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상 현상]] [목차] == 정의 == {{{+2 [[鉛]][[直]] Shear, Vertical Wind Shear}}} 연직 방향으로 풍속 및 풍향의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해발고도 100m에서 10m/s의 [[동풍]]이 불고 해발고도 200m에서 20m/s의 서풍이 불고 있다면 이 두 고도 사이에서의 연직 시어는 동쪽 방향으로 30m/s가 된다. == 상세 == 연직 시어는 다양한 소규모 및 중규모 기상 현상의 발달과 소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례로 발달하는 [[뇌우]] 주변의 강한 연직 시어는 하강 기류와 상승 기류가 서로 다른 지역에 발달하게 만들어 새로운 뇌우 세포의 형성을 유도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연직시어.png|width=100%]]}}}|| 연직 시어가 없는 환경에서는 뇌우에서 발달하는 상승기류는 하강기류에 의해 쉽게 약화된다. 반면 연직 시어가 있을 경우, 상승 기류는 하강 기류의 방해 없이 지속적으로 발달할 수 있고 뇌우가 더욱 강하고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출처: 한국기상학회) == 발생 원인 == 연직 시어는 대기 안정도, [[전선(날씨)|전선]], [[제트기류|제트]]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발생한다. 대기가 매우 안정하면 [[행성경계층]]을 경계로 상-하층간 [[운동량]] 교환이 억제된다. 이 때 행성경계층 위의 강한 바람과 지면 [[마찰]]에 의한 약한 하층 바람에 의해 강한 연직 시어가 발달한다. 이러한 이유로 역전층이 생기는 지역[* 예를 들어 지표 냉각이 매우 강한 극지방 등]은 연직 시어가 매우 크다. 반면 난류에 의한 운동량 혼합이 활발한 맑은 날 낮에는 연직 시어가 작다. 중규모 혹은 종관규모 전선(Front)도 연직 시어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전선면을 경계로 대기의 역학적, 열역학적 성질이 급변하여 하층의 풍향과 풍속이 급격히 바뀌는데, 이로 인해 강한 수평 및 연직 시어가 형성된다. 중-상층 대류권에도 강한 연직 시어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보통 상층 [[제트기류]] 근처에서 발달한다. 전지구적인 규모에서 보면 연직 시어는 크게 동서방향 평균 바람(주로 지균풍[* [[기압]] 경도에 의한 힘과 지구의 자전으로 말미암은 [[코리올리 효과|코리올리 힘]]이 균형을 이루어 부는 바람. 등압선과 나란히 불고 [[북반구]]에서는 기압이 낮은 쪽을 왼쪽에 두고 분다.])의 연직 차이로 특징 지어진다. 일반적으로 대류권 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서풍 계열의 바람이 강해지는데, 이는 [[위도]]별 불균등 가열에 의한 남북방향 온도 차이에서 기인한다. 이와 같이 남북방향 온도차에 의해 유도되는 지균 연직 시어를 온도풍 균형이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