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gold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bjww.gov.cn/200810151097543.jpg|width=100%]]}}} || ||<-3>[include(틀:지도, 장소=历代帝王庙,높이=250px, 너비=100%)]|| ||<|4><#CCC> 명칭 || 한국어 || 역대제왕묘 || || 간체 || 历代帝王庙 || || 번체 || 歷代帝王廟 || || 영어 || Temple of Ancient Monarchs || ||<#CCC> 분류 ||<-2> 고건축[br](古建筑) || ||<#CCC> 시대 ||<-2> [[명나라|명]] ~ [[청나라|청]] || ||<#CCC> 일련번호 ||<-2> 4-0129-3-051 || ||<#CCC> 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시청구]] 푸청먼네이다제131호[br]北京市西城区阜成门内大街131号 || ||<#CCC> 등재 ||<-2> [[1996년]] || ||<#CCC> 차수 ||<-2> 제4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급[* 원래는 AAA였으나 2021년에 격하되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베이징시]] 시청구 부성문내대로 131호에 있는 사당. 주변에 중국지질박물관과 백탑사, 광제사가 있다. [[삼황오제]]부터 [[명나라]]에 이르기까지 정통 왕조로 인정되는 중국 왕조의 [[황제]] 164명과 그 공신 79명을 모신 곳이다. 현재 역대제왕묘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크게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신 정전인 경덕숭성전(景德崇聖殿)과 공신들의 위패를 모신 동, 서배전, 명청 황제들이 세운 비를 보호하는 비각 4개(어비전)가 있다. 그 밖에 [[관우]]를 모시는 관제묘가 따로 있다. == 역사 == 역대제왕묘의 시작은 [[명태조]] 주원장이 1373년 [[난징]] 지역에 [[우(하나라)|우왕]], [[탕왕]], [[무왕(주)|주무왕]], [[고제(전한)|한고조]], [[쿠빌라이 칸|원세조]] 등 역대 왕조 창업자 16명의 위패를 모신 데서부터 시작했다. [[베이징]]으로 천도한 후 1530년 ~~[[명 4대 암군]] 중에서도 1위를 다투는~~ [[가정제]]가 역대의 제왕과 명신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을 창건하도록 명했다. 가정제는 수차례 역대제왕묘에 가서 친히 제사를 지내는데, 아마 가정제가 개인적으로 제사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때 원세조 [[쿠빌라이 칸]]은 잠깐 위패가 쫓겨나는 수모를 당하기도 하지만 다시 복구된다.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자 1660년 [[순치제]]는 [[요나라]]와 [[금나라]] 시조의 위패를 더했다. 1722년 [[강희제]]는 삼황오제와 [[하나라|하]]ㆍ[[상나라|상]]ㆍ[[주나라|주]]ㆍ[[한나라|한]]ㆍ[[촉한]]ㆍ[[동진]]ㆍ[[남북조시대|남북조]]ㆍ[[송나라|송]]ㆍ[[요나라|요]]ㆍ[[금나라|금]]ㆍ[[원나라|원]]ㆍ[[명나라|명]]나라의 역대 황제들과 공신의 위패를 추가함으로써 총 164위 위패를 정전에 모시도록 했다.(제왕 143위, 명신 40명) 이후 [[옹정제]], [[건륭제]], [[도광제]] 등이 수리하였는데, 특히 건륭제는 경덕숭성전(景德崇聖殿) 내에 황제 188명(개국자 21명과 그외 167명)의 위패를 모시고, 동서양궁에는 유명한 문신과 장군 79명의 위패를 모셨다. 또 관제묘(關帝廟)를 지어 특별히 단독으로 [[관우]]에게 제사를 지냈다. [[신해혁명]]으로 군주제가 종식되고 [[중화민국]]이 성립하면서 제사는 끊겼다. 역설적이게도 다른 역대 왕조의 왕과 황제들은 역대제왕묘를 통해 위패라도 모셔졌으나, 청나라 황제들은 어디에도 위패가 모셔지지 않은 셈이다.[* [[만주국]]의 푸이 본인이 청나라의 마지막 황제 [[선통제]]이기도 했으므로 만주국 성립 후 [[위만황궁]]에서 역대 청나라 황제를 제사지내긴 했는데 만주국이 곧 멸망하면서 다시 끊겼다.] 이후 [[중국 국민당]]군이 병원으로 쓰기도 하고 사범학교로 쓰기도 하다가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이후에도 방치되었다. [[문화대혁명]] 당시 공격을 받았고, 이후 중학교로 사용하다가 1979년 박물관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1995년 이후 지금의 모습을 되찾았다. 지금은 중국 문화재의 최고 등급인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로 지정되었지만 한국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장소의 특성상 [[역덕]]들에게 인기가 있을 듯하고, 주변에 백탑사 등 다른 유명(?) 관광지도 있지만 가이드북에도 실리지 않았다. == 배향된 제왕과 공신의 명단 == === 제왕(경덕숭성전) === || [[파일:external/a2.att.hudong.com/300142306070134132226588753_950.jpg]] || || 경덕숭성전(景德崇聖殿 / 景德崇圣殿) || 청 왕조가 정통으로 인정한 왕조의 제왕들만 모셨다. 요, 금, 원 등 북방민족이 개국한 왕조뿐만 아니라 남북조에서는 남조와 북조의 황제들도 모두 모셨다. '''지속기간이 짧거나 찬탈로 왕조를 개창한''' [[진(통일왕조)|진나라]], [[서진]], [[수나라]]는 통일왕조라도 제외하였다.[* 특히 '''황제'''라는 지위의 시초인 [[진시황]]이 역대제왕묘에 제외됐다는 사실은 많은 시사점을 남긴다. 다만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진시황이 배향되지 않았다는것을 역대제왕묘에 방문해서야 알았다는 증언들도 많다(...)] 다만 [[동진]]은 서진 황실의 혈통에 이어서 지속된 사마씨 왕조임에도 불구하고 포함되었다. 폐위된 황제들은 빠졌고 [[후당]] 임금들 중 개국자 장종 [[이존욱]] 대신 2대 황제 명종 이사원만 모셨다. [[후주]] 역시 [[시영|세종]]만 모셨다. 삼국시대 군주들 중에선 [[위(삼국시대)|위]]와 [[오(삼국시대)|오]]는 빠지고 [[촉한]]의 [[소열제]] 유비만 모셨다. 나름의 기준을 통해 걸렀다는 이야기. [[걸왕]]이나 [[당중종]]처럼 나라를 위태롭게 한 인물들이나 나쁜 평가를 받은 황제는 제외하였다. 그런데 남조 유송의 [[효무제(유송)|효무제]]나 [[명제(유송)|명제]], 당나라의 [[의종(당)|의종]]과 [[희종(당)|희종]], 명나라의 [[가정제]]처럼 도저히 모실 필요가 있나 싶은 이상한 황제들이 섞이긴 했다. 남북조시대 황제들 중에서 남조는 [[유송]], [[남제]], [[남진]]의 황제들, 북조는 [[북위]]의 황제들을 모셨다. * [[삼황]]: [[복희(중국 신화)|태호복희씨]], [[신농|염제신농씨]], [[황제(중국 신화)|황제헌원씨]] * [[삼황|오제]]: [[소호|소호금천씨]], [[전욱|전욱고양씨]], [[제곡|제곡고신씨]], [[요(삼황오제)|제요도당씨]], [[순(삼황오제)|제순유우씨]] * [[하나라]]: [[우(하나라)|우]], 계, 중강, 소강, 저, 괴, 망, 설, 불강, 경, 근, 공갑, 고, 발 * [[상나라]]: [[탕왕|성탕]], [[문명왕|태갑]], 옥정, 태강, 소갑, 옹기, 태무, 중정, 외임, 하단갑, 조을, 조신, 옥갑, 조정, 남경, 양갑, 반경, 소신, 소을, 무정, 조강, 조신, 늠신, 경정, 태정, 제을 * [[주나라]]: [[무왕(주)|주무왕]], [[성왕(주)|주성왕]], [[강왕(주)|주강왕]], [[소왕(주)|주소왕]], [[주목왕]], [[주공왕]], [[주의왕]], [[주이왕]], [[주선왕]], [[평왕|주평왕]], [[환왕|주환왕]], [[장왕(주)|주장왕]], [[희왕(주)|주희왕]], [[혜왕(주)|주혜왕]], [[양왕(주)|주양왕]], [[주경왕]], [[광왕]], [[정왕(주)|주정왕]], [[간왕(주)|주간왕]], [[영왕(주)|주영왕]], [[주경왕]], [[원왕(주)|주원왕]], [[주정정왕]], [[고왕(주)|주고왕]], [[주위열왕]], [[안왕(주)|주안왕]], [[열왕]], [[현왕(주)|주현왕]], [[신정왕]] * [[전한]]: [[한고제]], [[혜제(전한)|한혜제]], [[한문제]], [[한경제]], [[한무제]], [[소제|한소제]], [[선제(전한)|한선제]], [[원제(전한)|한원제]], [[성제(전한)|한성제]], [[애제(전한)|한애제]] * [[후한]]: [[광무제|한광무제]], [[명제(후한)|한명제]], [[장제(후한)|한장제]], [[화제(후한)|한화제]], [[상제(후한)|한상제]], [[안제(후한)|한안제]], [[순제(후한)|한순제]], [[충제|한충제]] * [[촉한|계한]]: [[유비|한소열제]] * [[동진]]: [[진원제]], [[진명제]], [[진성제]], [[사마악|진강제]], [[사마담|진목제]], [[사마비|진애제]], [[진간문제]] * [[남북조시대]] [[남조#s-1.1|남조]]: [[유의륭|송문제]], [[효무제(유송)|송효무제]], [[명제(유송)|송명제]], [[소색|제무제]], [[진천(남진)|진문제]], [[진욱|진선제]] * [[남북조시대]] [[북조#s-1.1|북조]]: [[탁발규|북위도무제]], [[탁발사|북위명원제]], [[태무제|북위태무제]], [[문성제|북위문성제]], [[탁발홍|북위헌문제]], [[효문제|북위효문제]], [[효명제|북위효명제]] * [[당나라]]: [[당고조]], [[당태종]], [[당고종]], [[당예종]], [[당현종]], [[당숙종]], [[당대종]], [[당덕종]], [[당순종]], [[당헌종]], [[당목종]], [[당문종]], [[당무종]], [[당선종]], [[당의종]], [[당희종]] * [[후당]]: [[이사원|후당명종]] * [[후주]]: [[시영|후주세종]] * [[요나라]]: [[야율아보기|요태조]], [[요태종]], [[요경종]], [[요성종]], [[흥종|요흥종]], [[도종|요도종]] * [[송나라]]: [[송태조]], [[태종(송)|송태종]], [[송진종]], [[송인종]], [[영종(북송)|송영종]], [[송신종]], [[송철종]], [[송고종]], [[송효종]], [[송광종]], [[영종(남송)|송영종]], [[송이종]], [[송도종]], [[송단종]] * [[금나라]]: [[금태조]], [[금태종]], [[금세종]], [[금장종]], [[금선종]], [[금애종]] * [[원나라]]: [[칭기즈 칸|원태조]], [[오고타이 칸|원태종]], [[구유크 칸|원정종]], [[몽케 칸|원헌종]], [[쿠빌라이 칸|원세조]], [[원성종]], [[원무종]], [[원인종]], [[원진종]], [[원문종]], [[원영종]] * [[명나라]]: [[명태조]], [[건문제|명혜종]], [[명성조]], [[홍희제|명인종]], [[선덕제|명선종]], [[정통제|명영종]], [[경태제|명대종]], [[성화제|명헌종]], [[홍치제|명효종]], [[정덕제|명무종]], [[가정제|명세종]], [[융경제|명목종]], [[숭정제|명사종]] === 공신 === ==== 관제묘 ==== * 삼국시대: 관제(關帝) [[관우]] ==== 동배전 ==== * 삼황: [[풍후]][* 風后 황제헌원씨의 재상. 역법과 병법, 산수의 창시자라고 전한다.], [[창힐]] * 오제: 기[* 夔 요임금의 대신으로 음악의 신이다.], [[백이와 숙제|백이]] * 상나라: [[이윤(상)|이윤]], 부열[* 傅說 상왕 무정 때의 승상이다.] * 주나라: 소공 석[* 召公 奭 [[무왕(주)|주무왕]]의 동생으로 형인 주공 단과 함께 주나라의 개국공신이다. 연나라와 소나라의 창시자이며 삼공에 올랐다.], 필공 고[* 畢公高 [[무왕(주)|주무왕]]의 동생으로 주나라의 개국공신이다.], 여후[* 吕侯 주목왕의 대신이다.], 소목공 호[* 召穆公 虎 소공 석의 후손으로 주선왕을 즉위시켰으며 공화시기를 이끈 대신이다.], 중산보[* 仲山甫 주선왕시기 중흥을 이끌었던 대신이다.] * 전한: [[장량(전한)|장량]], [[조참]], [[주발]], 위상[* 魏相 한선제 시대의 승상으로 [[곽광]]의 세력을 물리치는데 공을 세웠다.] * 후한: 고밀원후(高密元侯) 등우(鄧禹), 호치민후(好畤愍侯) 경엄(耿弇) * 계한: 충무후(忠武侯) [[제갈량]] * 당: 양국문소공(梁國文昭公) [[방현령]], 위국경무공(衛國景武公) [[이정]], 문정공(文貞公) 송경(宋璟), 분양충무왕(汾陽忠武王) [[곽자의]], 허원(許遠), 서평충무왕(西平忠武王) 이성(李晟), 진국문충공(晉國文忠公) 배도(裴度) * 북송: 조빈(曹彬), 이항(李沆), 왕증(王曾), 부필(富弼), 문언박(文彦博) * 남송: 이강(李綱), 기충무왕(羈忠武王) [[한세충]](韓世忠), 신국충렬공(信國忠烈公) [[문천상]](文天祥), 신무순왕(信武順王) [[오린(북송)|오린]], 주충정왕(周忠定王) [[조여우]](趙汝愚) * 금나라: 진환충왕(秦桓忠王) 완안종한(完顔宗翰) * 원나라: 노국충무왕(魯國忠武王) [[무카리]] (穆呼哩), 부후무(布呼密) * 명나라: 중산무녕왕(中山武寧王) [[서달]], 개평충무왕(開平忠武王) [[상우춘]], 양사기(楊士奇), [[우겸]], 충선공(忠宣公) 유대하(劉大夏) ==== 서배전 ==== * 삼황: [[역목]][* 力牧 황제헌원씨의 대신. 축산의 창시자라고 한다.] * 오제: 고요[* 皋陶 순임금의 신하로 법을 집행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용[* 龍 순임금의 신하로 간언을 담당하였다.], 백익[* 伯益 우임금을 보와 치수를 하였다고 한다.] * 상나라: 중훼[* 仲虺 탕왕의 신하로 하나라 걸왕을 정벌할 때 백성에게 이르는 글을 지었다.] * 주나라: [[주공단]], [[강상|태공망]], 방숙[* 方叔 희성이다. 주선왕 시대의 대신으로 중산보와 함께 주선왕 시대의 중흥을 이끌었다.], 윤길보[* 尹吉甫 주선왕 시기 중흥을 이끌었던 대신이다. 시경을 채집했다고도 전한다.] * 전한: 찬문종후(酇文終侯) [[소하]], 곡역헌후(曲逆獻侯) [[진평]], 성양경왕(城陽景王) [[유장]], 박양정후(博陽定侯) 병길(丙吉) * 후한: 양하절후(陽夏節侯) 풍이(馮異), 신식충성후(新息忠成侯) [[마원]] * 계한: 순평후(順平侯) [[조운]] * 당나라: 내국성공(萊國成公) [[두여회]], 양국문혜공(梁國文惠公) [[적인걸]], 문정공(文貞公) 요숭(姚崇), [[장순(당나라)|장순]], 업현후(鄴縣侯) 이필, 선공(宣公) 육지(陸贄) * 요나라: 야율갈로(耶律曷魯) * 북송: 문목공(文穆公) 여몽정(呂蒙正), 내국충민공(莱國忠愍公) [[구준(북송)|구준]], 초국문정공(楚國文正公) [[범중엄]], 충헌위군왕(忠獻魏郡王) [[한기(북송)|한기]], 온국문정공(溫國文正公) [[사마광]] * 남송: 풍국충간공(豊國忠簡公) 조정, 악충무왕(鄂忠武王) [[악비]], 월충정왕(越忠定王) [[사호(남송)|사호]], 이충안왕(利忠安王) [[맹공]], 위충헌왕(衛忠獻王) [[사미원]][* 권신인데도 등재되었다. 명재상 답게 국정을 잘운영한것이 큰이유인것 같다. 하긴 애당초 [[한탁주]]가 쌓아놓은 실책을 혼자서 다 수습한걸 보면 권신이자 명재상 이였던것같다. ] * 금나라: 정국왕(鄭國王) 완안알로(完顔斡魯), 송환숙왕(宋桓肅王) 완안종망(完顔宗望) * 원나라: 회충무왕(淮忠武王) [[바린 바얀|바얀]], [[톡토 테무르]], 충정하남왕(忠定河南王) [[수부타이]] * 명나라: 성의문성백(誠意文成伯) [[유기(명나라)|유기]], 기양무정왕(岐陽武靖王) 이문충, 문민공(文敏公) 양영(楊榮), 문달공(文達公) 이현(李賢) == 전근대시대 동아시아의 사당 목록 == * [[문묘]] * [[사직#s-2]]/[[사직단]] * [[신궁#s-1]]/[[신사#s-4]] * [[종묘]] * [[9단8묘]] == 관련 문서 == * [[역사 관련 정보/중국 역대 군주]] [[분류:중국의 관광지]][[분류:사당]][[분류:중국의 박물관]][[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분류:9단8묘]][[분류:중국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