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연산군 시리즈)] ||<-2> {{{+1 '''연산군'''}}} (1987)[br]燕山君 | ''Mad Ki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연산군(1987) 포스터.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다른 포스터 ▼ [[파일:연산군(1987) 포스터 2.jpg|width=100%]]}}}}}} || || '''감독''' || [[이혁수]] || || '''원작''' || [[박종화]] || || '''각본''' || 나한봉, 윤삼육 || || '''기획''' || 방규식 || || '''제작''' || 강대진 || || '''주연''' || [[이대근]], [[강수연]] || || '''촬영''' || 이성춘 || || '''조명''' || 차정남 || || '''음악''' || [[황병기]], 정민섭 || || '''미술''' || 김유준 || || '''제작사''' || ㈜삼영필림 || || '''개봉일''' || [[1987년]] [[10월 1일]] || || '''개봉관''' || [[국도극장]] || || '''관람인원''' || 100,753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혁수]] 감독의 1987년 개봉 영화. 월탄 [[박종화]]의 장편소설 〈금삼의 피〉를 원작으로 [[연산군]]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다. [[연산군]]과 [[장녹수]] 역은 각각 [[이대근]]과 [[강수연]]이 캐스팅됐다. 같은 해에 [[연산군]]이라는 똑같은 소재를 두고 [[임권택]] 감독의 《[[연산일기]]》와 맞붙게 됐는데, 이는 과거 1961년 같은 해에 [[춘향전]]을 소재로 홍성기 감독의 《[[춘향전(1961)|춘향전]]》과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이 맞붙은 사건의 재판이라 화제가 됐다.[* 특히 당시 양쪽 영화의 감독과 주연 여배우가 모두 부부 사이(홍성기-[[김지미]] vs [[신상옥]]-[[최은희(배우)|최은희]])라서 '홍춘향'과 '신춘향'의 대결이라면서 떠들썩 했다.] 이 영화는 원작을 충실하게 재현한 반면 《연산일기》는 오리지널 시나리오인 점이 다르며, 이 영화의 [[이대근]]이 거칠고 투박한 풍모라면 《연산일기》의 [[유인촌]]은 섬세하지만 신경질적인 면모라 대조를 보인다. 이 작품은 먼저 개봉해 관객 10만명을 동원하면서 당해 흥행 순위 4위에 오른 반면, 《연산일기》는 상영중지 가처분 신청을 당하는 등 개봉도 늦어지고 흥행도 폭망했다. [[국악인]] [[황병기]]가 현대풍의 창작 국악곡을 선보였고, 한복 디자이너 그레타 리가 화려한 의상의 볼거리를 제공했다. [[대종상]]에서 촬영상과 음악효과상 2개 부문을 수상했다. == 등장인물 == * [[이대근]] - [[연산군]] 역 * [[강수연]] - [[장녹수]] 역 * [[정혜선(배우)|정혜선]] - [[인수대비]] 역 * [[최무룡]] * [[선우은숙]] - [[폐비 윤씨]] 역 * [[남궁원]] * [[전무송]] - [[제안대군]] 역 * [[정애란]] * [[남포동(배우)|남포동]] * [[국정환]] * [[양택조]] == 줄거리 == 생모인 [[폐비 윤씨]]의 억울한 죽음은 어린 [[연산군]]([[이대근]])에게 깊은 상처와 한을 남겼다. 언제나 그리움으로 존재하는 어머니를 찾아 헤매는 연산군의 인간적 고뇌와 번민은 그칠 줄 모르고 이로 인해 연산군은 방탕한 생활로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몸부림을 치는데, [[장녹수]]([[강수연]])가 그의 앞에 나타난다. 연산군은 그녀에게 모성적인 사랑을 느끼는데 장녹수는 이를 발판으로 신분 상승을 꾀한다. 이 영화는 폭군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인간의 이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 수상 == * 1987년 제26회 [[대종상]] 촬영상(이성춘) · 음악효과상(이재희) [[분류:한국 영화]][[분류:1987년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소설 원작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한국의 역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