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 延 (늘일 연) == [include(틀:조선 좌명공신)]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yyyyy@1.jpg|width=60]]||'''{{{#4a2d5b {{{+1 谷山 延氏[br]곡산 연씨}}}}}}''' ||}}} || || '''관향''' ||[[황해북도]] [[곡산군]] 고성리[*A 원주소는 前 [[곡산군#s-4|황해도 곡산군]] 청계면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List.aspx?mc=AD0101&ac=A0604004&tid=AD010100038844&direct=1|곡성리]]였다.과거 [[조선 태종]]이 신사년 봄에 [[연사종]]을 [[https://sillok.history.go.kr/id/kda_11605008_009|곡성군]](谷城君)에 훈봉하였다. 후일인 [[1952년]] [[북한]]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곡산군#s-4|황해도 곡산군]] 청계면 곡성리(성곡리)와 [[곡산군#s-4|황해도 곡산군]] 청계면 고로리를 통합해 現 [[황해북도]] [[곡산군]] 고성리를 신설했다. ] || || '''중시조'''[br]{{{-3 (실질)}}} ||[[연사종]](延嗣宗) || || '''집성촌'''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前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계동]](노해출장소)][br][[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br][[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br][[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br][[대전광역시]] [[대덕구]] [[황호동]][br][[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부수동[br][[충청북도]] [[청주시]] [[모충동]][br][[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br][[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br][[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br][[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 '''인구''' ||33,891명^^(2015년)^^ | 국내 76위 || || '''웹사이트''' ||[[http://www.goksan.co.kr/|곡산연씨대동종친회(谷山延氏大同宗親會)]] || [목차] [br][br][br][br][br][br] === 개요 === 現 [[황해북도]] [[곡산군]] 고성리[*A]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중시조는 [[조선]] 초기 [[함경도]] [[함흥]] 출신의 [[장군]] '''[[연사종]]'''(延嗣宗)이다. 전국 76순위 소수성씨로 전체 26명의 과거급제자를 배출했는데 그 가운데 [[무과]] 출신이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OriginFamilyPeopleList.aks?classCode=MU&className=%EB%AC%B4%EA%B3%BC&originNameGanada=%EA%B0%80&originName=%EA%B3%A1%EC%82%B0(%E8%B0%B7%E5%B1%B1)&familyName=%EC%97%B0%EC%94%A8(%E5%BB%B6%E6%B0%8F)&hyeonjeon=EST&isEQ=false&kristalSearchArea=P|22명]]으로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무관#s-3|서반가]](西班家)이다. 주요 서반은 절충[[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7_00228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석복]](延碩福)·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정일]](延精一)·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탁립]](延卓立)·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39_010898&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택]](延澤)·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675_01394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재희]](延再熙)· 어모[[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b_1579_00626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개]](延愷)· 건공[[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b_1621_00530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섭]](延涉)· 선략[[장군]]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2_02065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승천]](延承天)등이다. === 기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5249345883525218.jpeg.jpg|width=500]]}}} || || {{{#ece5b6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 [[연사종]](延嗣宗) 장군 초상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wanghae-Province-Scenery.jpg|width=700]]}}} || || {{{#ece5b6 '''[[연(성씨)|곡산 연씨]] 관향인 황해북도 곡산군(谷山郡)'''}}} || >[[토성(동음이의어)#s-3|토성]](土姓)이 6이니, 우(禹)·노(盧)·강(康)·한(韓)·용(龍)·연(延)이요, 내성(來姓)이 2이니, 백(白)·이(李)이요, 【지금은 없다. 】 망성(亡姓)이 2이니, 척(拓)·전(全)이다. >---- > [[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8001_005|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곡산군#s-4|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부원군|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 [[연사종]](延嗣宗)이 졸(卒)하였다. 사종(嗣宗)의 자(字)는 불비(不非)요, [[곡산군#s-4|황해도 곡산]](谷山) 사람으로서 [[함흥부]]로 옮겨 산 지가 삼대가 되었다 >----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04020_003 |《세종실록》 16권, 세종 4년 4월 20일 병오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곡산 연씨'''(谷山 延氏)는 [[고려]] 말부터 [[곡산군#s-4|곡산]] 지역 토성이족으로[* [[토성(동음이의어)#s-3|토성]](土姓)이란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표현으로 지역의 성씨 중에서 [[고려시대]] 이래로 여러 차례 관직을 지낸 기록이 있어 조선 건국 이전부터 벼슬 품관(品官) 집단(集團)의 성씨 즉 양반 가문으로 인식된 성씨를 말한다. ] 후일 중시조 [[연사종]]의 [[할아버지|조부]] 연씨[*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출생, 성은 연(延)씨이나 이름은 불명이다.]가 [[함흥부]][* 現 [[함경남도]] [[함흥시]]]로 세거지를 욺긴 뒤 손자 [[연사종]]까지 3대에 걸쳐 세거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곡산군#s-4|곡산군]]의 주요 [[토성(동음이의어)#s-3|토성]](土姓)으로 우(禹)·[[노씨|노]](盧)·[[강씨|강]](康)·[[한씨|한]](韓)·[[용씨|용]](龍)·연(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 중시조 '''[[연사종]]'''(延嗣宗)은 [[조선]] 초기의 [[장군]]으로 現 [[함경도]] [[함흥]] 출신이다. [[동북면]]에서의 경험을 인정받아 [[조선 태종|태종]]과 [[조선 세종|세종]]하에서 군 최고 직위인 [[동북면]][[병마절도사|병마도절제사]][* 現 [[국군]] [[중장]]급 ][*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001016_003|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1월 16일 계미 3번째기사]] ]와 판중군도총제부사[* [[https://sillok.history.go.kr/search/searchResultList.do|세종실록 3권, 세종 1년 3월 5일 기유 2번째기사]]] 그리고 [[동북면]]도순문사[* 現 [[국군]] [[원수(계급)|원수]] 급][* 최이·연사종·김승주·[[이종무]]·조비형·윤곤·마천목 등을 외방의 군 책임자로 보내다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307019_001|태종실록 26권, 태종 13년 7월 19일 병신 1번째기사]]]를 역임하고 후일 [[조선 태종|태종]]에 의해 [[한성판윤|판한성부사]][* 現 [[서울시장]] ]를 역임하며[* [[http://sillok.history.go.kr/id/kca_10710003_001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 1월 15일 을해 2번째기사 ]] ] 세거지를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로 다시 옮겼다. 후일 [[조선 세종|세종]]에 의해 다시 삼군 도진무[* 도총관(都摠管), 現 [[수도방위사령관]]] 및 중군 도총제[* 도총제사(都摠制使) ]에 역임되었다. 후일 [[https://sillok.history.go.kr/id/kea_10004015_001|연경]], [[https://sillok.history.go.kr/id/kga_10605010_003|연비]],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延廕) 세 아들을 득남하였다. [[연사종]] [[장군]]은 생애 [[조선왕실]]로부터 [[부원군|곡산부원군]]·[[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개국원종공신녹권|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후일 [[조선 세종|세종]]의 명으로 [[조선 환조|환조]] [[이자춘]]의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0144|정릉]]을 정비하고 사자비를 세우는 일을 도맡기도 하였다. 現 [[황해도]] 이남 지역의 모든 곡산 연씨는 [[연사종]] [[장군]]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문중은 그를 실질적인 시조로 여긴다. 후일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3남 가운데 하나인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延廕)의 장남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3_001|연정렬]](延井冽)은 [[연안군|연안]]부사(延安府使)[* 現 [[황해남도]] [[연안군]]] 및 [[동래]]현령(東萊縣令)[* 現 [[부울경]] 지역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803017_001|성종실록 201권, 성종 18년 3월 17일 정사 1번째기사]]]과 [[옥천군|옥천]]군수(沃川郡守)[* 現 [[충청북도]] [[옥천군]]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2_001|성종실록 42권, 성종 5년 5월 12일 병신 1번째기사]]]를 지냈는데 그의 복무지 가운데 하나였던 [[옥천군|옥천]]과 주변 [[괴산군|괴산]]·[[증평군|증평]]·[[음성군|음성]]·[[청주시|청주]]·[[제천]]·[[충주]]·[[대전]]등의 [[충청북도]] 및 [[대전]] 지역은 現 곡산 연씨가 두번째로 많이 사는 지역이 되었다.[* 現 [[증평군|증평]]은 곡산 연씨가 군민의 절반이기 때문에 따라서 도안 연씨라는 이름으로도 통하며 [[증평군]] 군수 및 군의원등의 각기 [[선거]]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무과 급제자 6명[* 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51_00885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윤]](延潤) [br]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51_00846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진길]](延震吉) [br]한량(閑良)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805_02639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태훈]](延泰勲) [br]겸사복(兼司僕)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394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일립]](延日立) [br] 업무(業武)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28_00447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성집]](延聖緝) [br]전력부위(展力副尉)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291&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집]](延㠎)], 문과 급제자 1명[* 연최적(延最績)], 생원시 8명[* 연명좌(延命佐) 연명회(延明會) 연섭(延涉) 연세관(延世觀) 연주운(延周運) 연형(延瀅) 연혜증(延惠增) 연인로(延寅老) ], [[진사|진사시]] 4명[* 연기회(延耆會) 연세화(延世華) 연진경(延震卿) 연충보(延忠輔)]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충청북도]] [[청주시]] [[모충동]]·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제천시]] [[덕산면]] 그리고 [[대전광역시]] [[대덕구]] 황호동 및 신탄진동 부수동등에 이뤘다. [[16세기]]에는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a_1507_002259&category=dirSer|연음]](延廕)의 장남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0505013_001|연정렬]](延井冽)이 [[한성부]]에서 낳은 아들 가운데 하나인 [[https://sillok.history.go.kr/id/kia_11510007_002|연보]](延保)와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3명[* 포도군관(捕盗軍官)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13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신흠]](延愼欽)[br]별대마병(別隊馬兵)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095&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용서]](延龍瑞)[br]수문장(守門將)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470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응룡]](延應龍) ], [[문과]] 급제자 1명[* 연구령(延九齡)], 생원시[* 연사의(延士義)]·[[진사|진사시]][* 연창령(延昌齡) ]·의과[* 연수담(延壽聃)] 각 1명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이뤘다. [[17세기]]부터는 세거지가 [[경기도]] 각 지역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먼저 [[광주군]][* 現 [[경기도]] [[광주시]] ]을 연고로 하는 선략장군(宣略將軍)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2_02065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승천]](延承天)과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5명[* 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725&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덕항]](延德恒)[br] 무관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90_009714&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도원]](延道源) [br]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12_02065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만성]](延萬成)[br] 부사맹(副司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30_00491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봉령]](延鳳齡)[br]한량(閑良)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26_003826&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오징]](延五徵)]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에 이뤘다. 또한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자리했던 [[양주군]][*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을 연고로 하는 첨지사(僉知事)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5403&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학서]](延鶴瑞)와 어모장군(禦侮將軍)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정일]](延精一)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3명[* 겸사복(兼司僕)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37_105403&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대징]](延大澄)[br]부사과(副司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c_1784_100770&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제민]](延濟民)[br]어모장군(禦侮將軍)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670_000112&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P|연탁립]](延卓立)]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에 이뤘다. 아울러 [[포천군]][* 現 [[경기도]] [[포천시]] ]를 연고로 하는 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23_00280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연재명]](延再鳴)과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1명[* 충의위(忠義衛)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U_6JOb_1723_002809&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연후설]](延後卨)]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에 이뤘다. === 중국 기원설 === 연씨(延姓)는 1세기 [[후한]]의 [[정사(역사)|정사서]]인 [[한서]]•[[https://zh.wikipedia.org/wiki/%E5%BB%B6%E5%A7%93|서역전]]《汉书•西域传》에 따르면 처음에는 [[허난성]] [[난양]]을 본관으로 삼아 점차 확대되었다. 난양 연씨(南阳延氏) 인물로는 [[https://zh.wikipedia.org/wiki/%E5%BB%B6%E5%B2%91|연잠]](延岑, ?-36년), [[https://zh.wikipedia.org/wiki/%E5%BB%B6%E7%AC%83|연독]](延笃,?-167년)등이 있다. 후일 후대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다가 [[14세기]] 고려 말에 닿아서 [[고려]] 곡주(谷州)[*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의 [[고려]] 시대 지명]의 토성이족인 곡산 연씨(谷山 延氏)가 다시 출현하였다.[* 과거 유사역사학자 일부가 이러한 한서서역전《汉书•西域传》의 기원과 정설을 애써 무시하고 연계령(延繼岺)이 1123년 중국의 하남 홍농에서 태어나 1196년 3월 10일에 죽었고, 6대손(7세)인 연수창(壽菖)이 송나라로부터 고려에 들어왔고 곡산 연씨를 이루었다고 사이비 역사학을 주장하기도 하였는데.. 시조(계령), 2세(한공), 4세(경보), 6세(세린)의 이름은 전주 '''김씨''' 시조 김태서의 현조부(계령 또는 계삼), 고조부(한공), 증조부(경보), 조부(세린)의 이름과 일치할 뿐더러 이미 학계에서는 사장되었다.] === 집성촌 ===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前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계동]](노해출장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 *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 * [[대전광역시]] [[대덕구]] [[황호동]] *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 부수동 * [[충청북도]] [[청주시]] [[모충동]]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 항렬자 === [[파일:연-곡산.jpg]] === 분파 === * 상주공파(尙州公派) * 연안공파(延安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별좌공파(別坐公派) * 감역공파(監役公派) * 지평공파(砥平公派) * 정랑공파(正郞公派) * 사과공파(正郞公派) * 충위공파(忠衛公派) * 충사공파(忠司公派) * 교위공파(校尉公派) * 장영공파(掌令公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 호군공파(護軍公派) * 첨정공파(僉正公派) * 목사공파(牧使公派) * 옥천공파(沃川公派) * 판서공파(判書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안음공파(安陰公派) * 작달파(爵達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눌문파(訥文派) * 금당파(金塘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감찰공파(監察公派) === 세보 === [[파일:20150309102215129981.jpg|width=39%]] || • 곡산연씨경신보(谷山延氏庚申譜) : 1740년 || === 인물 === ||<-4> '''26세(羽) ''' || || [[연기우]](延基羽) || ? ~ 1911 || [[독립운동가]] || ||<-4> '''27세(秉) ''' || || [[연병호]](延秉昊) || 1894 ~ 1963 || [[정치인]] || ||<-4> '''29세(圭) ''' || || [[연규횡]](延圭鐄) || 1921 ~ 1989 || 교육인 [br] [[충북대학교]] 제6·제9·제10대 총장, 제2대 [[충청북도교육청|충청북도교육감]] || || [[연규진]](延圭眞) || 1945 ~ || [[배우]] [br] [[연정훈]]의 父 || || [[연규성]](延圭成) || 1980 ~ || [[가수]] || ||<-4> '''30세(圭) ''' || || [[연철흠]](延哲欽) || 1960 ~ || [[정치인]] || || [[연경흠]](延卿欽) || 1983~ || [[야구선수]] [br] 前 [[한화 이글스]] 외야수 || || [[빛솔|연정흠]](延?欽) || 1996 ~ || [[인터넷 방송인]] || ||<-4> '''31세(濟) ''' || || [[연제원(정치인)|연제원]](延濟源) || 1927 ~ 2010 || [[기업인]] [br] 삼모흥업 회장·정치인 || || [[연제원]](延濟?) || 1983~ || [[만화가]] || || [[연제욱]](延濟旭) || 1987 ~ || [[배우]] || || [[연제형]](延濟亨) || 1995 ~ || [[배우]] || || [[Jaykeeout|연제민]](延濟?) || 1996 ~ || [[인터넷 방송인]] [br] 유튜버 [[Jaykeeout]] || || [[연제민]](延濟民) || 1993 ~ || [[축구선수]] || || [[연제운]](延濟運) || 1994 ~ || [[축구선수]] || ||<-4> '''32세(模) ''' || || [[연형모]](延形模) || 1991 ~ || [[프로게이머]] [br] [[리그오브레전드]] || * '''[[연형묵]]''' - [[북한]] 제7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무원총리|총리]]·[[남북기본합의서]] 채택 * [[연사종]] - [[조선]]의 [[장군]]·[[부원군]]·[[공신#좌명공신(佐命功臣)|좌명공신]]·[[개국원종공신녹권|개국원종공신]] * [[연철호]] - '''[[노무현]]''' 전 대통령의 형 [[노건평]]의 사위 * [[연종석]] - 정치인 * [[김태정(법조인)|연정희]] - [[김태정(법조인)]]의 부인 * [[연병해]] - 언론인 * '''[[연상호]]''' - 애니메이션/영화 감독 * [[연광철]] - 성악가 * '''[[연정훈]]''' - 남배우, 연규진의 아들 * '''[[연상엽]]''' - 한국계 미국인 남배우. 영문명 스티븐 연 * [[제이쓴|연제승]] - 인테리어 디자이너, 방송인 제이쓴 * [[연송하]] - 여배우 * [[연미주]] - 여배우 * [[연상은]] - 방송인 * [[흐림|연지예]] - 가수 겸 유투버 * [[아루(인터넷 방송인)|연아루]] - 모델 겸 인터넷 방송인 * [[연지은]] - 레이싱 모델 * [[연준석]] - 남배우 * [[연승빈]] - 남배우 * [[포도네|연지수]]- 트위치 스트리머, 유튜버 포도네 * [[딩동댕댕|연세련]] - 유튜버 딩동댕댕 == 連 (이을 연, 련) == 한국의 성씨.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연주(連珠)이며 본관은 [[전주]] 단본이다. 2015년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9명으로 조사되어 매우 흔치 않은 성이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나주]] 6가구와 본관 불명 등 전국에 7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평안남도 [[성천군]]에 나주 연씨 6가구가 모두 살고 있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에 살던 1가구는 본관 불명으로 나타났다. 이 때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유동에 살던 나주 본관의 연상섭(連相燮)씨는 전설에 의하면 延씨를 잘못 기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증언한 바 있고,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갈전리에 살던 본관 불명의 연국분(連國分)씨는 당시로부터 2, 300년 전에 자신들의 선조가 중국에서 귀화해와서 살기 시작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 외국계 인물 === * [[롄성원|연승문]](롄성원) - 대만의 정치인. [*連] * [[롄샤오|연소]](롄샤오) - 중국의 바둑 기사 [*連] * [[롄잔|연전]](롄잔) - 대만의 정치인 [*連] == 燕 ([[제비]] 연) == 본관은 정평, 영평, 전주, 평주, 곡산 등 이 문헌에 전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대성팔족]]의 하나였다. 2015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는 2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16명이 전주연씨에 속한다. 백제에서 연씨는 연비(燕比)라는 복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며[* 제비를 표기한 것이란 가설이 있다. 앞 글자는 훈을 나타내고 뒷 글자는 음차를 나타낸 거라면 딱 맞기 때문.] 중국에서는 [[연나라]]의 성씨이다. 참고로 [[흥부전]]의 [[흥부]], [[놀부]] [[형제]]가 바로 이 성씨다.[* 그리고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흥보만보록]]에서는 두 형제의 성씨가 [[장(성씨)|장씨]], 그것도 [[덕수 장씨]]로 나온다. 아마도 이후에 내용이 구전되면서 [[제비]](燕)가 나오는 이야기라는 뜻에서 연씨라는 설정이 붙었다고 추정된다. 그런가 하면 [[제비]]가 [[흥부]], [[놀부]] [[형제]]에게 박씨를 가져다 줬다고 해서 [[박씨]]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 淵 ([[연못|못]] 연) == [[고구려]]의 권신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이다. 한국에서는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한국의 성씨/사라진 성씨]] 참고. 일본 측 기록에서는 연씨가 '이리(伊梨)' 씨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이리거세사]], 이리가수미(=연개소문)가 나온다. === 연개소문과 그의 가족 === 연개소문의 성씨인 淵씨이다. 자세한 사항은 [[연개소문#s-3.1.2|여기]] 참조. * [[연자유]] * [[연태조]] * [[연개소문]] * [[연정토]] * [[연남생]] * [[연남건]] * [[연남산]] * [[연헌충]] * [[연헌성]] * 연현은 * [[연비#s-4.2]] == 그 외 인물 == * [[연갱요]][* 연개소문하고는 상관없는 청나라 인물로 年씨이다.] === 예명 === * [[연민지]] - 배우[* 본명은 이민지] * [[연우진(배우)|연우진]] - 배우[* 본명은 김봉회.] === 가상인물 === * [[Paradox Live]] - [[연하준]], [[연동하]] * [[광기(무협소설)|광기]] - [[연자심]] * [[귀곡의 문]] - [[연나랑]] * [[나우(만화)|나우]] - [[연아란]], [[연아린]] * [[내 ID는 강남미인!]] - 연우영 * [[다시쓰는 연애사]] - [[다시쓰는 연애사/등장인물#s-4.3|연주홍]] * [[동생친구]] - 연가은 * [[홍시는 날 좋아해!]] - 연가을 * [[레코닝]] - [[연우연]] * [[리멤버 - 아들의 전쟁]] - [[연보미]] * [[베리베리 뮤우뮤우 뉴~♡]] - [[미도리카와 레타스|연그린]] [* 구작에서는 배레티로 나왔음] * [[마기(만화)]] - [[연홍염]], [[연백룡]], [[연옥염]], [[연홍옥]], [[연홍명]], [[연홍패]], [[연백영]] * [[맘마미안]] - 연금옥 * [[미르모 퐁퐁퐁]] - [[연우진(미르모 퐁퐁퐁)|연우진]] * [[소문난 칠공주]] - [[연하남]] * [[수호전]] - [[연청]] * [[스카드 잼 정령석의 구애]] - [[연가을]] * [[신데렐라 일레븐]] - [[연유란]], [[연유아]] * [[신석기녀]] - [[연소연]] * [[신의 탑]] - [[연 한아]], [[연 이화]], [[연 운]] * [[약한영웅]] - [[연시은]] * [[연록흔]] - 연록흔 * [[왔다! 장보리]] - [[연민정]] * [[위험한 약속]] - [[연두심]] * [[은사(웹툰)|은사]] - 연민희 * [[존잘주의]] - [[연하늘]] * [[좀비고등학교]] - [[연선우]] * [[주몽(드라마)|주몽]] - 연타발, 연채령 * [[천뢰무한]] - [[연자심]] * [[클로젯]] - 연상원, 연이나 * [[클라우드]] - 연하늘 * [[테러맨]] - [[연하연]]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기타 등장인물#s-4.6|연채신]] * [[한백무림서]] - [[연선하]] * [[흥부전]] - [[흥부|연흥부]], [[놀부|연놀부]][* 초기 판본인 홍보만보록에서는 [[장(성씨)|장씨]]로 나온다. 연씨라는 설정은 이후의 판본에서 처음 나온다.] * [[Fate 시리즈]] - [[신주쿠의 어새신|연청]] * [[연우의 순정]] - [[연우(연우의 순정)|연우]] [[분류: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