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fff 철도사고 요약도}}}'''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YH2022110701300001301_P4.jpg|width=100%]]}}} || ||<-2> '''발생일''' || [[2022년]] [[11월 6일]] 20시 53분경[* [[행정안전부]] [[안전안내문자]] 기준] || ||<-2> '''유형''' || '''[[탈선]]''' || ||<-2> '''원인''' || 선로전환기 텅레일 파손 || ||<-2> '''발생위치''' || [[경부선]] [[영등포역]] 구내 8k600 지점 || ||<|2> '''승차인원''' || '''승무원''' || 4명 || || '''승객''' || 275명 || ||<|4> '''피해''' || '''인명''' || 부상 35명 || || '''차량''' || 객차 5량 및 발전차 1량 파손 등 || || '''시설''' || 전차선주 및 신호기주 파손 [br] 선로전환기 파손 및 레일 굴곡 등 || || '''기타''' || 영등포역 경유 일반열차 지연 운행 [br] 일반열차·전동열차 운행 조정{{{-3 (무정차 통과 등)}}} 등 || ||<-2>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4> '''사고열차''' || '''열차번호''' || 제1567열차 || || '''열차종별''' || [[무궁화호]] || || '''출발역''' || [[경부선]] [[용산역]] || || '''도착역''' || [[장항선]] [[익산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11월 6일]] 20시 53분경 [[무궁화호]] 열차가 [[영등포역]] 구내에서 [[탈선]]한 [[철도 사건사고|사고]].[*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363565150|「[사설] 무궁화호 탈선, 또다시 발생한 안전사고」]], 중부일보, 2022-11-07][* [[https://rail.blue/railroad/logis/notice_view.aspx?lang=ko&id=78125843|레일블루]]] == 경과 == 제1567열차{{{-3 (이하 사고열차)}}}는 용산역을 20시 45분에 출발해 장항선을 경유하여 익산역에 익일 0시 26분에 도착하는 무궁화호 열차로서 20시 52분경 경부선 영등포역에 진입하던 중 8.600km 지점 부근에서 탈선하였다. 사고열차는 동력차 1량, 객차 5량, 발전차 1량으로 조성되었으며 동력차를 제외한 모든 차량이 탈선하였다.[* [[https://www.metroseoul.co.kr/article/20221106500236|「[속보] 영등포역 인근 하행선 열차 탈선...시민 내려서 이동」]], 메트로서울, 2022-11-06][*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21106010000976|「영등포역서 무궁화호 탈선… 후행열차 운행 지연」]], 경인일보, 2022-11-06][* [[https://rail.blue/railroad/logis/traininfo.aspx?train=1567&date=20221106#!|레일블루 조성내역]]] 이 사고로 승객 30여명이 부상을 입어 21명이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나머지는 귀가조치되었다. [[영등포소방서]]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병원으로 이동한 승객도 일부 있고, 구급대가 이송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소방당국은 영등포역 3층 맞이방에 임시응급의료소를 마련해 부상자들의 상태를 파악하였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5318|「[속보] 275명 태운 무궁화호, 영등포역 탈선…경상자 35명」]], 중앙일보, 2022-11-06][*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1883|「[속보] 영등포역서 무궁화호 탈선으로 30명 부상」]], 남도일보, 2022-11-06][*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10726632523096|「영등포역서 무궁화호 탈선 31명 경상…1호선 재개, KTX 지연」]], 이데일리, 2022-11-06][*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1106500128|「275명 태운 무궁화호 탈선…임시응급의료소 마련」]], 서울신문, 2022-11-06][*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15320|「275명 탄 무궁화호 탈선…영등포역 진입중 사고로 35명 경상」]], 중앙일보, 2022-11-06][* [[https://www.sedaily.com/NewsView/26DITRBEP4|「서울 영등포역서 무궁화호 탈선…30명 부상」]], 서울경제, 2022-11-06] [[서울교통공사]]는 21시 27분 트위터에 '경부선 영등포역 부근 코레일 무궁화호 열차 탈선으로 1호선 상·하행선 운행 중지 중입니다.'라는 글을 게재하였다. [[서울특별시]]도 21시 34분경 '20시 53분경 경부선 영등포역 부근 코레일 무궁화호 열차 탈선으로 1호선 상·하행선 운행 중지'라는 안전 안내 문자를 발송하였다.[* [[https://www.moneys.co.kr/news/mwView.php?no=2022110622393137415|「영등포역 인근 '무궁화호 탈선' 31명 부상… 현재 운행 재개」]], 머니S, 2022-11-06] [[한국철도공사]]는 “사고 발생 즉시 긴급 대응팀을 투입해 복구 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복구 작업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열차를 이용하는 고객은 다른 교통수단 이용을 권장 드린다. 빠른 복구와 안전한 운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2110622560131137|「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승객 다수 부상…진입 중 6량 궤도 이탈」]], 부산일보, 2022-11-06] 7일 17시 30분경 사고 복구가 완료되어 17시 50분부터 경부하1선의 운행을 재개하였다. 다만 사고의 여파로 인하여 연쇄 지연이 지속되었다. == 원인 == * 자세한 사항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에서 조사에 들어갔다. * 11월 9일, 국토부는 초동조사 결과 사고열차 전방 CCTV 영상 및 차륜 충격 흔적 등을 통해 사고 이전에 이미 선로전환기의 텅레일(tongue rail)이 파손되어 있었던 것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2/dtl.jsp?id=95087419|국토교통부 > 뉴스·소식 > 설명자료]]] 다만 선행열차(KTX)의 CCTV 영상에서는 텅레일의 상태가 식별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선행열차가 지나가면서 파손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사조위는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철도공사로 하여금 텅레일의 균열 및 절손 여부 등을 특별 점검하여 결함이 발견될 경우 신속한 안전 조치를 취하도록 긴급 안전권고를 발행하였다. 향후 해당 레일에 대한 분석 및 시험 후 사고의 상세 원인 등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 대응 == === 안전안내문자 === ||
{{{+1 ⚠️ '''[[안전안내문자]]'''}}} [br] [[행정안전부|[[파일:행정안전부 MI_가로.svg|width=75px]]]] || || {{{#!folding [ 안전안내문자 모두 보기 ] ||
[[파일:d2fd2fd3.jpg|width=100%]] || {{{#!wiki style="text-align:left" ----- * [서울시청] 11. 6.(일) 20:53경 경부선 영등포역 부근 코레일 무궁화호 열차 탈선으로 1호선 상, 하선 운행중지입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1 - 2022.11.6. 21:33}}}}}} ----- * [서울시청] 11. 6.(일) 20:53경 경부선 영등포역 부근 코레일 무궁화호 열차 탈선은 조치 완료되어 1호선 상, 하선 운행재개 되었습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1 - 2022.11.6. 21:42}}}}}} ---- * [서울특별시청] 전일 무궁화호 탈선으로 인하여 1호선 열차가 지연 운행되고 있으므로 혼잡하오니 안전을 위하여 다른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1 - 2022.11.7. 8:27}}}}}} ---- * [서울특별시청] 11월 6일 발생한 코레일 탈선사고 여파로 현재 1호선 상·하선 전동열차가 서행 운행되고 있어 혼잡이 예상되오니 열차 이용에 참고 바랍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1 - 2022.11.7. 17:50}}}}}} }}}}}} || === 일자별 대응 === ==== 11월 6일 ==== * 초기대응팀, 119, 112 등 출동 * 기중기 수배 (청량리, 부곡) * [[서울역]] 및 [[용산역]] 착발 일반열차에 대하여 운전정리 시행 * 경부하1선: 노량진 ~ 영등포 구간 사고 복구로 선로일시사용중지 상태 * 경부상1선: 전차선, 선로 및 기타 시설물 이상 없음 확인되어 21시 40분경 운행재개 * 서울역 착발 열차는 경부3선으로 운행선로변경 시행 * 용산역 착발 열차는 용산 ~ 영등포 구간 경부상1선 반대선 운전 및 단선운전 시행 * 경부2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양 방향 운행중단, 21시 42분경 운행재개 * 경부3선 용산 ~ 동인천 급행전동열차는 구로 ~ 동인천 구간만 운행 (용산 ~ 구로 구간운휴) * 고속열차 일부 운행조정 * 제432, 520, 56열차 [[광명역]] 타절 * 수원역 경유 고속열차 [[안양역]] 임시정차 ==== 11월 7일 ==== * 일반열차 운행조정 * 용산역, 영등포역 정차 열차는 무정차 통과[*A 경부3선(급행열차선로)으로 우회하여 여객취급 불가능] * 용산역 착발 열차는 서울역 착발로 변경[*A] * 고속열차 일부 [[광명역]] 타절 (광명 ~ 용산·서울 구간운휴) * 고속열차 일부 편성 변경 * ITX-새마을 일부 [[수원역]] 타절 (서울 ~ 수원 구간운휴) * 일부 열차 전구간운휴 * 전동열차 운행조정 * 경부3선 용산 ~ 동인천 급행전동열차는 구로 ~ 동인천 구간만 운행 (용산 ~ 구로 구간운휴) * 경부3선 영등포 ~ 광명 셔틀전동열차는 전구간운휴 * 수인분당선 전동열차 왕십리 ~ 인천 구간만 운행 (왕십리 ~ 청량리 구간운휴) * 경춘선 전동열차 상봉 ~ 춘천 구간만 운행 (청량리 ~ 상봉 구간운휴) * 사고 복구 완료 (17시 30분경) * 17시 50분부터 경부하1선 운행재개 * 17시 50분부터 경부3선 용산 ~ 동인천 급행전동열차 운행재개 (용산 ~ 구로 구간부활) * 사고 복구 이후 열차운행빈도가 높은 서울~금천구청 구간 주간 집중점검 및 선로 개량 작업에 착수하였다. 이에 따라 노량진~영등포 상하1선에 60km/h 이하 장기 서행이 시행되었으며 열차운행시각표가 다수 변경되었다. === 부처별 대응 === ==== [[국토교통부]] ==== * 2022년 11월 6일, [[어명소]] 국토교통부 제2차관 주재로 [[한국철도공사]] 본사에서 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 긴급대책회의가 진행되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수습을 위해 철도재난상황반을 구성했으며 철도안전정책관, 철도안전감독관, 철도경찰과 사고조사반을 탈선 사고 현장에 투입했다. 당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네옴시티]] 수주지원단을 이끌고 사우디아라비아로 출장을 간 상태였다. * 2022년 11월 7일,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후 4시 전후로 정상운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2/dtl.jsp?id=95087405|국토교통부 > 뉴스·소식 > 설명자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승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지시하면서 "사고가 끊이지 않는 한국철도공사는 이제 하나에서 열까지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557092?sid=102|「원희룡, 잇단 철도 사고에 "코레일 하나에서 열까지 다 바꿔야"」]], 연합뉴스, 2022-11-07] * 2023년 3월 5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2023년 3월부터 낮 시간대에 1시간가량 선로 작업 시간을 확보해 미세균열, 표면결함 등을 점검하게 된 점을 밝히며 "열차 운행 횟수, 고객 편의를 만족시키면서 안전을 확보할 방법을 고민하겠다.인력·장비를 자동화해 점검 시간을 확보하고,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인원은 정확하게 계산해 철도 운영이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5044700003|「원희룡 "코레일 인력위주 업무처리 자동화할 것"」]], 연합뉴스, 2023-03-05] ==== [[한국철도공사]] ==== * 한국철도공사는 11월 7일 첫차부터 오전 9시까지 열차 운행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 경부선과 전라선 등 KTX와 일반열차 운행을 각각 15회, 10회 중단 예정 * 운행구간을 단축하거나 출발역을 변경하는 것도 10회 예정 * 7일 16시경 완료 예정이었던 복구 작업이 다소 지연되어 17시 30분경 완료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View.do?key=911&bbsNo=199&nttNo=17219|한국철도공사]]] * 17시 30분경 사고 복구가 완료되었으며 내일(8일) 첫차부터 정상운행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View.do?key=911&bbsNo=199&nttNo=17224|한국철도공사]]] == 기타 == * [[2022년]]에 발생한 크고 작은 12건의 [[탈선|탈선 사고]]의 원인을 살펴보면 [[선로전환기]] 관련(오취급, 작동 불량 등)이 6건으로 제일 많았고 진로확인 불량이 5건으로 뒤를 이었다.[* [[https://www.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2211071421001|「매번 반복되는 철도사고···“안전 기본 안 지킨 탓”」]], 경향신문, 2022-11-07] * 사고 발생 하루 전인 11월 5일 20시 37분경 [[오봉역]]에서 화물열차 해결 및 전선 작업하던 30대 직원이 수송용 벌크화차에 치어 숨지는 [[의왕 코레일 직원 사망 사건]]이 발생하였다. * 이 사고의 여파로 인해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연이 장기화되었다. 극심한 혼잡으로 7일 오전에는 [[개봉역]], [[구로역]], [[신도림역]] 등에서 [[호흡곤란]]을 호소하거나 [[압사]] 공포를 느꼈다거나 [[통제]]를 요청하는 신고가 12건 접수됐다. 이에 경찰과 소방이 출동했고 인명 피해 없이 혼잡한 상황이 정리됐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70775000044|(삭제된 기사)]], 연합뉴스] * [[서울특별시]]가 7일 오전 8시 27분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했으나 이미 상당수의 시민이 출근길에 올라 1호선에 발이 묶인 상황에서 뒤늦게 지연 사실이 안내되어 이용객들의 불만이 속출했다. [[서울교통공사]]도 오전 9시 10분쯤에야 트위터 계정에 1호선 상·하선이 지연되고 있다는 글을 올렸으며 [[구로구청]]이 오전 9시 13분, [[영등포구청]]은 9시 56분에야 '열차 탈선으로 교통이 혼잡하니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해 달라'는 내용의 재난문자를 발송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07_0002076513|「'1호선 출근 대란' 뒷북 문자…"지연 뒤늦게 알아" 분통」]], 뉴시스, 2022-11-07][* [[https://www.mbn.co.kr/news/society/4876289|「"다른 교통수단을"…서울시 '1호선 지연운행' 뒷북 안내로 시민 불편」]], MBN, 2022-11-07] 서울시 관계자는 안내문자 발송이 늦었음을 시인하며 "향후 지하철 지연 운행 등에 대한 대시민 안내 매뉴얼을 개선해 시민의 지하철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할 것. 특히 서울시 [[안전안내문자]](재난문자)는 서울시계 안에서만 발송되기 때문에 인천·경기 지역에도 문자가 발송되도록 [[코레일]]과 협의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영등포구]]와 [[구로구]]는 각각 자체 판단으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107081252004|「"1호선 지연" 출근길 '뒷북' 안내한 서울시…"매뉴얼 개선"(종합2보)」]], 연합뉴스, 2022-11-07] * 11월 7일 [[용산역]]에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전동열차가 일반열차와 경합되어 상당 시간 지연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 5, 8, 9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강동구청역]]을 중심으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여객열차 운행방해 사태]]가 이어져 아침 출근길 대란이 빚어졌다. * 2022년 초 [[영동터널 KTX 탈선 사고|탈선 사고]]를 시작으로 4건의 중대재해(사망사고)와 열차사고 및 운행장애 등이 연이어 발생하자 특별감사에 착수한 국토교통부는 나희승 사장 해임안을 건의할 것을 검토했다.[*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28|「국토부, "코레일 나희승 사장 해임 건의할까" 」]], 철도경제, 2022-12-22] == 언론 보도 == * [[https://www.news1.kr/articles/?4856176|휙 꺾인 의자에 튕겨난 승객 "죽다 살았다"…무궁화호 탈선 현장]], 뉴스1,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91022|무궁화호 열차 탈선 여파…출퇴근 혼잡에 시민들 '분통']], JTBC, 2022년 11월 7일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4606_35744.html|'무궁화호 탈선' 한밤의 탈출‥열차운행 하루종일 대혼란]], MBC, 2022년 11월 7일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4607_35744.html|현장 복구는 완료됐지만‥여파 계속되는 퇴근길 상황]], MBC, 2022년 11월 7일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4609_35744.html|열차 탈선에 중대재해 사망까지‥"고질적 인력 부족]], MBC,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61867|영등포역 무궁화호 탈선 여파…228회 열차 운행 차질]], SBS,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61857|출근길 1호선 대혼잡…"숨이 막힌다" 신고 빗발]], SBS,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5670|무궁화호 탈선, 30여 명 부상…출근길 ‘열차 취소’ 속출]], KBS,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5671|코레일·서울시, 사고 대응도 우왕좌왕]], KBS, 2022년 11월 7일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95673|올해 들어 탈선만 14번…빛 바랜 안전 대책]], KBS, 2022년 11월 7일 * [[https://www.r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54|[종합] "사고원인은 분기기 텅레일 이상 추정"...영등포驛 무궁화호 탈선]], 철도경제, 2022년 11월 7일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5028_35744.html|"병원 진료 늦고, 아이 잃어버리고"‥코레일 향해 불만 폭주]], MBC, 2022년 11월 8일 * [[https://www.etnews.com/20221109000105|영등포 탈선에 사조위 "열차 진입 전 이미 레일 파손"]], 전자신문, 2022년 11월 9일 == 관련 문서 == * [[영동터널 KTX 탈선 사고]] * [[대전조차장 SRT 탈선 사고]] [[분류:탈선 사고]][[분류:경부선/철도사고]][[분류:영등포구의 사건사고]][[분류:2022년 철도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