공격력 2000이라는 점을 완전히 살릴 수가 없다. 이후에 등장한 같은 자괴 효과를 가진 [[스크랩 콩]]이 샐비지 효과라도 있는 것에 비해 전부 디메리트 효과 뿐이니 뭘 어쩌라는건지 알 수 없는 수준. 특수 소환이나 반전 소환의 경우라면 자폭하지는 않지만, 수비력이 구려 공격받으면 터지고, 특수 소환하자니 저것보다 능력치 좋은 몬스터들이 썩어넘친다. [[스킬 드레인]]과 함께 사용하자니 훨씬 더 공격력이 높은 타협 소환 몬스터가 많아 이쪽에서도 입지는 낮다. 자괴 효과는 [[엠페러 오더]]의 효과로 1장 드로우로 변환하거나, [[기황제]]의 특수 소환, [[보급 부대]]의 드로우 효과 발동 조건으로 삼는 등의 콤보가 가능하지만, 이와 같은 콤보를 공격력도 같은 [[스크랩 콩]]으로도 할 수 있다. 공격력 2000의 어둠 속성이니 [[덱 파괴 바이러스#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의 소체로도 써볼 수 있겠으나 더 높은 공격력을 가지거나 다루기 쉬운 하급 어둠 속성이 널려있으니 자리는 없다. 일단 묘지로 가면 [[다크 네크로피어]]의 소재로 활용은 가능하지만 일반 소환 한번을 날리면서까지 쓸 필요는 없을 듯. 이렇듯 [[멧돼지 병사]]와 더불어 등장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써먹기 힘들다는 점이 주목을 받을 정도로 처참한 성능을 자랑한다. 당시에는 공격력 2000 이상의 하급 몬스터에게 디메리트를 주는 것이 당연했다지만, 이 카드의 디메리트는 [[다크 엘프(유희왕)|다크 엘프]]보다 나중에 만들어졌다는 게 믿겨지지 않을 만큼 이상할 정도로 빡세다. 물론 [[멧돼지 병사]]보다 약체화 수치는 낮으니 상황은 더 나을지도 모르겠지만, 근본적인 부분에서 변한 게 없으니 개선되었다고 보기에는 힘들다. 오히려 약체화 수치가 너무 낮아 멧돼지 병사나 [[초스피드 암살자]]와 비교하면 [[심술꾸러기의 저주]]하고도 함께 쓰기 힘들다. 과거에는 자신을 파괴하는 처리가 몬스터 효과가 아닌 [[효과 외 텍스트]]로 취급되었기에 [[스킬 드레인]]으로도 무효화할 수 없었고, [[스크랩 콩]]처럼 파괴를 이용한 조건 생성도 할 수 없어 훨씬 더 입지가 비참했다. 이런 성능에도 불구하고 일본 첫 발매 당시엔 무려 [[울트라 레어]](1/3 확률로 [[패러렐 레어]])로 발매되었으며, 듀얼리스트 레거시로 재록될 무렵에는 [[레어]]로 발매되었다. 그러다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에디션]]에서 재록되며 레어도가 [[노멀]]로 떨어졌고, 7기 비기너즈 에디션에서는 아예 빠지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CPU의 저렙덱 중 [[심술꾸러기의 저주]]랑 병행해서 [[초스피드 암살자]]와 함께 어태커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놈의 일소 자괴 디메리트 때문에 운 좋게 심술꾸러기의 저주와 함께 패에 잡혀도 콤보를 쓰기 힘들며, 같은 디메리트 어태커인 초스피드 암살자는 일소 디메리트도 없고 하락폭이 더 커서 심술꾸러기의 저주의 혜택을 크게 받기 때문에 매우 비교가 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Spell of Mask -仮面の呪縛- || SM-12 || [[울트라 레어]][br][[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DUELIST LEGACY Vol.3 || DL3-081 || [[레어]]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4기)]] || BE1-JP216 || [[노멀]] || 일본 || 절판 || || [[악몽의 미궁|Labyrinth of Nightmare]] || LON-01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216 || [[노멀]] || 미국 || || || [[악몽의 미궁]] || LON-KR01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1]] || BP1-KR216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멧돼지 병사]] === === [[스크랩 콩]] === [각주] [[분류:유희왕/OCG/악마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