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嶺東, [[강원특별자치도#지리|강원도]]의 [[백두대간]] 동쪽 지역 == [include(틀:한국의 지역구분)] ||<-3> {{{#000,#fff {{{+2 '''영동'''}}}[br]嶺東 | Yeongdong}}}{{{#!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d313a 50%, #0047a0 50%);" }}} || ||<-3><#afdde9> [[파일:영동 지도.svg|width=100%]] || ||<-3><^|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대한민국 헌법상 영토에서의 위치 보기】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한반도지리구분영동.png|width=100%]]}}}||}}}}}}}}} || || {{{#fff '''위치'''}}} ||<-2>[[대한민국]]([[대한민국 헌법|헌법]][[대한민국 헌법 제1장#s-2.3|상]]) 중동부 / [[남한]] 동북부 / [[북한]] 동남부 || || {{{#fff '''구분'''}}} ||<#cd313a> {{{#fff '''지리적 구분'''}}} ||<#cd313a> {{{#fff '''문화적 구분'''}}} || || {{{#fff '''인구'''}}} ||549,239명[* [[2020년]] [[8월]] 기준([[http://27.101.213.4/index.jsp|#]])] ||666,760명[* 2020년 8월 기준([[http://27.101.213.4/index.jsp|#]])] || || {{{#fff '''면적'''}}} ||4,108.89㎢[* [[2019년]] [[12월]] 기준([[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6&tblId=DT_MLTM_2300&conn_path=I2|#]])] ||7,919.89㎢[* 2019년 12월 기준([[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6&tblId=DT_MLTM_2300&conn_path=I2|#]])] || || {{{#fff '''인구밀도'''}}} ||133.67명/㎢ ||84.19명/㎢ || || {{{#fff '''행정구역'''}}} ||[[강릉시]],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강원도)|고성군]], ([[통천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강릉시]], [[삼척시]], [[동해시]], [[태백시]],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강원도)|고성군]], ([[통천군]])|| || {{{#fff '''최대도시'''}}} ||<-2>[[강릉시]] || || {{{#fff '''별칭'''}}} ||<-2>관동 || [clearfix] [[강원특별자치도#지리|강원도]]는 [[대관령]]([[백두대간]])을 기준으로 서쪽은 [[영서]] 지방, 동쪽은 영동 지방으로 분류된다. 간단히 보면 강원도에서 [[동해]] 바다와 접한 지역을 말한다. [[관동]]이라고도 한다.[* 관동은 강원도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 해당 지역 === 지금은 [[북한]] 치하에 속한 [[통천군]], [[고성군(북한)]]에서부터 [[군사분계선]] 건너 '''[[고성군(강원도)|고성군]] - [[속초시]] - [[양양군]] - [[강릉시]] - [[동해시]] - [[삼척시]] - [[태백시]]'''를 포괄하며, 최대도시는 강릉이다. 박정희 시대 이전까지는 [[울진군]] 역시 영동으로 분류되었다. 그 외에 백두대간 서쪽에 있어 [[영서]]로 분류되는 지역 중에서도 영동과 인접한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은 [[영동 방언]]을 쓰는 등 동질적인 부분이 있어서 이 지역들 역시 영동 지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제천시]]나 [[단양군]] 같은 경우에도 영동 방언과 아주 흡사한 방언을 사용한다. 특히 제천의 경우에는 아예 강릉이나 속초 말과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로 상당히 언어가 비슷하거나 똑같은 편이다. 하지만 이 지역들을 지리적으로 보면 영동과는 많이 떨어져 있어 영동 지방으로 묶지는 않는다. 상기 지역들은 지리적으로 영서 남부 지역이 정확히 맞으며, 또한 [[원주MBC]] 라디오의 시청권역에 속한다. 그러나 문화적인 면과 지리적인 면, 식생활, 음식, 그리고 건축 양식(굴피집, 너와집)을 보면 영서 지역과 사뭇 다른 경향이 많다고 하여 학계에서는 이 세 지역을 다수설(통설)로 영동 지역이라고 칭하고 있다. 물론 소수설도 있기에 상대적으로 보는 것이 좋다.][* 이 세 지역은 [[신라]] [[경덕왕]] 때도 영서의 [[삭주]]가 아니라 강릉의 속현인 [[명주]]였다. 즉 백두대간 서쪽이라 말 그대로의 '영동'은 아니지만 오래 전부터 동일 권역으로 쳤다는 것이다.] 이 세 지역은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의 영향을 받아 교류가 상당히 많은 편이라 언어나 생활권, 문화권 역시 대체로 같다.[* 실제로도 영월 쪽에서는 춘천의 [[강원대학교]]보다 강릉의 [[강릉원주대학교]]로 많이 가는 편이다. 이쪽 동문 상당히 많은 편.] 그 밖에 전통적인 영동은 아니지만 북한 치하에서 강원도로 편입된 [[안변군]], [[원산시]], [[문천시]], [[천내군]], [[법동군]], [[고산군]]도 영동 방언 사용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영동 지방으로 분류할 여지가 있다. === 역사 === 역사적으로는 국사 수업 시간 초반에 배우는 [[원삼국시대]]의 [[동예]]가 여기 있었다가 이후 [[고구려]]와 [[신라]]가 번갈아 차지했다. [[고려]] 때까지는 영서 지역과 서로 다른 행정구역이었다.[* [[신라]] 때는 [[삭주]]와 [[명주]], 고려 때는 [[동계]]와 [[교주도]].][* [[2020년]] [[12월 14일]] 기준으로 삼척문화원과 정선문화원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사실상 [[삼척시|삼척]]은 (초창기) 신라의 최북단 영토였다는 것이 확실히 맞다. 서기 104년에 신라가 [[실직국]]을 차지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정선군|정선]]의 경우에는 대체로 고구려 영토였으나, 일부는 신라 지역의 영토이기도 했다고 한다.] [[조선]]대에 영동의 정서쪽에 있는 [[한양]]이 수도가 되면서 교통상의 이유로 영서와 함께 강원도로 묶였지만 도로가 제대로 나 있지 않았던 당시에는 태백산맥을 넘는 것이 상당한 모험이었다. 심지어 해방 직후[* 분단 이전에는 좀 더 가까운 [[원산시]]에서 [[경원선]]을 이용했다.]에는 [[강릉시|강릉]]에서 [[서울특별시|서울]]을 가려면 '''[[부산광역시|부산]]'''이나 '''[[포항시|포항]]'''까지 배를 타고 간 다음에 그곳에서 서울까지 기차타고 갔다고 한다. 영서와는 문화, 생활 양식, 성격, [[방언]]도 사뭇 다르다. [[평창군|평창]]에서 [[횡성군|횡성]]으로 넘어만 가도 쓰는 말뿐만 아니라 생활 양식도 아예 다른데, 횡성에서 영동 지방에서 쓰이는 단어인 상추를 불기 또는 부루[* 상추를 말하는 불기는 정선, 평창 북부 지역에서 잘 쓰이지만, 나머지 지역에서는 부루라고 한다.]라고 말하는 것을 전혀 알아듣지 못한다. 건춧국(시래깃국)이라고 말하면 전혀 알아듣지 못한다.[* [[영월군|영월]]에서는 건추라고는 그렇게 잘 안 쓴다. 다만, 중동/상동/하동(현재의 김삿갓면 일대) 일대나 정선, 평창에서는 시래기를 건추라고 사용한다.] 심지어 소금쟁이가 잠자리 아니냐고 정선 쪽 사람이 그러는데, 그 반면에 영서 지방(횡성, [[홍천군|홍천]], [[춘천시|춘천]]) 일대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반문하기도 한다. 2023년 현재도 그러하다. 특히 굴피집, 너와집의 경우 영동 남부 지역인 영월, 평창, 정선, 태백, 삼척 일대에 상당히 많이 남아있는데 영서 지방에서는 이를 찾아보는 게 상당히 힘들다. 이뿐만이 아니다. [[곤드레밥]]의 경우, 영동 남부권(영월, 평창, 정선) 일대와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일대에서 제법 많이 먹는데 영서 지방에서는 곤드레밥을 잘 먹지 않는다. 왜냐하면 잘 나오지 않는다고 하기 때문이다. 또한 [[영월]], [[평창]], [[정선]]을 포함한 '''영동 지역''' 사람들의 경우에는 자기 주장이 상당히 강한 편이라고 대대로 살아온 강릉 토박이가 말해 준 반면, 영서 지방은 그나마 순한 편에 속한다고 하였다. 해당 사례들을 보면 영동과 영서는 기후 환경도 완전히 다르고, 문화 또한 아주 다르다. 언어야 말할 것도 없이 극명하게 사뭇 다른 편이다. 특히 영동 남부권을 포함한 언어는 영서 방언과 아예 겹치는 부분이 없는 단어도 상당히 있으며, 독자적인 단어를 사용하는 경향도 매우 클뿐더러 경북 쪽에서 중첩되는 어휘도 많다.[* 이를테면 하마, 의문형 어미 '''~나?'''가 가장 대표적이다. 하마는 참고로 '''벌써'''를 의미하는 말이다.] [[1950년대]]에는 [[영동선]]이 개통하여 철도교통만 이용하여 가는 게 가능해졌으며 [[1970년대]] 들어서야 [[영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도로로도 더욱 빠르게[* 서울↔강릉 4시간] 접근이 가능해졌지만 이때는 영동고속도로가 터널을 많이 만들기보단 산을 넘어가는 형태로 되어있어 여전히 영동 지방으로 가는 데는 시간이 많이 걸렸다. [[2000년대]] 들어서서 영동고속도로가 4차선으로 넓어지고 [[미시령터널]]도 개통되면서 영동 지방으로 가는 데 조금씩 편리해지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영동 지방으로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았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강릉선 KTX]]가 개통하고 2017년에는 [[서울양양고속도로]]도 개통되면서 동서울↔속초의 버스 소요시간을 최단시간으로는 '''1시간 40분'''에 끊을 수 있게 되었다. [[2020년대]]엔 [[춘천속초선]]도 개통 예정이어서 날로 교통은 좋아지고 있다. === [[지역감정]]과 [[텃세]] === 영동 지방은 [[텃세]]가 매우 심한 편이다. [[영서]] 지방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과 가까워 옛날부터 교류가 많았지만 영동 지방은 [[태백산맥]]의 영향으로 교통이 단절되어 수도권과 아득히 먼 거리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교통이 편리해진 현대에 와서도 이 상황이 지속되어 영서에 대한 박탈감과 [[지역감정]]이 제법 있다고 한다.[* 물론 더욱더 심한 곳이 있다. 대표적으로 [[경북]] 북부, [[경남]], [[전북]], [[전남]]지역이다. 당연히 토박이 비율이 80%가 넘어가니 그렇다. 영동 지방도 적어도 3대 이상 살아온 토박이 비율이 평균 비율이 50%이 넘어가니 당연하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북한]]과 공동개최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었는데, 이때 [[강릉시|강릉]]은 물론 [[평창군|평창]]에 관한 이야기도 모두 묻히는 바람에 영동 지방에서는 '''‘[[서울특별시|서울]] 니네가 뭔데 우리 동네 축제를 북한에 갖다바치냐’'''라는 여론이 들끓기도 했다. 다만, 이는 영동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의 평이었고 영동권 전체적으로는 관광 효과를 얻기 위함이라는 것을 알기에 이러한 분위기를 거절하지는 않았다. 애초에 올림픽이 개최 단위는 도시지만 동네 축제도 아니고... 강릉과 주변 영동 지역은 삼척, 강릉 등지에 수십년간 침투해 온 '''무장공비들'''[*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과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대표적이다.]과 전통적인 농어촌지역, [[군대]] 밀집 지역이라는 지역 특성 덕분에 효과는 배가 되었다. [[2010년대]]에 [[경강선]] 계획이 나오기 전의 영동 지방 주민들의 박탈감과 소외감은 과거 [[전라도]] 주민들만큼 심했다. 특히 [[2000년대]]가 가장 심했는데, 전라도는 그나마 서울로 [[상경]]도 많이 하고 [[1990년대]] 이후 [[서해안고속도로|서울로 직통하는 인프라가]] [[호남고속선|많이 신설 또는]] [[논산천안고속도로|개선되어]] 격차가 줄어들고 있었는데, [[강원도]], 특히 영동 지방은 2000년대 들어와서야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동쪽 구간이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된 것이 전부였던지라 '''서울에서 그냥 대놓고 무시하는 거 아니냐'''는 여론까지 있었다.[* 전라도의 경우에는 그나마 '영호남 격차 해소와 지역주의 타파'라는 대의가 존재했기 때문에 예전부터 적지 않은 인프라 투자가 이루어져 왔지만, 영동 지방은 그에 비하면 명분이 약했을뿐더러 각 정당의 요충지(표밭)도 아니다 보니 상대적으로 중앙 정치인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었던 것이다.][* 정치적으로 보수정당의 텃밭이긴 하지만 경상도, 충청도에 비해 인구가 적다보니 지역 정치인들의 당내 영향력도 상대적으로 떨어지고(그나마 윤석열 정부 들어와서 권성동, 이철규가 영향력이 좀 있는 정도다), 민주당은 표도 잘 안나오는데다 영동 출신 정치인이 전무한 수준이라 이광재, 최문순 같은 인물들이 있는 영서 쪽에 더 신경을 쓰는 편이다. 거기에 영동에 배정된 의석수도 3석에 불과한데, 민주당 입장에서 이 정도는 제주(3석)나 낙동강 벨트(9석)에서 메꾸고도 남을 수준...] 다른 영동 지방 역시 [[토박이]]가 상당히 많은 편[* 강릉의 경우에는 3대 이상 살아온 토박이 비율이 70~75%이다. 강릉 토박이 비율은 강원도 전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이에 따른 텃세도 극도로 심하다. [[속초시|속초]] 역시 3대 이상 살아온 토박이가 40~50%로 높은 편이고 [[양양군|양양]]과 [[삼척시|삼척]]도 50%를 넘으며, [[고성군(강원도)|고성]]도 60%를 넘어간다. 그나마 [[태백시|태백]]은 30~40% 정도 수준이다(왜냐하면 [[경상북도]]에서 유입된 인구가 상당히 많기 때문이다). 참고로 영서 남부인 [[영월군|영월]], 평창, [[정선군|정선]] 역시 영동 지방 못지않게 토박이가 제법 많으며, 약 55~60% 정도가 3대 이상 살아온 토박이이다.]이며, 특히 '''서울 사람들에 대한 인식이 매우 좋지 않다.''' 실제로 서울 사람들이 강원도에 대한 차별적인 말인 '감자'나 '드래요'를 말하면 젊은 세대들마저 크게 화를 낼 정도로 서울 사람들을 굉장히 싫어한다. 서울을 넘어 전라도 사람들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좋지 않다. 군사정권에서 문민정부로 바뀌게 되는 과정에서 영동이 또다시 소외되고, 전라도가 개발이권을 가져갔다는 생각 때문이다. 영동 내부에서도 외지 사람들만 배척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성군(강원도)|고성군]]-[[속초시]]-[[양양군]]과 강릉시-[[동해시]]-[[삼척시]][* 또는 강릉과 동해, 삼척 간]의 감정이 서로 다르다. 여기서도 또 [[강릉고등학교]], [[강릉명륜고등학교|명륜고등학교]], [[강릉제일고등학교]] 등 출신 고교 중심으로 뭉치고, 그 와중에 [[강릉제일고등학교]]는 [[강릉중앙고등학교]]와 사이가 안 좋기도 하다.[* 그래서 이 두 학교 사이에 벌어지는 [[강릉 정기전]]은 고교 축구인데도 매우 라이벌 의식이 강하고 열기 또한 뜨겁기로 유명하다.] 또 [[강릉 최씨]] 등 같은 성씨끼리 뭉치거나 [[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성향이 있어서 외지인이 녹아들기 쉽지 않은 편이다. 특히 강릉은 안동 못지않게 특정 문중들의 힘이 강하기로 유명해서 더 그런 편이다. [[평창군|평창]] 등 같은 강원도 출신들은 그나마 덜한 편이지만, 그래도 텃세를 이겨내기는 쉽지 않다. 다만, [[테라로사]], [[보헤미안]] 등을 중심으로 커피도시 이벤티지, 여러 영화제 등 젊은 세대가 많아지기 시작하며 텃세가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서울에 차별받는다는 억하심정 자체는 여전히 심한 편이다. 실제로 어느 정도 차별을 받은 역사가 있다보니 쉽게 지워지기는 힘들 듯하다. 이러한 지역 내 감정 때문에 역으로 강릉 출신 유명인이 피해를 입으면 영동 지방 전체가 들끓기도 한다. [[심석희]] 선수가 [[2019년 체육계 성추문 폭로사건|성폭행 피해를 호소하자]] 어떤 사건에도 꿈쩍을 안하던 강릉, 동해 사람들이 자기 일처럼 들고 일어나 규탄을 하거나 [[조재범]]을 향한 비판을 부으며 현수막을 달며 분개하기도 했다. === 기후 === 높은 [[산|산맥]]으로 가로막혀 있어서 기후가 다른 곳과는 달리 특이하다. [[겨울|겨울철]]에는 타 지역에는 북서풍이 주로 불지만 영동 지방에는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주로 동해의 습기를 머금고 태백산맥에 부딪히며 눈을 내리므로 매년 [[1월]]쯤 되면 항상 강릉이나 속초 어딘가에 1m 정도의 폭설이 내려서 뉴스를 탄다. [[봄]], [[가을]]에도 타 지역은 서풍이 부는데 영동은 동풍이 불어 다른 지역은 쨍쨍한데 영동 지방에만 [[비(날씨)|비]]가 내리는 날이 많으며, [[5월]] 중순에서 [[7월]] 상순에 걸쳐서는 [[푄 현상|높새바람]] 때문에 영서 지방이 30~40℃에 육박할 정도로 올라가는데 비해 영동 지방은 영서 지방과 10~15℃씩 차이날 정도로 기온이 크게 오르지 않기도 하며 대체로 흐린 날이 많고 서늘하다.[* 바람 방향이 반대편, 즉 전국이 서풍이 불 때는 서해안을 제외한 전국이 고온인 상황에서도 영동은 더 심한 고온이지만 5월부터 [[9월]]까지는 동풍이 잦아 영동이 서늘하고 영서가 덥다.] 때문에 7~[[8월]]만 여름같고 [[6월]]은 여름같이 느껴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사실 이는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 것도 있다.] 이는 9월도 마찬가지로, 영서 지방이 고온 건조한 날씨를 보일 때 영동 지방은 서늘한 경우가 많다. 반면 날씨가 역전되어 오히려 [[4월|4]]~5월에 폭염이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 해안가라 그런지 습도도 높아서, 한번 데워지면 잘 식지 않으며 매우 심하면 '''5월에 열대야를 경험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강릉시]] 문서 참조.] '''그래도 전국적으로 보면 여름이 가장 시원한 편이다.''' [[:파일:20180801 폭염 현황.png|이 사진]]은 대한민국 사상 최악의 [[폭염]]이 찾아온 [[2018년 폭염/대한민국|2018년 폭염]] 당시 기상청에서 발표한 폭염 현황인데, 전국의 거의 모든 지역들이 경보가 내려진데 비해 경상북도 동부 지방과 강원도 영동 지방만 경보가 아닌 주의보가 발령된 것을 볼 수 있다. 태백산맥 때문에 눈과 비가 극단적으로 많이 오는 강릉의 기후를 빗대어 [[소돔]]강릉이라고도 한다... 영동 지방의 날씨 관련해서는 '통고지설 양강지풍 일구지난설(通高之雪 襄江之風 一口之難說: [[통천군|통천]]과 고성에는 눈이 많고, 양양과 강릉에는 바람이 많은데, 겪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렵다)'이라는 말이 전해 내려온다. 이 양강지풍[* 자료에 따라 [[양간지풍]]이라고도 한다.] 또한 태백산맥의 영향이다.[* 서풍이 부는 산맥 위로 역전층이 형성되면 바람길이 좁아져 풍속이 강해지게 된다. 흔히 [[푄 현상]]으로 알려져 있으나 봄에 [[산불]]을 일으키기도 하는 [[양간지풍]]은 원리로만 보면 오히려 [[남극]]에서나 볼 법한 [[활강바람]]에 가깝다.] 한편, 따뜻한 동해의 영향으로 겨울철 기온이 같은 위도대의 서쪽 지방보다 높다.[* [[1981년|1981]]~[[2010년]]까지 30년간의 기온 평년값을 보면, 서울의 [[1월]] 평균 기온은 -2.4℃인데 동위도인 동해의 1월 평균 기온은 0.8℃로 더 높다.] === 기타 === * [[관동팔경]]은 이 지역의 경치 좋은 곳들을 [[조선시대]]에 꼽았던 것인데 원래는 이름대로 8곳이지만 지금은 그중 두 곳 혹은 세 곳이 [[강원도(북한)|북한 강원도]]에, 한 곳 혹은 두 곳이 경상북도에 넘어갔다. * 강원도 3대 도시 중 원주와 춘천 다음이 강릉이기는 한데 수도권 효과를 거의 보지 못하는 강릉으로서는 성장 가능성이 원주와 춘천보다 적은 편이다. 관광산업 부분에서도 거리가 먼 만큼 영서보다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동해]] 바다와 접하고 있고 [[러시아]]와 [[일본]]으로 가는 배편이 동해항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매력적인 관광지로서 여전히 인기가 많은 지역이다. 오히려 여름에는 영서보다 관광객이 훨씬 많고 휴가철 경포대행 시내버스는 출근길 수도권 이상의 혼잡도를 보인다. == 永同, [[충청북도]] [[영동군]] == [include(틀:충청북도의 기초자치단체)] || [[파일:영동군 CI_국영문_좌우.svg|width=150]] || || [[영동군]] / 永同郡[br]Yeongdong County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동군)] [[충청북도]] 최남단에 위치한 군. [[대전광역시]]나 [[청주시]]같은 인근 지역에서는 바로 알아듣지만 만약 [[영동군]]과 거리가 먼 타 지역에서 영동이라고 말하면 1번의 영동(강원도 영동 = 강원도 태백산맥 동쪽 지방)과 혼동하는 사람이 상당히 많은데, 서로 전혀 다른 지역이다. 충청북도의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을 묶어 '남부 3군'이라고도 부른다.[* 이 3개 군은 역사적으로 원래 [[경상도]] 소속이었다가 조선시대에 [[충청도]]로 옮긴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인구가 적어 국회의원 선거구도 이 3개 군이 한 선거구로 묶여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남부 3군만으로도 인구가 부족하자 보은군과 경계만 약간 닿아있는 [[괴산군]]을 편입하여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선거구가 만들어졌다. 일명 '동남 4군'.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1번 항목(강원도 영동 지방)과는 발음의 [[장단음]] 차이가 있다. 강원도 영동 지방 할 때의 '영동'은 단음이고, 충북 영동군 할 때의 '영동'은 장음이다. 다만 장단음 표기가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에 이렇게 구분할 일은 없다. 또한 강원도 영동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으면 '령동'이 되지만, 충북 영동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아도 '영동'이다. == 永東, [[서울/강남|강남]]의 다른 이름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지역 구분)] [[파일:attachment/서울/영등포/seo1.jpg]] (1963년 당시의 서울 구획도) {{{+1 永東 / Yeongdong / East of Yeongdeungpo}}} > 아아아 여기는 사랑을 꽃피우는 남서울 '''영동''' 사랑의 거리 > - 문희옥 - '사랑의 거리' 중 예전에 [[서울특별시]] [[영등포|'''영'''등포]] '''동'''쪽 지역이 처음으로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을 때, 해당 지역을 일컫던 말이다. 1963년 [[시흥군]] 신동면[* 현 [[서초구]] 중 내곡·신원·염곡동을 제외한 전역 및 [[동작구]] 사당동, [[관악구]] 남현동에 해당된다.]과 [[광주시|광주군]] 언주면[* 현 [[강남구]] 중 세곡·수서·율현·일원·자곡동을 제외한 전역 및 [[서초구]] 내곡·신원·염곡동에 해당된다.] 등 여러 면이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는데, 아직까지 대부분 시골이라서 이들을 통칭할 별다른 지명이 없다 보니 당시 시가지로 발전되어 있었던 영등포의 동쪽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 1970년대 현 강남·서초구 일대의 개발사업 명칭도 '영동 1,2지구 개발사업'이었다.] '''영'''등포구와 성'''동'''구 본토 사이에 있는 지역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이설도 있다. 서울 편입 당시 시흥군 신동면은 [[영등포구]]로, 광주군 언주면 등은 [[성동구]]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현 서초구 일대[* 단, 방배동은 영등포구에서 분리된 관악구에 속했다가, 1980년에 동작구가 분리되면서 강남구로 이관되었다.]가 영등포구에서 성동구로 이관되고, 1975년 성동구의 한강 이남 전역이 [[강남구]]로 분구되었다. [[영동고속도로]], [[영동군]] 등의 명칭과 혼동되며 지역이 발전함에 따라 강남이라는 이름이 점점 커지게 되면서 차츰 [[사어]](死語)가 되어 1990년대 이후부터는 잘 쓰지 않는 명칭이 되었으나, 그 흔적은 아직도 강남구와 서초구(송파구, 강동구에도 일부 남아 있다.) 곳곳에 남아있다. 주로 역사가 깊은 기관이나 시설 등에 많이 있는데, 대표적인 예가 [[영동대교]], [[영동대로]], [[영동고등학교(서울)|영동고등학교]], 학동에 위치한 서울영동우체국과 서울영동농협[* 혼돈문제 때문에 2번 항목에 속한 현지인들에게 충북영동우체국과 충북영동농협으로 구분해야 알아들을 정도다.], 강남구 유일의 [[전통시장]]인 논현동 일대의 영동시장 등등 많다.[*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도 원래는 '''한양쇼핑센터영동점'''이었다.] 다음이나 네이버 지도에서 '영동지점'을 검색하면 강남구 쪽에 점이 빼곡하게 찍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대중가요 중에는 1980년대에 발표된 '비내리는 영동교', '사랑의 거리' 등에서 영동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분당선]]의 [[한티역]]도 공사 당시 가칭이 '영동역'이었다. 또한 [[강남세브란스병원]]도 원래 이름은 '영동 세브란스병원'이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논현역]] 사거리([[강남대로]], [[신반포로]], [[학동로(서울)|학동로]]가 교차) 역시 과거 '영동사거리'로 불렸으며, 2015년 말까지 이 일대의 버스정류장 이름으로 남아 있었다. == 榮洞, 전국의 [[법정동]] ==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영동(수원)|영동]]. 행정동 [[행궁동]] 관할. * [[경기도]] [[안성시]] 영동. 행정동 안성1동 관할.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영동. 행정동 중앙동 관할. 청주공고와 [[신한은행]] 충북영업부(구 충북은행 본점)가 있다. * [[전라북도]] [[군산시]] [[영동(군산)|영동]]. 행정동 [[중앙동(군산)|중앙동]] 관할. * [[전라남도]] [[순천시]] 영동. 행정동 향동 관할. 전형적인 [[주소/일본|일본식 지명]]으로, 일제 강점기 때의 이름은 '영정', 일본어로 하면 '사카에마치'(榮町)였다.[* 일본에서 흔히 쓰이는 지명 중 하나로, 일본 전국에서 약 200여 곳에서 쓰이고 있다.[[https://ja.wikipedia.org/wiki/%E6%A0%84%E7%94%BA_(%E6%9B%96%E6%98%A7%E3%81%95%E5%9B%9E%E9%81%BF)|#]]] 일제강점기에 붙은 지명답게 전부 구도심에 있다는 게 특징이라면 특징. 또한 일본인들이 주소를 붙일 때 도로를 따라서 주소를 설정했기 때문에 대부분 코딱지만하고 길쭉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분류:영동]][[분류:동음이의어]][[분류:이름이 같은 지역/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