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복지]][[분류:여성가족부]][[분류:여성 정책]] [include(틀:대한민국의 여성정책)] [목차][clearfix] == 개요 == 2016년 [[광주광역시]]부터 시작된 지자체, [[경찰]], [[한국관광공사]] 등이 평가하여 숙박업소에 인증을 주는 사업. * 목적 -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혼자 여행하는 여성 증가, 코로나 이후 가족 단위 여행객 증가에 반해 비수도권은 품질이 괜찮은 숙소가 미비한 지역이 많고, 안심 및 쾌적하게 이용할 품질 인증이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으로 생겨났다. * 기준 - 지자체별로 다르나 대체로 비슷하다. [[광주광역시]]는 여성·가족고객 전용룸 설치, [[여성주차장]] 확보, 외부에 대실 표지 금지, 안심비상벨 설치 등을 점검한다. [[대구광역시]]는 우수 숙박업소로 지정된 일반호텔 중 선정하며, 밝기, 접근성, 방범용 CCTV 설치, 여성용품 비치 등을 점검한다. == 역사 == 2023년 기준 4곳에서만 시행중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 * 2016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사업 계획을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322047300054|#]] * 2017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5곳을 지정했다. [[https://ilyo.co.kr/?ac=print&entry_id=306263|#]] * 2018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2곳을 추가지정했다. [[http://www.kplus.kr/news/articleView.html?idxno=177376|#]] * '''[[인천광역시]] 서구''' * 2018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7곳을 지정했다. * 2019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3곳을 추가지정했다. [[http://www.kjdaily.com/1569143795484064003|#]] * '''[[전라북도]] [[완주군]]''' * 2019년, 여성안심 숙박서비스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http://www.igj.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3759|#]] * 2020년, 여성안심 숙박서비스 3곳을 지정했다. [[http://www.jbj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9141|#]] * '''[[대구광역시]]''' * 2021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사업 계획을 밝혔다. * 2022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10곳을 지정했다.[* 대구광역시가 '광역시 최초'라고 마케팅한다. 광주/인천은 '구' 단위였으므로.] [[https://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9302|#]] * 2023년, 여성안심 숙박업소 10곳을 추가지정했다. [[http://www.sukbakmagazine.com/news/articleView.html?idxno=53946|#]] == 비판 == * 대실 금지, 여성 전용 등 숙박업소의 이윤이 크게 떨어지는 조건 제시가 지적받았다. * 심사보다 적당히 평판이 좋은 숙박업소를 일방적으로 지정한 치적쌓기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 남성도 이용가능한데 [[여성 전용]]인 것 같은 네이밍에 대한 비판이 있다. 실제로 위 사례가 아닌 지자체들에서 "안심숙박업소", "가족안심 숙박업소" 등의 네이밍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