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 또는 '''화상 처리'''는 넓게는 입출력이 [[영상]]인 모든 형태의 정보처리를 가리키며, 사진이나 [[동영상]]을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대부분의 영상 처리 기법은 화상을 2차원 신호로 보고 여기에 표준적인 신호 처리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쓴다. 20세기 중반까지 영상 처리는 [[아날로그]]로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광학]]과 연관된 방법이었다. 이런 영상 처리는 현재까지도 [[홀로그래피]] 등에 사용되지만, [[컴퓨터]] 처리 속도의 향상으로 인해 이런 기법들은 디지털 영상 처리 기법으로 많이 대체되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쓰일 수 있으며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고, 아날로그보다 구현하기 쉽기도 하다. 더 빠른 처리를 위해서 파이프라인과 같은 컴퓨터 기술들이 쓰이기도 한다. 처리 속도가 중요한 경우 흑백, 정확도가 중요한 경우 컬러 이미지를 기준으로 처리한다. 특히 흑백의 경우에는 이미지를 얻는 소스가 [[열화상카메라]] 또는 [[적외선]] 영상인 경우도 많다. 가시광선보다 혼선이 적기 때문. == 처리기법 == 영상 처리 기법 중 널리 쓰이는 방법으로는 [[확대]]·[[축소]]·[[회전]] 등과 같은 [[유클리드 기하학]]적 변환 [[명도]]·대비(Contrast) 등의 색 보정과 색 사상, 색조화, 양자화 혹은 다른 색 공간으로의 색 변환 디지털 합성 혹은 광학 합성 (둘 이상의 영상을 결합하는 것). 필름에서 쓰이는 "매트 바인드". 내삽, 모자이크 벗기기, 베이어 필터를 이용한 손실 이미지의 원본 이미지 복구 영상 정합[* 둘 이상의 영상을 맞추는 것], 영상 인식, 영상 분할 다수의 영상을 합쳐 [[HDR]] (High dynamic range) 영상 만들기 기하학적 해싱을 이용한 2차원 물체 인식 == 응용 == * [[컴퓨터 비전]] * 그림 순서 정렬 (sorting) * [[증강현실]] * 외곽선 검출 * 인간형 실루엣 검출 * [[OCR]][* 이미지 텍스트 추출. ] * [[바코드]] * [[QR코드]] * [[패턴인식]] * [[기계학습]] * [[자율주행|차선 이탈 검출]] * 얼굴인식 * 로봇 제어 데이터 입력 * 비광학적 영상 * 의료 영상 처리 * 현미경 영상 처리 * 형태 영상 처리 * 원격 탐사 * 군사기술 * 영상기반 자동조준장치 * [[CIWS]] * [[센트리 건]] * [[전차]] 자동조준장치 * [[XactSystem]] * [[미사일]] 종말 유도. * [[열상감시장비]] * 이미지 방식 스크린 센서 == 관련 항목 == * [[컴퓨터 그래픽스]] * [[OpenCV]]: [[오픈 소스]] [[크로스 플랫폼]] 실시간 영상처리 라이브러리. [[분류: 컴퓨터 그래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