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옹진군의 면]] [include(틀:옹진군의 면)] ||<-2> '''[[옹진군|{{{#000000,#dddddd 옹진군}}}]]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연평면}}}'''[br]延坪面 | Yeonpy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인천광역시 옹진군 연평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옹진군]] || || '''행정표준코드''' || 3580027 || || '''관할 법정리''' || 1리 || || '''하위 행정구역''' || 6행정리 30반 || || '''면적''' || 7.41㎢ || || '''인구''' || 2,111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 밀도''' || 284.89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1 중구·강화군·옹진군}}}'''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배준영]] ,,(초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옹진군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신영희 ,,(초선),, || ||<-2> '''옹진군의원 | 가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영진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종선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연평중앙로24번길 3 || || [[https://www.ongjin.go.kr/open_content/dong/?dong=yeonpyeong|연평면사무소]] || [목차][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위치한 [[면(행정구역)|면]]. 면소재지는 연평리로, 연평면의 유일한 법정리이다. 행정리는 [[대연평도]] 지역의 중부리, 남부리, 서부리, 동부리, 새마을리, 그리고 [[소연평도]] 지역의 소연평리로 구성되어 있다. == 여담 == 대연평도와 부속 도서인 소연평도, 모이도, 구지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래 [[황해도]] [[벽성군#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1938년 이전에는 해주군) 송림면에 속한 부속 도서였다. 벽성군 송림면 시절 면소재지는 육지의 송현리였으며, 이외에도 가평리·내동리·대수압리·소수압리·연평리·육도리가 있었다. 사실 육지라고는 해남면과 옹진군 봉구면 사이에 있는 조그마한 땅뙈기(송현리·가평리·내동리)가 전부이나, 섬인 대수압도·소수압도·육도·장재도를 관할하여 관할 수역은 넓었다. 하지만 연평리를 제외한 나머지는 [[6.25 전쟁]] 이후 송림면의 육지 지역, 소연평도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부속 도서가 북한으로 넘어가면서[* 이외에도 [[삼팔선|38선]] 이남에 있던 벽성군 동강면·해남면이 같이 [[북한]]으로 넘어가버렸다.] 남한이 관할하는 송림면은 연평리 하나만 남게 되었다. 즉 [[대만]]의 [[롄장현]]과 같은 신세라고 보면 된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관할하는 본토의 롄장현과 [[대만]]이 관할하는 부속 도서 롄장현이 나뉘어져 있다.] 휴전 이후 송현리의 면사무소가 연평리로 넘어왔고, 1999년 7월 20일에 연평면으로 개칭하였다. [[대한민국 해병대]] [[연평부대]]와 [[대한민국 해군]]이 주둔 중이다. 학교는 연평초중고가 같이 있다. [[꽃게]]가 특산물이다. == 관련 문서 == * [[연평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옹진군/행정, version=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