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2> '''[[세종특별자치시|{{{#000000,#dddddd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연서면}}}'''[br]燕西面 | Yeonseo-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세종특별자치시 || || '''행정표준코드''' || 5690072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26행정리 128반 || || '''면적''' || 54.60㎢ || || '''인구''' || 7,078명[*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29.6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세종특별자치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강준현]] ,,(초선),, || ||<-2> '''세종특별자치시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지성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대첩로 238 (성제리 293) || || [[https://www.sejong.go.kr/yeonseo/index.do|연서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세종특별자치시]]의 [[면(행정구역)|면]]. 주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면사무소에서 [[조치원읍]] 신흥리까지 1km 정도밖에 안 떨어져 있어서 [[조치원읍]]과의 연계성이 주변 [[연동면]], [[전동면]]에 비해 매우 강하다. [[행복도시]]와도 비교적 가깝다. 아래 [[연기면]]을 지나면 바로 행복도시다. == 역사 == * 1909년: 군제개편으로 서면이라 칭함. 6개 리.[* 기룡리, 쌍류리, 신대리, 국촌리, 용암리, 청라리][[http://theme.archives.go.kr/next/acreage/listOldnameSearch.do?page=9&depth1=%EC%B6%A9%EC%B2%AD%EB%82%A8%EB%8F%84&depth2=%EC%97%B0%EA%B8%B0%EA%B5%B0&depth3=%EC%84%9C%EB%A9%B4&depth4=%EC%B2%AD%EB%9D%BC%EB%A6%AC&arch_tp_id=12&serviceCode=7-7-7|#]] *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연기군, 전의군, 공주군 일부를 연기군으로 통합.) * 군내면(郡內面) 폐지. 7개 리[* 보통리, 수산리, 눌왕리, 교촌리 / 봉암리, 부동리, 와촌리] 중 3개 리[* 와촌리, 봉암리, 부동리] 서면 편입[* 나머지는 남면(현 [[연기면]]) 편입]. 9개 리.[* 기룡리, 쌍류리, 신대리, 국촌리, 용암리, 청라리/ 와촌리, 봉암리, 부동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6710|#]] * 1920년: 17개 리[* 기룡리, 쌍류리, 신대리, 국촌리, 용암리, 청라리 / 와촌리, 봉암리, 부동리 (본래 군내면) / 월하리, 쌍전리, 고복리, 성제리 (본래 북면) / 번암리, 내창리, 신동리, 동리 (이후 조치원 편입)]. * 면제개정으로 북면 폐지. 북면 10개 리[* 조치원리, 죽내리 / 월하리, 쌍전리, 고복리, 성제리 / 번암리, 내창리, 신동리, 동리]중 8개 리[* 월하리, 쌍전리, 고복리, 성제리 / 번암리, 내창리, 신동리, 동리] 편입(2개 리[* 조치원리, 죽내리]는 조치원면 구성). * 1931년: (조치원면→[[조치원읍]] 승격) * 1940년: 4개 리[* 내창리, 동리, 신동리, 번암리] 조치원읍 편입. 13개 리. * 1942년: 면사무소를 조치원읍 번암리에서 현위치인 성제리로 이전 * 1987년: 봉암출장소 개설 * 1999년: 봉암출장소를 서면주민자치분야로 명칭변경 * 2004년: 면청사 신축과 함께 서면주민자치센터 개소 *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연서면으로 개칭. 연기군 기준으로 서쪽이라고 하여 서면→연서면(2012년) 식의 이름이 지어졌다. 북면(현 [[조치원읍]]) / 동면([[연동면]]) / 서면(연서면) / 남면(현 [[연기면]]) 식. 본래 연기면 이남([[금남면(세종)|금남면]], [[행복도시]] 일대, [[장군면]])은 공주군(현 [[공주시]]) 관할이었기에 1914년 이후 기준으로 북쪽 연기군에 대해서만 이러한 동서남북 지명이 붙었다. == 관할리 (13리) == === 구 북면 4리 (북→남) === 월하리, 쌍전리, 고복리, 성제리는 조치원읍의 전신인 북면이었다가 1920년 북면 일부를 조치원면으로 분리하고 나머지를 폐지하면서 편입된 곳이다. 대체로 월하천 이북이다. ==== 고복리 ==== 이곳에 고복저수지, 오봉산이 있다. ==== 성제리 ★ ==== 연서면사무소가 있다. 연서면의 행정상 중심지이지만 시가지가 발달되지는 않았다. 대신 [[조치원읍]]이 2km내의 있어서 은행, 시장 등등의 업무는 조치원읍에서 보면 된다. ==== 쌍전리 ==== 세종시농업기술센터가 위치해 있다. ==== 월하리 ==== 조치원읍과 아무 장벽 없이 붙어있어 사실상 연담화되어있다. 남북으로 길쭉하며 남북을 월성로(월하-성제)가 잇는다. 조치원읍 남서쪽을 크게 두르는 피자 손잡이 같은 리. 월하1리는 조치원에서 연서면행정복지센터로 향하는 길에, 월하2리는 조치원 자이아파트에서 쌍전리로 이어지는 길에, 월하3리와 4리는 1번 국도 연선에 있어 꽤 넓직하게 퍼진 느낌을 준다. [[세종도원초등학교]]가 있으며, 육군항공부대가 있어 소음이 많이 난다. 근래에 이전하기로 결정이 난 듯하다.[[http://m.joongdo.co.kr/view.php?key=20180704010001863#cb|#]] 월하3리 앞에 [[금남면(세종)|금남면]]방면 [[세종 버스 601]], 공주방면 [[세종 버스 550]], 세종시방면 [[세종 버스 991]]이 정차한다. === 구 군내면 3리 === 이 지역은 남쪽 [[연기면]]과 가깝다. 실제로 월하천 이남 3개 리는 20세기 초기 군내면으로 함께 묶여 있었다. ==== 와촌리 ==== 와촌보건진료소가 위치해 있다. 서쪽으로 [[장군면]] 용암리로 이어진다. ==== 부동리 ==== 봉황산 밑이며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 연기조치원일반산업단지가 있다. ==== 봉암리 ==== 봉황산 밑이며 대부분의 지역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연서면의 사실상의 중심지이다. 면 인구의 3분의 1 정도가 거주한다. 연기군 시절에는 연기군 서면 봉암출장소가 설치되어 있었다가 폐지되었다. 현재도 대전, 청주, 공주, 천안 등지로 향하는 시외버스들이 정차하는 곳이다. [[연기면]]의 중심지인 연기리와도 가깝다. 연봉초등학교, [[세종교통]] 본사가 있다. === 고복저수지 서쪽 6리 === 정확히는 고복저수지-덕고개-월하천을 잇는 선의 서편이다. 조선시대부터 서면이었던 서면 중 서면이다. 다만 부군면 통폐합 이전 연기군에서는 북서쪽에 있었다. ==== 국촌리 ==== 마을을 함박로가 가르지른다. 구 서면 출신 리 중에는 봉암리와 가까이 닿아있다. ==== 기룡리 ==== ==== 신대리 ==== 대부분의 지역이 낮은 산지와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농경지가 넓게 조성되어 있다. [[연서초등학교]], [[연서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 청라리 ==== 갈미봉 끝자락에 자리하였으며 평지도 넓게 펼쳐져 있다. 서쪽으로 [[공주시]] [[의당면]] 도산리로 이어진다. ==== 쌍류리 ==== 갈미봉 밑이 되며 넓은 평지에 자리하였다. 마을 앞으로 작은 하천과 월하천이 흐른다. 서쪽으로 [[전의면]] 다방리, 북쪽으로 [[전동면]] 송성리로 이어진다. ==== 용암리 ==== 이곳에 [[고복저수지]],연기 대첩비 공원이 있다. 여름에는 연기대첩비공원내의 수영장을 무료로 개방하여 물놀이를 즐긴다. 계절마다 행사가 있을경우 전세버스나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셔틀버스로 운행할 수 있다.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공동주택]] == [[공동주택/목록/세종특별자치시]] 참조바람 == 교통 == === 도로 === [[세종로(세종)|세종로]]([[1번 국도]])가 가로지른다. 왕복 8차로로 확장될 예정이다. === 철도 === 철도는 없다. 기차를 타려면 [[조치원역]]으로 가야한다. === 버스 === ||<-3> '''연서면을 경유하는 버스 목록''' || || '''[[세종 버스 1000|{{{#ffffff 1000}}}]]''' ||[[조치원역]] - [[반석역]]||은하수공원 정류장 경유|| || '''[[세종 버스 550|{{{#ffffff 550}}}]]''' ||[[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 || || '''[[세종 버스 551|{{{#ffffff 551}}}]]''' ||[[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 || || '''[[세종 버스 601|{{{#ffffff 601}}}]]''' ||[[조치원역]] - 수루배마을8,9단지|| || || '''[[세종 버스 991|{{{#ffffff 991}}}]]''' ||대곡리 - 국책연구단지북측|| || || '''[[세종 버스 16|{{{#ffffff 16}}}]]''' ||[[조치원역]] - 은하수공원|| || || '''[[세종 버스 17|{{{#ffffff 17}}}]]''' ||[[조치원역]] - 은하수공원|| || || '''[[세종 버스 71|{{{#ffffff 71}}}]]'''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청라리|| || || '''[[세종 버스 72|{{{#ffffff 72}}}]]'''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기룡리|| || || '''[[세종 버스 73|{{{#ffffff 73}}}]]'''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평전|| || || '''[[세종 버스 74|{{{#ffffff 74}}}]]'''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쌍전리(우리요양원)|| || || '''[[세종 버스 75|{{{#ffffff 75}}}]]'''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장군면사무소|| || || '''[[세종 버스 76|{{{#ffffff 76}}}]]''' ||[[조치원공영버스터미널]] - 쌍전리마을회관|| || || [[공주 버스 500|{{{#ffffff 500}}}]] ||[[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2>[[공주시 시내버스]] (환승할인 X)|| || [[공주 버스 502|{{{#ffffff 502}}}]] ||[[조치원역]] - 산성동시내버스정류장|| 월하리와 봉암리를 제외하면 세종시 마을버스 70번대(7권역) 노선들이 주를 이루는데, 대부분 조치원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연서면 관내를 순환하는 마을버스의 형태이다. == 교육 == * '''초등학교''' * [[연서초등학교]] * [[세종도원초등학교]] * 연봉초등학교 * 쌍류초등학교 * '''중학교 ''' * 연서중학교 == 출신 인물 == * [[김부유]] * [[김선무]] * [[류지원]](성제리) * [[유진만]](국촌리) * [[유한식]](국촌리) * [[홍성국]] * [[홍순규(정치인)]](월하리) [[분류:세종특별자치시의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