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하위 문서, top1=엽록소/유사과학)] [목차] == 개요 == || [[파일:external/cms.daegu.ac.kr/%EC%97%BD%EB%A1%9D%EC%86%8C%EA%B5%AC%EC%A1%B0.jpg|width=100%]] || 엽록소([[葉]][[綠]][[素]], chlorophyll)는 대다수 [[식물]], [[조류(식물)|조류(藻類)]], 원생동물인 [[유글레나]], 광합성을 하는 일부 [[박테리아]] 속에서,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광합성]] 작용을 하는 식물성 [[색소]]이다. 유기용매에 녹으며 자외선에 노출되면 형광을 방출한다. 엽록체의 그라나 속에 그라나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다. 사람들이 [[엽록체]]와 엽록소를 놓고 [[그놈이 그놈]] 아니냐면서 별 신경을 쓰지 않지만, 엽록체는 세포 속에 들어있는 [[세포 소기관]]이고 엽록소는 엽록체 안에 들어있는 색소를 말한다. 엽록체는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그러한 이름이 붙여졌을 뿐이다. == 구조 == 공통적으로 긴 탄화수소 꼬리[* 이 기다란 탄화수소 꼬리(그림에는 문자로만 써져있지만)는 단백질에 박혀 있다.]를 가지고 있으며, [[포르피린]] 고리 가운데에 [[마그네슘]]이 들어간 [[킬레이트]][* 한 개의 [[배위자]]가 금속이온과 두 자리 이상의 배위결합을 한 것.] 구조를 하고 있다. 200여 개의 엽록소가 안테나 모양으로 모여 반응 중심 엽록소로 수백 펨토초 이상의 양자결맞음을 지속시켜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파일:external/www.benbest.com/chlorophyll.jpg|width=600]] 전체 구조적으로 봤을때 같은 킬레이트 구조인 인조 배위 결합물 카테네인과 얼핏 비슷하다.[* 물론 포르피린과 카테네인의 리간드간 구조가 아예 다르기는 하다. ] == 종류 == 엽록소a, b, c1, c2, d, f와 세균 엽록소(박테리오클로로필)a, b 등으로 종류가 다양하다. 이유는 그 분자의 구조식의 차이에 의하여 분류된 것이다. * 엽록소a(C,,55,,H,,72,,MgN,,4,,O,,5,,) 엽록소a는 광합성을 하는 생물 중 세균을 제외한 모든 식물과 조류에서 반응 중심 엽록소 역할을 하여 주변에서 모인 빛에너지로 들뜬 전자를 최초 전자 수용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주변에서 빛에너지를 전달하는 안테나 색소 역할도 한다. * 엽록소b, c1, c2, d, f 안테나 색소 역할을 하는 보조색소들이다. 엽록소b는 육상식물과 녹조류 등에 존재하며 이를 통해 육상식물이 녹조류에서 진화했다고 추측한다. 엽록소c(갈조류 등)나 d(홍조류 등)는 많은 [[조류(식물)|조류]]에 포함되어 있다. 육상식물과 녹조류에서 엽록소a와 b는 약 3:1의 비율로 존재한다. * 세균 엽록소(C,,55,,H,,74,,MgN,,4,,O,,5,,) 광합성 세균이 가지고 있는 색소이다. 이중 주 색소는 박테리오클로로필a이다. 홍색세균에 들어 있는 엽록소들은 박테리오비리딘이라고 한다. == 색 == '''엽록소'''의 영향으로 대다수 식물의 잎은 녹색이다. 식물의 조상은 원래 바다 바닥에 서식했는데, 수면 근처에서 광합성하는 조류들이 [[적조|녹색 빛을 흡수해버려 바닥까지 녹색 빛이 도달하지 않아]] 식물은 녹색 빛을 쓰는 메커니즘을 개발하지 않았다. 육지에 올라와서도 별 불편함이 없으니까 그대로 살아서 엽록소는 녹색을 반사한다. 물론 황색이나 적색의 색소도 엄연히 존재한다. 이를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라고 하며, 가을철 [[단풍]]이 물드는 데 영향을 준다.[* 녹색을 띄는 엽록소가 추위에 파괴되고, 잔토필과 안토시아닌은 추위에 비교적 강해서 엽록소에 가려졌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의 색깔이 눈에 비치게 된다.] 이들은 녹색 색소가 흡수하지 못하는 빛을 흡수하여 광합성 효율을 높여준다. == 클로로필a == 클로로필a(chlorophyll-a)는 모든 종류의 식물 특히 조류에 존재하는 녹색색소로서 이를 측정함으로써 환경공학적으로 여러측면에서 응용가능하다. 예로 단위면적(체적)당 클로로필의 농도는 부영양화의 척도로 다루어볼수있다. 클로로필 색소는 아세톤시약으로 추출하는 시험법이 있다.[*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 클로로필a] == 엽록소에 관한 [[유사과학]]적 주장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엽록소/유사과학)] 엽록소에 여러 효능이 있다는 주장이 돌아다니고 있으나, 신뢰할 수 없다. == 기타 == *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 포켓몬스터의 특성 중 하나로 나온다. [[쾌청]] 상태일때 속도가 빨라진다. 자세한 건 [[포켓몬스터/특성#s-2.8]] 참조. * [[아이언맨 2]]에서, [[아크 리액터]]의 독성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아이언맨(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토니 스타크]]가 수시로 마시기도 했다. 엽록소의 --유사과학-- 해독 작용과 관련된 설정으로 보인다.[* 물론, 실제 엽록소는 아크원자로의 주성분인 [[팔라듐]]에 대한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한다.] * [[심해어]]인 [[쥐덫고기]]는 붉은 빛을 인지하지 못하는 다른 심해어와 달리 엽록소를 이용해 클로로필 유도체를 만들어 안구의 시세포를 자극하여 붉은 빛을 인지한다. 엽록소는 먹이인 요각류로부터 얻는다. == 관련 문서 == * [[광합성]] * [[엽록체]]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광합성,version=86)] [[분류:식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