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법무연수원장)]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include(틀:역대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include(틀:역대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 [include(틀:역대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 ---- ||<-2>
'''{{{#fff 대한민국 제47대 법무연수원장 [br]{{{+1 여환섭}}} [br] 呂煥燮|Yeo Hwanseop}}}'''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여환섭 검사장.jpg|width=100%]]}}}|| ||<|2> '''출생''' ||<(> [[1968년]] [[6월 8일]] ([age(1968-06-08)]세) || ||<(> [[경상북도]] [[김천시]] || || '''학력''' ||<(> [[김천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가족''' ||<(> 배우자 조정아, 슬하 3녀 || || '''경력''' ||<(> 제34회 [[사법시험]] 합격[br]제24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 부장검사[br]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수2과장[br][[대검찰청 중앙수사부]] 중수1과장[br][[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br][[대전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br]대검찰청 대변인[br][[대검찰청]] 반부패부 선임연구관[br][[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br][[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br][[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br][[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br][[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br][[법무연수원]]장||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직 [[검사(법조인)|검사]]. 현재는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 생애 == 1968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1995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24기. 이후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때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부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 장기간 근무했다. [[이명박 정부]] 때는 [[창원지방검찰청 거창지청]]장,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장, [[대검찰청]] 중수2과장, 중수1과장 등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 때는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 대검 중수부 2,1과장과 서울지검 특수1부장 보직을 모두 한 기수 선배인 [[윤석열]] 대통령에게 물려받았다.], [[대검찰청]] 대변인, 반부패부 선임연구관 등을 지냈다. [[문재인 정부]] 때는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을 지낸 후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등을 지냈다. 2002년 김대중 대통령 3남 구속기소, 2003년 여당 대표 [[정대철]] 의원 구속기소, 2004년 [[김석원]] 쌍용그룹 회장 구속기소, 2005년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 구속기소, 2006년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구속기소, 2010년 [[강희락]] 전 경찰청장 구속기소, 2011년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구속기소, 2012년 [[이상득]] 전 의원 구속기소, 2013년 [[국가정보원·국방부 여론조작 사건]] [[원세훈(1951)|원세훈]] 전 국정원장 기소, 2014년 [[현재현]] 동양그룹 회장 구속기소 등 많은 굵직한 사건들을 치밀하고 꼼꼼한 성격으로 수사하여, 대표적인 검찰 내 [[반부패수사부|특수통]]으로 '독사', '재계 저승사자'란 별명을 가지고 있다. 특별수사에 관한 한 검찰의 상징적 인물이다.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142329&inflow=N|#]] 한 검찰 관계자는 여 원장을 두고 “검사의 능력으로는 첫손에 꼽힐 분”이라고 말했다.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7394865&code=61121111&cp=nv|#]] 채동욱 전 검찰총장은 사석에서 "나를 특수통으로 만든 건 여환섭"이란 말을 했다고 한다. 채 총장이 대검 마약과장에서 2003년 서울지검 특수2부장검사로 부임했는데, 평검사였던 여 부장검사가 별다른 대검 첩보도 없이 굿모닝시티 사건을 인지해 여권 실세였던 정대철 열린우리당 대표를 구속기소해 개가를 올렸다. 당시 여 부장검사는 국회 속기록 등 방대한 자료를 분석해 오랜기간 내사를 벌였는데 진행 경과를 채근하는 채 총장에게 "아직입니다. 기다려 주십시요"란 말만 되풀이 했다고 한다. 그러다 한달여 만에 수사에 본격 착수하겠다며 수사계획서를 들고 왔는데 거기에 포함된 혐의자들과 실제 수사 종료시 기소 대상자가 딱 맞아 떨어져 채 총장이 감탄했다고 한다. 여 부장검사는 2011년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장으로 일할 때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던 건설현장 식당(함바)의 비리를 파헤쳐 강희락 전 경찰청장 등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들을 대거 기소하기도 했다. 조용하지만 실패를 모르는 이력 탓에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으로 부임하자 정·재계가 모두 긴장하기도 했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76718|#]] 국정원 정치 개입 사건에서 윤석열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구속하지 못했지만 얼마 후 이어진 수사에서 여환섭 특수1부장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개인비리로 구속하자 ""윤석열은 피했지만 여환섭은 비켜가지 못했다."는 말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두 사람 간의 수사능력의 우열을 볼 수 있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76718|#]] 평검사 시절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윤석열(현 대통령), 한동훈(현 법무부장관) 등과 함께 근무하며 특수수사 최일선에서 활약하였다. 최고의 특수통만이 갈 수 있는 대검 중수부 중수2과장, 중수1과장,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을 차례로 역임한 점이 윤석열 대통령과 똑같으며, 1년 차를 두고 윤석열의 후임을 맡았다. [youtube(pVFBSBgHvv8)] 2019년 [[김학의 별장 성접대 사건]] 수사단장에 임명되었다. 사건이 사건인지라 일선 검사들이 수사단에 관여하기를 꺼리는 분위기였으나 [[문무일]] 검찰총장의 지시로 인해 단장직을 맡게 되었다. 그가 검사장을 맡고 있던 [[청주지방검찰청]]이 그나마 당시 사건이 적었다는 것이 표면적인 이유라고 한다. 참고로 부단장은 전 광주고등검찰청 검사장인 [[조종태]]였으며, 서울중앙지검으로부터 이정섭 부부장검사(현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장)와 평검사 2명 등 총 3명을 파견받았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3534197?sid=102|#]] 이후 [[한겨레]]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이 윤중천에게 접대를 받았다고 보도하자, 당시 수사단장으로서 국정감사에 출석해 접대를 받은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601523|#]] 2021년 6월 인사에서 고검장으로 승진하여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으로 영전하였다. 검찰 내 [[연세대학교]] 인맥의 좌장이며, TK(대구경북) 출신 검사들의 좌장이다. 양당의 검찰 수사권 조정에 대한 합의문이 발표된 2022년 4월 22일 사의를 표명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296594?sid=102|#]]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132034?sid=102|#]] [[검수완박]]에 대해 비판적인 소신을 드러냈는데, 출근길에 기자들 앞에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035311?sid=102|민주당이 이성을 찾아야 한다고 발언하는가 하면]], 퇴근길에 [[CBS]] 라디오 생방송에 출연하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3633456?sid=100|검수완박에 대해 작심하고 강한 비판을 쏟아내었다.]] 2022년 5월, [[김오수]] 총장이 사임함에 따라 [[윤석열 정부]]의 초대 [[검찰총장]] 유력 후보군 물망에 오르고 있다. 과거 윤석열 대통령과 대검 중수부에서 함께 일한 특수통이지만 [[윤석열 사단]]에 속하지 않고, 검찰 내부에서 평가가 좋은 인물이기에 검찰의 중립성 확보를 위한 좋은 선택일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만일 검찰총장이 될 경우, 사상 첫 연세대학교 출신 검찰총장이 된다.] 2022년 6월 22일에 발표된 검찰 인사에서 [[법무연수원]]장으로 발령되었다.[* 법무연수원장에서 바로 검찰총장으로 영전한 인물로 [[참여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었던 [[임채진]]이 있다.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검찰총장이자 두 번째 법무부 차관이었던 [[김오수]]도 법무연수원장 자리에 있다가 법무부 차관으로 내정되었고, 퇴직 이후 다시 검찰에 복귀하며 검찰총장이 되었다.] 같은 해 8월 16일 [[김후곤]] 서울고등검찰청 검사장, [[이원석(법조인)|이원석]] 대검찰청 차장검사, [[이두봉]]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과 함께 검찰총장 후보군에 올랐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78842?rc=N&ntype=RANKING|#]]] 그러나 2022년 8월 18일, 이원석 대검차장이 검찰총장에 지명됨에 따라 8월 22일에 사표를 냈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8107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389348?rc=N&ntype=RANKING|#]]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주고 기회를 주기 위한 결정임을 밝혔는데, 후임 기수의 검찰 법조인이 검찰총장에 임명되면 선임기수 법조인이 퇴직하는 관례에 따른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 이후 이프로스에 사직 인사를 냈다.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81560|#]] 퇴임사에서 지금의 검찰 상황에 대해 "위기가 다가오고 있으며 현재 정치적 상황과 지난 경험에 비추어 보면 앞으로 닥칠 위기는 기존의 것과는 차원이 다를 수 있다"고 했다. 또 "그것은 조직의 존폐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고 진단한 뒤, 정치 쟁점화 사건 수사는 국민에게 모두 공개해야 되며, 검찰시민위 소집을 통해 영장청구와 기소·불기소는 물론, 수사 착수부터 사건관계인의 소환여부까지 동의를 구하고 참관토록 함으로써 검찰 스스로 수사권을 견제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www.newstomato.com/one/view.aspx?seq=1145946|#]] 퇴임 후 CBS 한판승부에도 출연해 정치적 사건은 시민위원회 심의를 거쳐 수사 개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818127|#]] 2022년 10월, 변호사로 개업했다. 이후 [[환영철강공업]], [[한국철강]], [[대한제강]], [[동국제강]], [[현대제철]] 등의 철근 회사 답합 사건 의혹 재판에 변호인으로 참여하고 있다.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85351|검찰 vs 20개 로펌… ‘7대 제강사 6조원대 철근 입찰 담합 혐의 재판’ 개시]] == 이력 == * 1998 대구지방검찰청 검사 * 2000 대구지방검찰청 포항지청 검사 * 2001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 2004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검찰연구관 * 2007 UCLA 로스쿨 장기 연수 * 2008 춘천지방검찰청 부부장검사 * 2009 창원지방검찰청 거창지청장 * 2010.8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 부장검사 * 2011.9 대검찰청 중수2과장 * 2012.7 대검찰청 중수1과장 * 2013.4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 부장검사 * 2014.1 대전지방검찰청 형사1부 부장검사 * 2015.2 대검찰청 대변인 * 2016.1 대검찰청 반부패부 선임연구관 * 2017.8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장 * 2018.6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2019.7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 2020.8 광주지방검찰청 검사장 * 2021.6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 * 2022.6 법무연수원장 == 여담 == * 술을 거의 하지 못하고, 보통 취미로 [[골프]]를 즐기는 다른 법조인들과 달리 [[복싱]]이 취미라고 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26443#home|#]] * 1968년생 치고 매우 [[동안]]이다. 2000년대 초반 당시 특수2부장이었던 [[채동욱]]과 일할 때 조선일보에서도 이 점을 기사에 싣기도 했다. [[http://chaedongwook.namoweb.net/news/mag/030731.htm|#]]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검찰청 대변인)] [[분류:1968년 출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검찰청 대변인]][[분류:대한민국의 검사]][[분류:검사장]][[분류:김천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성주 여씨]][[분류:함양 여씨]][[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윤석열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