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연(춘추전국시대) 군주)] |||||| '''{{{#ece5b6 연나라 제4대 왕 {{{+1 혜왕}}} 惠王}}}''' |||||||||| |||| '''[[성씨|{{{#ece5b6 성}}}]]''' ||희(姬) || |||| '''[[휘|{{{#ece5b6 휘}}}]]''' ||악자(樂資), 융인(戎人) || |||| '''{{{#ece5b6 아버지}}}''' ||[[연소왕]](燕昭王) 희직(姬職) || || '''{{{#ece5b6 생몰 기간}}}''' || 음력 ||기원전 ???년 ~ 기원전 272년 || || '''{{{#ece5b6 재위 기간}}}''' || 음력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7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연(춘추전국시대)|연(燕)나라]] 제40대 군주. 제4대 [[왕]]. [[소양왕(연)|연소왕]](燕昭王)의 아들. [[연무성왕]]의 친척.[* 일설에는 연무성왕이 연혜왕의 아들이라고 한다.] 죽음이 불분명한 군주다.[* 일설에는 성안군(成安君)인 공손 조(公孫操)의 손에 살해당했다고 하고, 그냥 병으로 죽었다는 설도 있다.][* 그만큼 연나라의 기록이 부족하다는 증거다.] == 생애 == === 태자 시절 === 연 혜왕은 태자로 있던 시절에 [[악의(전국시대)|악의]](樂毅)가 잘나가는 것이 불만이어서 아버지 연 소왕에게 악의에 대해 참소했다. 그러자 연 소왕은 크게 노해 그에게 매질을 하면서까지 악의를 믿어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악의는 감동하여, 제나라를 민심을 얻고 최대한 조여가면서 멸망시키고자 했다.] 연소왕이 죽어 태자인 그가 뒤를 이었다.[* 열국지에 의하면 연소왕이 신선술 에 빠져 중금속에 중독되어 그것이 원인이 되어 죽었다고 하나 사기에서는 그냥 죽었다고만 나온다.] === 왕으로 있던 시절 === 연 혜왕 원년(기원전 278년), 연 소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제(춘추전국시대)|제(齊)나라]]의 장수 [[전단(전국시대)|전단]](田單)은 반간계를 써서 연 혜왕과 악의 사이의 틈을 벌여 놓아 결국 악의가 실각하게 만들고, 그 자리를 [[기겁#s-2|기겁]](騎劫)~~이름만 보면 겁쟁이 같은~~이 대신하게 했다. 그러자 악의는 연 혜왕에게 죽을까 두려워 그 처자식을 버리고 [[조(전국시대)|조(趙)나라]]로 망명했다. 그리고 전단은 악의를 대신해 연나라의 대장군이 된 기겁에게 책략을 써서 제군의 전의를 불태우고, 화우지계를 써서 기겁을 죽이고, 연군을 무너뜨려서 몰아냈다. 연 혜왕은 그런 일련의 사태를 겪고 악의를 내쫓은 일을 후회해 악의를 다시 부르려고 했으나 악의는 조나라에 머물기로 하여 결국 거절한다. 그러나 악의의 아들인 악간은 창국군으로 봉해져 연나라와 조나라를 왕래하여 객경이 되었다. 연 혜왕 7년(기원전 272년), 연 혜왕이 공손조(公孫操)에게 살해당하고 그 일족이 뒤를 이으니 그가 바로 [[연무성왕|연 무성왕]]이다.[* 안타깝게도 연 무성왕의 이름은 실전 되었다.] 일설에는 자연사했다고 전해지며, 연 무성왕이 연 혜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있다. [각주] [[분류:연나라의 군주]][[분류:기원전 27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