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남권을 순환하는 광역철도 노선 계획, rd1=동남권순환 광역철도)] [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동남권 광역전철 노선)]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3> {{{#!wiki style="margin: -10px -10px" ||{{{#000,#fff {{{+1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br]{{{-1 '''M'''ega-city '''T'''rain e'''X'''press, '''MTX'''}}}}}}||}}}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png|width=100%]]}}} || ||<-3> {{{#white '''노선 정보'''}}} || || '''분류''' ||[[광역급행철도]][* 영남권 광역철도망 구축계획의 하나로 제시된 노선이 MTX이다.]|| || '''총사업비''' ||9656억 원[* 차량구입비 미포함, 사업노선 1개(창원산업선)]|| || '''구성노선''' ||[[경전선]], [[부전-마산 복선전철|부전마산선]](창원~부전)[br][[동해선]](부전~신경주)[br][[중앙선]](신경주~영천)[br][[대구선]](영천~동대구)[br][[경부선]](동대구~서대구)[br][[대구산업선]](서대구~대구국가산단)[br][[대합산단산업선]][br](대구국가산단~대합산단)[*미확정][br][[창원산업선]](대합산단~창원)[*미확정]|| || '''개업일''' ||미정|| ||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부전~마산 구간: [[민간투자사업#임대형 민자사업(BTL)|임대형 민자사업]]으로 건설][* 임대형 민자사업 구간은 개통 후 대한민국 정부에 기부채납하기 이전까지는 관할 시행사가 소유하게 되며, 회계장부에는 '건설 중인 자산'으로 인식한다.][* 대구산업선은 건설이 확정된 노선이고 창원산업선과 대합산단산업선은 2022년 기준으로 건설 여부가 확정되지 않은 노선이다.]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자''' ||미정|| || '''사용차량''' ||미정|| ||<-3> {{{#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297.3㎞|| || '''궤간''' ||1435㎜|| || '''선로구성''' ||[[복선]], [[단선]][* 대구산업선.]|| ||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방식''' ||미정|| || '''최고속도''' ||미정|| || '''영업속도''' ||미정|| || '''표정속도''' ||미정|| || '''통행 방향''' ||좌측통행|| [목차] [clearfix] == 개요 == [[동남권 메가시티|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ega-city Train eXpress, MTX)는 부울경이 일반선[* 동해선, 중앙선, 대구선, 경부선, 대구산업선, 부전마산선] 및 창원산업선을 활용하여 순환선 형태로 급행열차 운행을 중앙정부에 건의한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다. 명칭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 역사 == * 2020년 1월 16일, [[더불어민주당]]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비전위원회에서 '동남권 광역급행철도'(MTX)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http://www.leaders.kr/news/articleView.html?idxno=140281|#]] * 2020년 2월 4일, 더불어민주당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동남권의 광역철도망 구축을 공약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4617699|#]] * 2020년 7월 30일, 제7회 부울경 광역교통실무협의회에서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논의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4787398|#]] * 2020년 8월 5일, 영남권 5개[*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시도지사들은 제1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서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공동노력하기로 합의했다. 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은 이 노선이 영남권을 동일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 예상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2145086|#]] * 2020년 10월 27일, 부울경이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 건설을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를 방문해 정부에 공동 건의했다. 부울경은 초광역 교통인프라 구축을 통해 동남권 경제공동체를 구축하고 영남권 1300만 명 인구의 교류 활성화로 국가 균형발전 기여 효과를 기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038586|#]] * 2021년 2월 5일, 경상남도가 '동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라는 명칭을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로 바꿔 사용하기 시작했다. [[https://blog.naver.com/gnfeel/222233039533|#]] * 2021년 3월 3일, 경남은 '영남권 메가시티 급행철도'(MTX)를 포함한 17개 노선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시켜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236510|#]] * 2021년 4월 22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수립 공청회를 통해 MTX의 중요 구간인 [[창원산업선]]이 탈락하고 추가 검토 사업 17위로 나타나 사업 진행에 적신호가 켜졌다.[* 대구~창원~부산 간 연결을 포기하고 반쪽짜리 순환선으로 밀어붙이거나, 경부선을 통해 서대구역에서 김천으로 올라가고, 김천-성주-합천~진주 간 [[남부내륙선]]을 거친 뒤 경전선을 통해 마산으로 돌아가는 우회 경로를 택해야 한다. 전자는 부산과 대구의 연결을 통해 얻을 시너지가 퇴색되고, 후자의 경우 142.2km나 더 돌아가야 한다.] * 최근에 엑스포 유치를 위해 부산에서 [[부산형 급행철도]], 일명BuTX를 제안했다. 논의된 노선들은 울산선, 창원선, 양산선, 대구선이다. 울산선은 [[태화강역|태화강]]에서 좌천, 동부산, 북항, [[가덕도신공항]]으로 가는 노선[* [[동해선 광역전철]]과 겹치다보니 사실상 [[포항역|포항]] - [[경주역|경주]] - [[태화강역|울산]] - [[부전역(동해선)|부산]] 구간이다.], 창원선은 동부산에서 부전, 에코델타시티, 창원, 마산으로 가는 노선, 양산선은 양산 북정에서 노포, 부전, 북항으로 가는 노선, 대구선[* [[일반철도]] [[대구선]]과 다른 노선이며 [[경부선]]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구간과 같다. GTX와 별개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사업도 있다.]은 [[동대구역|동대구]]에서 밀양, 진영, 에코델타시티, 가덕도 신공항으로 가는 노선이다. 다만 기존의 MTX 순환노선이 이에 따라 사업이 분리될지 아니면 같이 추진하게 될지는 미지수.[[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220824.99099006783|#]] == 역 목록 == 기존 선의 역을 모두 표기했다. 미개통 및 신설 역명은 가칭이다. 급행철도 특성상 향후 정확한 계획이 나오면 역 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ffffff km}}} || {{{#ffffff 역번}}}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경유노선}}} ||<-3> {{{#ffffff 소재지}}} || || 0.0 || || [[창원역|창 원]] || ||<|9> [[경전선]][br]~~[[부전-마산 복선전철|부전마산선]]~~ ||<|4><-1> [[경상남도]] ||<|2><-1> [[창원시]] ||<|2><-1> [[의창구]] || || || || [[창원중앙역|창원중앙]] || || || || || [[신월역(김해)|신 월]] || ||<|2><-2> [[김해시]] || || || || [[장유역|장 유]] || || || || || [[부산경남경마공원역|부산경남경마공원]] || ||<|22><-1> [[부산광역시]] ||<|3><-2>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 || || || || [[에코델타시티역|에코델타시티]] || || || || || [[강서금호역|강서금호]] || || || || || [[사상역(경부선)|사 상]] || [[파일:Busan2.svg|width=20]]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2호선]][br][[파일:BGL_logo.svg|width=20]] [[부산김해경전철]][br][[파일:Busan5.svg|width=20]]~~[[부산 도시철도 5호선|부산 5호선]]~~[br][* 모두 간접 환승] ||<|1><-2> [[사상구]] || ||<|2> ||<|2> ||<|2> [[부전역(동해선)|부 전]] ||<|2> [[파일:Busan1.svg|width=20]]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1호선]][* 간접환승] ||<|2><-2> [[부산진구]] || ||<|25> [[동해선|동해선]] || || || || [[거제해맞이역|거제해맞이]] || ||<|3><-2> [[연제구]] || || || || [[거제역|거 제]] || [[파일:Busan3.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3호선|부산 3호선]] || || || || [[교대역(부산)|교 대]] || [[파일:Busan1.svg|width=17]]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1호선]] || || || || [[동래역(동해선)|동 래]] || [[파일:Busan4.svg|width=20]] [[부산 도시철도 4호선|부산 4호선]][* [[낙민역]] 간접환승] ||<|3><-2> [[동래구]] || || || || [[안락역|안 락]] || || || || || [[부산원동역|부산원동]] || || || || || [[재송역|재 송]] || ||<|5><-2> [[해운대구]] || || || || [[센텀역|센 텀]] || || || || || [[벡스코역|벡스코]] || [[파일:Busan2.svg|width=20]]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2호선]] || || ||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 || || || [[송정역(부산)|송 정]] || || || || ||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5><-2> [[기장군]] || || || || [[기장역|기 장]] || || || || || [[일광역|일 광]] || || || || || [[좌천역(동해선)|좌 천]] || || || || || [[월내역|월 내]] || || || || || [[서생역|서 생]] || ||<|7><-1> [[울산광역시]] ||<|4><-2> [[울주군]] || || || || [[남창역|남 창]] || || || || || [[망양역|망 양]] || || || || || [[덕하역|덕 하]] || || || || || [[개운포역|개운포]] || ||<|2><-2> [[남구(울산광역시)|남구]] || || || || [[태화강역|태화강]] || {{{#CB2E27 ●}}} ~~[[울산 도시철도 1호선|울산 1호선]]~~ || || || || [[북울산역|북울산]] || {{{#0065B3 ●}}} ~~[[울산 도시철도 2호선|울산 2호선]]~~ ||<|1><-2> [[북구(울산광역시)|북구]] || ||<|2> ||<|2> ||<|2> [[경주역|경 주]] ||<|2> ||<|7><-1> [[경상북도]] ||<|3><-2> [[경주시]] || ||<|3> [[중앙선]] || || || || [[아화역|아 화]] || || ||<|2> ||<|2> ||<|2> [[영천역|영 천]] ||<|2> ||<|3><-2> [[영천시]] || ||<|4> [[대구선]] || || || || [[금호역(대구선)|금 호]]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 || || || [[하양역|하 양]]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1><-2> [[경산시]] || ||<|2> ||<|2> ||<|2> [[동대구역|동대구]] ||<|2>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br][[파일:Daegu4.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4호선|대구 4호선]]~~ ||<|13><-1> [[대구광역시]] ||<|2><-2> [[동구(대구광역시)|동구]] || ||<|3> [[경부선]] || || || || [[대구역|대 구]]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1><-2> [[북구(대구광역시)|북구]] || ||<|2> ||<|2> ||<|2> [[서대구역|서대구]] || [[파일:Daegu5.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5호선|대구 5호선]]~~ ||<|2><-2> [[서구(대구광역시)|서구]] || ||<|9> ~~[[대구산업선]]~~ || || || || [[서재세천역|서재세천]] || ||<|1><-2> [[달성군]] || || || || [[계명대역|계명대]] || [[파일:Daegu2.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2호선]] ||<|2><-2> [[달서구]] || || || || [[성서산단호림역|성서산단호림]] || || || ||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 [[파일:Daegu1.svg|width=20]]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5><-2> [[달성군]] || || || || [[달성군청역|달성군청]] || || || || || [[달성산업단지역|달성산단]] || || || || || [[테크노폴리스역|테크노폴리스]] || || || || || [[대구국가산단역|대구국가산단]] || || || || || [[대합산단역|대합산단]] || ||<|1> ~~[[대합산단산업선]]~~ ||<|7><-1> [[경상남도]] ||<|4><-2> [[창녕군]] || || || || 창 녕 || ||<|6> ~~[[창원산업선]]~~ || || || || 영 산 || || || || || 남 지 || || || || || 칠 서 || ||<|1><-2> [[함안군]] || || || || 감 계 || ||<|2><-1> [[창원시]] ||<|2><-1> [[의창구]] || || 297.3 || || [[창원역|창 원]] || || == 둘러보기 == [include(틀:부울경의 대중교통)] [include(틀:대구경북의 대중교통)]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부산광역시의 대중교통]][[분류:대구광역시의 대중교통]][[분류:울산광역시의 대중교통]][[분류:경상북도의 대중교통]][[분류:경상남도의 대중교통]][[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동남권 광역전철]][[분류:광역급행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