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전학]][[분류:세포생물학]] [목차] == 개요 == {{{+1 chromonema}}} 염색사는 각 [[염색체]]에서 축 구조를 형성하면서 눈으로 관찰되는 하나의 감긴 가닥으로 정의된다[* Snustad Simmons의 "Principles of Genetics" (2016, 7판) Glossary의 정의]. 교과서나 선생님들이 흔히 응축하지 않은 염색체를 '염색사'라고 가르치지만[* 교육부 편수 자료에 이 용어가 제시된 만큼 선생님들도 잘못된 교과서의 피해자이다. 현재 교육부가 염색사 용어를 없앨 것을 검토 중이니 다음 교육과정에서는 이 용어가 사라질 확률이 높다.] 이는 엄밀히 잘못된 정의이며 용어를 올바르지 않게 사용하는 것이다. 이 용어는 생명과학 학계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므로 교육계에서는 [[염색질 섬유]]로 바꾸어 적고 표현할 것을 권고한다[* 실제로 논문 검색 포털 PubMed에 각각의 용어를 검색해봤을 때 'chromatin(염색질)' 단어가 사용된 논문은 현재까지 132,183건이나 출판되었지만, 'chromonema(염색사)' 단어가 사용된 논문은 현재까지 31건밖에 출판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