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경기도지사)]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 [include(틀:역대 대한민국 경찰청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350a9, #2350a9 20%, #2350a9 80%, #2350a9)" '''[[경기도지사|{{{#ffffff 제18대 경기도지사}}}]]'''}}} || ||<-2> '''[[서울특별시장|{{{#FFFFFF 제20대 서울특별시장}}}]][br]{{{#FFFFFF {{{+1 염보현}}}[br]廉普鉉 | Yeom Bo-hyu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염보현 시장.jpg|width=100%]]}}} || ||<|2> '''출생''' ||[[1932년]] [[3월 22일]]||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br](現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 || '''사망''' ||[[2021년]] [[7월 16일]] (향년 89세)|| || '''본관''' ||[[파주 염씨]]|| ||<|6> '''재임기간''' ||제5대 [[경찰청장|내무부 치안본부장]] || ||[[1980년]] [[5월 28일]] ~ [[1980년]] [[9월 9일]] || ||<#f5f5f5,#2d2f34>제18대 [[경기도지사]] || ||[[1980년]] [[9월 9일]] ~ [[1983년]] [[10월 14일]] || ||<#f5f5f5,#2d2f34>제20대 [[서울특별시장]] || ||[[1983년]] [[10월 15일]] ~ [[1987년]] [[12월 2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유계화 || || '''자녀''' ||아들 염영범, 염영남[br]딸 염창미 || || '''학력''' ||수송국민학교 {{{-2 (졸업)}}}[br][[경기고등학교|경기중·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약력''' ||제12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br]양주경찰서 서장[br]치안국 기획과장[br]치안국 수사지도과장[br]강원도 경찰국장[br]경찰대학장[br]내무부 해양경찰대장[br]치안본부 1부장[br]서울특별시 경찰국장[br]제5대 치안본부 본부장[br]제18대 경기도지사[br]제20대 서울특별시 시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강원도 김화군 출신으로 제18대 경기도지사와 제20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다. == 생애 ==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에서 태어나 서울 [[경기고등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1960년 제12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고 경찰에 투신하여, 1968년 경기지방경찰청에서 국장(경무관)이 되었고, 1976년에 경찰대학 학장이 되었으며, 1980년에 [[경찰청장|치안본부 본부장]]을 역임하였다. 1980년에서 1983년까지 [[경기도지사]]를 역임하였고, 1983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였다. 서울시장 재임 기간 지하철 [[서울 지하철 2호선|2]] [[서울 지하철 3호선|3]]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을 완공했고, 한강종합개발을 추진했으며, [[가락시장|가락동 농수산물시장]] 개장, [[목동(서울)|목동]]신시가지 건설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경희궁]] 복원, [[보라매공원]], 종묘공원, [[석촌호수]] 공원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기도 하였다. 서울특별시장으로 재직할 당시 새벽 7시부터 밤 11시까지 일했다고 한다. 서울시장으로 임명되었을 당시 서울특별시는 지하철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파산할 위기에 처해 있었으나, 염보현이 수완을 발휘하여 재정위기가 극복되었다. 그 후 올림픽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당시 돈으로 9,6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였는데, 그 중 1,700억 원을 한강의 모래를 팔아 충당함으로써 예산을 절약하였다. || [[파일:external/www.myartprints.com/closing_ceremony_of_olympic_ga.jpg|width=100%]] || || 1984년 LA올림픽 폐회식에서, 차기 개최도시의 시장 자격으로 올림픽기를 전달받는 염보현(오른쪽)의 모습 || [[1988 서울 올림픽]]은 실질적으로 염보현이 준비하였다. [[1986 서울 아시안 게임]]뿐 아니라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 역시 그 1등공신은 염보현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서울시장으로 재임하던 기간,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에게서 절대적인 신임을 받았고, 당시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 올림픽조직위원장, [[민주정의당]] 대표최고위원으로 있던 [[노태우]]와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결국 1987년 이후 노태우가 권력을 장악하자 노태우의 측근들에게 정치적 타겟으로 지목되었으며, 본인도 그 눈치를 채고 노태우의 대통령 당선을 위해 열심히 활약하였다. 1987년 12월 노태우가 당선된 직후 서울시장에서 물러났으나, 그 몇 달 뒤인 1988년 4월에 서울시장 재직시절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구속되었다. 염보현이 정치적으로 궁지에 몰리자, 염보현의 측근들이 민정당 선거운동에 뛰어들지 않아, 결국 민정당은 1988년 4월의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참패하고 말았다. 1996년 이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강원도]]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에 국회의원으로 출마했지만, [[신한국당]] [[이용삼]] 후보에 밀려 낙선하면서 국회의원이 되지는 못했다. 2021년 7월 16일 오전 4시 별세했다. 사인은 지병. == 여담 == * 서울특별시장 재직 당시 [[양정고등학교(서울)|양정고]]가 만리동에서 목동으로 교사를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이후 입학 커트라인이 낮아져가던 학교 측의 고민과 서울 구도심에 소재한 고교들을 한강 이남으로 옮기려는 정부의 정책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당시 양정고 교장은 경기고 47회 동기생인 엄규백이었다.[* 양정고 설립자 엄주익의 손자이자, 유신정우회 의원이었던 엄경섭의 아들이다. 서울대 식물학과 교수 재직 당시에는 양정중고교 경영에 관심이 없었으나 당시 교장을 맡다가 유신정우회 의원으로 임명된 엄경섭의 강권으로 교장에 취임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white '''연도'''}}} || {{{#white '''선거 종류'''}}} || {{{#white '''선거구'''}}} || {{{#white '''소속 정당'''}}} || {{{#white '''득표수 (득표율)'''}}} || {{{#white '''선거 여부'''}}} || {{{#white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강원 철원·화천·양구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8,071 (34.76%)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분류:서울특별시장]][[분류:경기도지사]][[분류:내무부 치안본부장]][[분류:김화군 출신 인물]][[분류:1932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위기관리정부/인사]][[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파주 염씨]][[분류:경찰 출신 정치인]][[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전신]][[분류:박정희 정부/인사]][[분류:5.18 민주화운동/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