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천사족]]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Kotodama-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영력'''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コトダマ'''|| || 영어판 명칭 ||<-4>'''Kotodama'''||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는 3.] || 흙마족 || [[천사족]] || 0 || 1600 || ||<-5>언령을 일으키는 목소리를 들으면 열흘을 괴로워한 후 죽어버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Kotodama-BE0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영력'''|| || 일어판 명칭 ||<-4>'''コトダマ'''|| || 영어판 명칭 ||<-4>'''Kotodama'''||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천사족]] || 0 || 1600 || ||<-5>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필드 위에 같은 이름의 몬스터 카드는 존재할 수 없게 된다. (뒷면 표시는 포함하지 않는다) 후에 같은 카드가 플레이되었을 경우, 그것을 파괴한다(동시일 경우, 양쪽을 파괴한다).|| 필드에 존재하는 같은 이름의 몬스터가 1장이 되도록 파괴하는 [[지속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최초의 땅속성 천사족 몬스터이기도 하다. [[전지맨]], [[해피(유희왕)|해피]],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사이버 드래곤]] 덱 등 덱의 회전력을 올리기 위해 같은 이름의 카드를 3장 채용하는 덱이야 많으니, 그런 카드들이 전개되어 있을 경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지옥의 폭주소환]]이나 [[기계 복제술]], [[레스큐 래빗]], 다수의 토큰 전개 카드 등에게도 메타가 된다. 만약에 [[융합 해제]]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이나 [[사이버 엔드 드래곤]]등을 해제하고 소재를 꺼낼 경우에도 한 번에 뻥뻥 터져나가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문제는 지속 효과라 이런 허약한 능력치로 앞면 표시 상태로 두어야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 특히 공격 표시일 경우 [[레스큐 래빗]] 같은 카드한테 그냥 맞아죽고 나서 전개가 이뤄지는 꼴을 봐야 한다. 리버스시에도 효과는 적용되긴 하지만, 웬만해서는 그냥 전투로 파괴되어버릴 테니 일회용밖에 못 될 것이다. 종족이 천사족인 것을 이용해 [[신의 거성-발할라]] 같은 카드로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면 더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대가 전개에 들어서려는 순간 [[광신화]]로 꺼내서 기습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수비력조차 높다고 할 수는 없으니 수비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거나 [[명경지수의 마음]] 등으로 내성을 줘서 더 오래 버티도록 해보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을 막는 것이 아니라 필드에 꺼낸 후 파괴하는 특이한 유형의 효과로, 이를 이용한 [[원턴킬]] 콤보가 몇 가지 존재한다. 1. [[방계(유희왕)#방계초제 인디오라 데스 볼트|방계초제 인디오라 데스 볼트]], 묘지에 3종류의 소생 가능한 [[방계(유희왕)|방계]] 몬스터를 준비한 뒤 이 카드를 상대 필드로 떠넘긴다. 1. 방계초제 인디오라 데스 볼트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의 효과로 파괴한다. 1. 파괴시 효과로 [[방계(유희왕)|방계]] 몬스터 3종류를 특수 소환하고, 파괴된 인디오라 데스 볼트를 회수하면 [[무한 루프]]가 성사되어 [[원턴킬]]이 가능해진다. 같은 효과를 가진 [[방계(유희왕)#방계초수 버스터 간다일|방계초수 버스터 간다일]]을 썼을 경우 데미지는 못 주지만, [[방계(유희왕)#방계합신]]이나 [[팬텀 오브 카오스]], 그리고 파괴시 효과를 이용해 인디오라 데스 볼트로 바꿔치기 하면 원턴킬을 날릴 수는 있다. 특이하게도 [[트라이브리게이드 리볼트]]로 같은 카드를 꺼내면 링크 소환 전에 파괴되어 링크 소환이 실패할 수도 있다는 제정이 있다. 반대로 이걸 역이용한 [[원턴킬]]도 [[https://youtu.be/wbUU-SEiAsU?si=3da0bkfyNVDun0Eq|존재한다.]] 이젠 [[분열된 낙인]]이나 [[봄화정]]처럼 오만 방법으로 꺼내기도 쉬워서 제법 성공하기 쉬워지기도 했다. [[엘리멘틀 히어로 에어맨]]이 한창 유행하던 시절에는 대비를 위해 채용되기도 했다. 구 텍스트 상으로는 나중에 같은 이름의 카드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그것을 파괴한다는 효과였는데, 리버스라면 피해갈 수 있다는 식으로 받아들일 여지가 있어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을 통해 에라타되었다. 또한 11기부터 [[유발효과]]는 발동할 타이밍에 그 자리에 없으면 발동할 수 없다는 룰로 변경되면서, 지속 효과로 파괴하면 자신이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시기의 몬스터 효과는 발동할 수 없게 되었기에 버프를 받았다. 일어판의 카드명은 [[언령]]을 뜻하는 '코토다마(コトダマ)'로, 발매 당시에는 한국에서는 익숙하지 않은 단어였는지 비슷한 발음의 '[[영력]]'으로 표기되었다. 그 기묘한 모습과 이름의 유래를 감안해보면 [[스피릿(유희왕)|스피릿]] 몬스터를 연상시키지만, 별 상관은 없다. == 관련 카드 == === [[왕호 왕후]] === === [[No.18 문장조 플레인 코트]]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력, version=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