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여산휴게소'''}}}[br]{{{-2 '''礪山休憩所'''}}}[br]{{{-2 '''Yeosan Service Area'''}}}}}} || || [[서순천IC|{{{#!html순천 방면}}}]][br][[익산IC]][br]← -.- km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8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FFFFAC 80%, #E60012 0%, #E60012 89%, #111E90 0%, #111E90 100%);" [[호남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25.svg|height=23]]{{{#!html
호남선}}}]]'''{{{#0047a0 {{{+1 SA}}}}}}'''}}} || [[논산JC|{{{#!html논산 방면}}}]][br][[논산JC]][br]-.-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여산휴게소,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 순천 방향 ||<-2>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br]호남고속도로 191 (호산리 224) || || 논산 방향 ||<-2>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br]호남고속도로 192 (호산리 212) || ||<-3> {{{#fff '''운영'''}}} || ||<-3> ㈜한남상사 || ||<-3> {{{#fff '''개장'''}}} || ||<-3> [[1980년]] [[4월 1일]][* 순천방향 건물은 2010년에 새로 지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 송씨]]의 그 곳 맞다.]에 위치한, [[호남고속도로]] 상에 대표 [[고속도로 휴게소]]이다. 노선 번호상으로 [[호남고속도로]]와 한 몸인 [[논산천안고속도로]][* 하지만 명칭은 대통령령으로 엄격히 분리되어 있다.]에 있는 [[정안알밤휴게소]]가 [[고속버스]] 환승 정류소를 무기로 호남선 방면의 대표 [[고속도로 휴게소]]로 불리지만, 여산휴게소도 이에 못지않게 명성이 대단해서 많은 이용객을 맞이하고 있다. [[2023년]] [[논산천안고속도로]]가 완전히 [[호남고속도로]]에 병합되기 이전에는 여산휴게소 다음 휴게소 표지가 [[호남고속도로지선]]의 [[벌곡휴게소]]로 표기되었다. 호남지선이 구 호남본선이기 때문에 호남지선을 따라간 것이다. [[2023년]] 지금은 [[정안알밤휴게소]]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건 틀린 게 실제로는 [[이인휴게소]]가 다음 휴게소다. == 지리적 위상 == [[호남고속도로]]는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전라남도]] [[순천시]]까지, [[호남고속도로지선|지선]]을 기준으로 해도 [[대전광역시|대전]]에서 [[순천시|순천]]을 잇지만, 실제적인 위상이나 통행량을 기준으로 할 경우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전라도|호남]], 특히 [[광주광역시|광주]]를 연결하는 목적이 강하다. 여산휴게소는 광주와 그 이북 구간을 잇는 데 있어 중간점 역할을 하여 이용객이 과거부터 많았다. 지금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광주광역시|광주]] 등 [[전라도|호남]]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의 정차지로 [[정안알밤휴게소]]가 자리하면서 고속버스의 메카로서의 위상은 크게 잃어버렸지만, 고속도로 네트워크의 발달에 힘입어 중요도는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이 휴게소를 중심으로 북으로는 [[논산천안고속도로]](천안 방향)와 [[호남고속도로지선]](대전 방향), 남으로는 [[호남고속도로]](광주 방향) [[새만금포항고속도로지선]] 및 [[순천완주고속도로]](순천 방향)를 연결한다.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이나 [[충청도]]에서 [[전라도|호남]] 곳곳을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이동하려는 사람 또는 그 반대로 [[전라도|호남]] 곳곳에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으로 이동하려는 사람들이 고속도로 위에서 모이는 지점이 여산휴게소가 되는 셈. 장거리 고속버스의 휴게 시설로서의 가치는 잃어버렸지만 일반 차량은 여전히 이 휴게소를 많이 이용하며, 중거리를 이동하는 시외버스나 고속버스도 이 휴게소를 이용하기도 한다. 여산휴게소 일대는 상습정체구역이다. == [[리즈 시절]] == [[논산천안고속도로]] 개통 이전에는 여산휴게소가 [[전라도|호남]]과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을 연결하는 고속버스가 대부분 쉬는 휴게소였다. 당시 [[호남고속도로]]는 [[대전광역시|대전]]을 경유하는 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로였으며, 차로도 더 좁고 선형은 더 엉망이었다. [[경부고속도로]]의 사정 역시 지금처럼 좋지는 않았으며, 우등 고속버스의 등장 이전에는 좁은 45인승 버스에서 몇 시간을 이동해야만 했다. 장거리 코스인 만큼 승객들 역시 출출함을 달래야 했는데, 여산휴게소의 리즈 시절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큰길어묵같은 즉석 어묵과 우동이었다. 지금보다 더 짧은 10분의 휴식 시간동안 사람들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해결하고 허기도 해결해야 했는데, 더운 물에 담가 놓아 포장만 뜯으면 바로 먹을 수 있는 어묵과 1분이면 나오는 우동은 번개처럼 해치울 수 있는 먹거리였다. [[KTX]]와 [[SRT]]가 개통된 지금도 광주는 버스 초강세 지역이지만 그마저도 없었던 그 시절 서울 강남고속터미널(센트럴시티)와 광주터미널(유스퀘어)를 연결하는 버스는 아예 5분에 한 대 꼴로 운행했는데, 5분마다 쏟아지는 승객들로 휴게소는 늘 북적였고, 앉아서 여유롭게 식사를 할 형편이 되지 못하는 고속버스 승객들은 서서 우동과 어묵을 번개처럼 먹고 속을 달랜 뒤 다시 버스에 올랐다. [[대전역]]의 아이콘이 [[호남선]]을 운행하지 않는 지금에도 가락국수라면 여산휴게소의 아이콘은 고속버스가 잘 쉬지 않는 지금도 즉석 어묵과 우동이 아이콘으로 자리잡고 있다. == 시설 == 여산휴게소는 순천 방향과 천안 방향의 시설이 큰 차이가 난다. 순천 방향은 2010년에 재건축을 하여 완전히 새로운 시설을 자랑하지만, 천안 방향은 2001년에 시설 개량만 한 지금은 낡은 시설이기에 편의 시설 차이가 크다. 순천 방향은 이 휴게소가 한 때는 고속버스 승객들의 천국이었다는 사실을 찾아볼 수 없는 최신 휴게소 구조를 따르고 있다. 그나마 천안 방향은 한 구석에 정식 테이블이 아닌 편의점식 간이 테이블이 남아 있어 빨리 허기를 달래야 했던 과거 버스 승객들의 애환을 조금이나마 느낄 수 있다. 휴게소의 메뉴 역시 과거의 흔적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양방향 모두 더 이상 즉석 어묵을 판매하지 않으며 우동은 판매하지만 메뉴의 고급화에 따라서 주문하면 3 ~ 5분은 기다려야 한다. 순천 방향 휴게소는 주유소 옆에 흡연구역과 야구장이 있다. == 사건사고 == [[2022년]] [[2월 6일]] 하행선 휴게소 지하 1층의 진공 보일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https://youtu.be/peQJptzIkXE|#]] 사고의 여파로 건물 일부가 훼손되었고 휴게소 내부에 있던 10여명의 인원이 긴급 대피했으며, 천만 다행히도 화재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 기타 == [[고속버스 청주-광주|고속버스 광주 ↔️ 청주]] 노선에서 이 휴게소를 지나갈 때마다 자동으로 휴게소 정차 방송이 나오지만, 항상 씹고 달린다. 광주행은 [[이서휴게소]], 청주행은 [[벌곡휴게소]] 아니면 [[신탄진휴게소]]에서 쉬는 경우가 보통이다. 사실 여산이 더 정중앙에 가깝긴 하지만, 그래도 1시간 20 ~ 30분 정도는 가고 쉬는 게 덜 밍숭맹숭한지 두 휴게소가 개업한 이후로는 항상 그곳에서 쉰다. 아무래도 두 휴게소가 개업하기 이전에 설정해놓은 걸 그대로 쓰는 모양. 심야한정으로 [[고속버스 서울호남-광주|서울 ↔️ 광주]] 고속버스가 여기서 쉬다 갈 때가 있다. 하행선 휴게소에는 고양이가 몇마리 있다. ==# 둘러보기 틀 #== [include(틀:호남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의 구간)] [[분류:호남고속도로]][[분류:고속도로 휴게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