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경북의 대중교통)] [include(틀:영천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천17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천555_개선.png|width=100%]]}}}|| || 입석버스 [[영천시 시내버스/100번대#170번|170번]]의 모습 || 좌석버스 [[영천 버스 55, 555|555번]]의 모습 || ||<-3> [[파일:영천시 로고.png|width=200]][br]{{{+2 '''영천시 시내버스'''}}}[br]'''Yeongcheon City Bus''' || ||<-2> '''노선 수''' || 56개 || ||<-2> '''정류소 수''' || || ||<-2> '''업체 수''' || 2개[*A 영천교통의 자회사로 사실상 한 회사나 다름없다.] || ||<|3> '''차량 수''' || '''총량''' || '''73대''' || || 정규[br](일반/저상) || '''73대'''[br](55대 /18대) || || 예비[br](일반/저상) || '''최소 4대'''[br](-대 / -대) || ||<-2> '''운행 시간''' || 05:30[* 55번 첫차] ~ 22:45[* 1번 막차] || ||<-2> '''운임 제도''' || 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 ||<-2> '''경영''' || 민영제 || ||<-2> '''웹사이트''' || [[http://bis.yc.go.kr/|영천시 버스정보시스템]]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북도]] [[영천시]]의 시내버스에 대한 문서. [[영천교통|영천교통, 영천여객[*A]]]에서 운행 중이다. == 특징 == 2009년 9월부터 [[대구광역시]]로 운행되는 [[영천 버스 55, 555|55·555번]]에 [[천연가스버스]]를 첫 도입하였다. 아직 [[영천시]] 관내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천연가스 충전은 [[경산시]] [[와촌면]] 용천리의 하양CNG충전소로 가서 충전한다. 하지만 [[영천시]] [[망정동]] 종점에서 용천리CNG충전소까지 공차회송 거리 때문인지 현재는 [[차돌리기]]를 하여 55·555번 외에도 영천시내 순환 노선과 읍면 노선에도 천연가스버스가 투입 중이고 555번에는 디젤 차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55번은 전기저상버스 ] 영천시는 천연가스버스 의무 출고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디젤 차량도 혼용 중이지만, 영천시에서는 일정 비율로 천연가스 차량을 운행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 --영천시에 CNG충전소가 없는 주제에 그런 말이 나오다니-- 2018년 8월에 NEW BS110 디젤 저상 2대를 첫 도입했다.[* 따라서 경북 시 단위 중 초저상버스를 운행하지 않는 곳은 [[문경시 시내버스|문경]], [[영주시 시내버스|영주]]만 남았다. 문경과 상주에서 굴러다녔던 중고 [[자일대우버스 BC211|준저상버스]]는 모두 퇴역했다.] 2022년 1월 [[경상북도 시내버스]] 최초로 신형 [[현대 일렉시티|일렉시티]] 2대를 출고[* 일렉시티 전체로 따지자면 [[포항시 시내버스]]에 이은 2번째다.]해 55번에 투입하였다. 2022년 11월 초 일렉시티를 추가 출고하면서 입석 구도색이 사라졌다. 55번은 전량 일렉시티가 투입되며, 기존 NEW BS110 디젤은 55번에서 1번으로 이동했다. == BIS == [[http://bis.yc.go.kr|BIS]] 광역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 사업계획서 평가에서 [[경산시|경산]]~[[영천시|영천]]이 국고보조사업 대상 지역으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 4월 12일부터 정상적으로 진행 중이다. 가끔 BIS상의 위치와 실제 위치가 한 두 정거장 차이로 다르거나 BIS를 아예 끄고 다니는 경우도 있으므로, 영천교통 공식 사이트 등에 게시된 시간표를 확인하여 미리 기다려서 타는 것이 낫다. == 요금 == [include(틀:대구-경산-영천 버스요금)] [[교통카드]]는 [[대경교통카드]]만 사용이 가능했었지만, 2013년 6월 1일부터 [[탑패스]]와 [[KB국민카드|KB]], [[비씨카드|BC]], [[NH농협은행/카드|NH]] [[교통카드/후불|후불교통카드]] 사용을 개시했다. 동년 11월 1일부터는 [[신한카드]]도 사용이 가능하며, 2014년 4월부터 [[하나카드]], [[롯데카드]](M형, MT형), [[현대카드]](M형, MT형), [[삼성카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한국씨티은행/카드|씨티카드]]도 추가. 2015년에는 2월 3일부터 [[레일플러스]], 3월부터 [[캐시비]], 동년 말부터 [[티머니]]의 사용이 가능하다. 2003년 55·555번에서 [[대경교통카드]]를 우선 적용하다가, 2011년 3월 1일부터 정식으로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여 모든 노선에 교통카드를 확대했다. 교통카드 이용시 하차 후 30분 내 환승하면 1회 무료 환승 혜택이 있다. '''단, 55·555번, 1번·2번·2-1번·2-2번·2-3번[* 같은 노선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끼리는 환승되지 않는다.'''[* 같은 백짜리 노선끼리도 환승이 불가능하다.] 또한 [[경주시 시내버스]], [[포항시 시내버스]]와도 당연히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고지리에서 경주로 갈일이 생겼을때 753번을 타고 아화에서 내려 경주버스로 갈아타면 환승할인이 타절되기 때문에 알뜰하게 가려면 [[경주 버스 305|305번]]을 타야하며, 경주, 포항은 법적으로 [[대구권]]이 아니기 때문에, 2024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에서 제외된다. 대신 [[부산·울산권]]에 속하는 경주는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을 울산과 경주까지 확대 추진 중이다.] 캐시비와 티머니 사용이 가능하다고 요금통에 붙여 놨는데, 캐시비를 '''"KCB카드"'''로 표기해 놨다. --[[이뭐병]]-- 2016년 2월 15일부터 요금이 100원씩 인상됐다. [[천연가스버스]] 도입 10주년을 맞는 2019년 8월[* 8월 13일 시범 서비스, 8월 20일부터 정식 서비스]부터 [[대구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무료환승제가 실시됨에 따라 [[대구광역시]], [[경산시]] 요금과 동일하게 조정되었다. 또 장애인통합[[복지카드]], 경로우대증, [[국가유공자]] 카드 등 우대용 교통카드로 승차할 수 있다.[* 해당 교통카드는 발급 지역에서 무료 환승이 가능한 교통 수단에 한하여 이용 가능하며, 대구-경산-영천 광역 환승 도입 이전에는 대구 도시철도, 대구 시내버스, 경산 시내버스에서만 승차가 가능했었다.] 단말기도 쓰리에스테크놀로지[* [[대구광역시]], [[경산시]],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칠곡군]]에서 삼원FA제 단말기를 쓰기 이전에, [[거제시]], [[안동시]], [[통영시]]에서 에이텍티엔 제작 단말기를 쓰기 이전에 이용했던 단말기로, [[울릉군]]과 [[경산시]] 시외버스 역시 교체되었다.]에서 [[삼원FA]] 신형으로 교체되었다.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와 함께 7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료승차를 실시한다. == 노선 == [Include(틀:영천시 시내버스)] 영천 시내버스는 보조 행선판을 이용해 가지 노선을 두는 대신 모든 행선 방면에 번호가 부여되어 운행한다. 이는 순환 노선인 [[영천 버스 1|1번]], [[영천 버스 2|2번]] 및 대구 방면 노선인 [[영천 버스 55, 555|55·555번]]을 제외하고 [[구미시 시내버스|구미]] 같이 매회 운행 전 노선 번호 수정이 가능한 실내·외 [[LED]] 행선판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2022년에는 대구광역시에서 사용하는 신형 후면 LED가 장착되었다. 영천 시내버스 모든 노선이 영동교를 경유했지만 [[2022년]] [[12월 1일]] [[영천 버스 2|2번]]과 [[영천 버스 6|6번]]의 개편으로 인해 깨지게 되었다. === 영천시내 순환버스 === '''[[영천 버스 3|3번]]을 제외한 영천시내 순환버스는 단방향으로 운행한다.''' * [[영천 버스 1|1번]]: [[영천버스터미널|영천터미널]](앞) → [[영천역]] → 망정동창신아파트 → [[영천시청]] → 서문육거리 → 영천터미널(앞) * [[영천 버스 1|1-1번]]: 영천터미널(앞) → 영천역 → 망정동창신아파트 → 영천시청 → 영천중학교 → 서문육거리→ 영천터미널(앞) * [[영천 버스 2|2번]]: 영천교통 → 서문육거리 → 영천시청 → 망정동창신아파트→ 미소지움1.2차 → 영천역 → 영천터미널(건너편) → 영천여중(선화여고) → 북영천역 → 영천여고 → 영천교통 *[[영천 버스 2|2-1번]]: 영천교통 → 서문육거리 → 영천시청 → 망정동창신아파트→ e편한세상→ 영천역 → 영천터미널(건너편) → 영천여중(선화여고) → 북영천역 → 영천여고 → [[쌍계동]]→ 영천교통 *[[영천 버스 2|2-2번]]: 영천교통 → 서문육거리 → 영천시청 → 망정동창신아파트→새야사시장→ 영천역 → [[영천초등학교(경북)|영천초교]] →영천터미널(건너편) → 영천여중(선화여고) → 북영천역 → 영천여고 → 영천교통 *[[영천 버스 2|2-3번]]: 영천교통 → 서문육거리 → 영천중학교 → 영천시청 → 망정동창신아파트→[[롯데시네마 영천]]→ 영천역 → 영천터미널(건너편) → 영천여중(선화여고) → 북영천역 → 영천여고 → 쌍계동 → 영천교통 *[[영천 버스 3|3번]]: 3사관학교 → 망정동창신아파트 → 영천시청 → 영천역 → 영천터미널(건너) → 봉작교차로 → 봉동가와인아파트 → 채신일반산업단지 *[[영천 버스 6|6번]]: 영천시민운동장주차장 → [[영천버스터미널|영천터미널]] → [[영천역]] → [[롯데시네마 영천]] → e편한세상 영천·영천완산미소지움 1.2차 → 망정주공1.3.4단지 → [[영동중학교(경북)|영동중학교]]·[[영동고등학교(경북)|영동고등학교]] → 무궁화아파트앞 → 영천중학교 → [[한국폴리텍특성화대학#로봇캠퍼스|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 [[영천시민운동장|영천시민운동장주차장]] === [[하양읍|하양]]·[[대구광역시|대구]] 방면 === * [[영천 버스 55, 555|55·555번]]: 망정동창신아파트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 [[영천 버스 55, 555|55-1번]]: [[하양시외버스정류소|하양시외버스터미널]] → 망정동창신아파트[* [[영천 버스 2|2]]번 차량을 이용해서 운행한다.창신아파트에서 2번으로 바꿔 2번을 운행한다] * [[영천 버스 55, 555|555-7번]]: 망정동창신아파트 ↔ [[안심역]] * [[영천 버스 55, 555|555-7번]]: 망정동창신아파트 ↔ [[안심역]] === 마을버스 === * [[영천 버스 순환1|순환1번]]: 영천터미널 ↔ 황정, 봉죽, 신월 ↔ 금호 ↔ 대미, 석섬, 사일, 우천 * [[영천 버스 순환2|순환2번]]: 영천터미널 ↔ 한국폴리텍대학 로봇캠퍼스, 석촌, 암기, 서산 * [[영천 버스 순환3|순환3번]]: 영천터미널 ↔ 영천완산미소지움, 완산 1, 2통 * [[영천 버스 자양1|자양1번]]: 영천터미널 ↔ 용화, 용산, 삼귀, 상신방 === [[금호읍|금호]]·[[대창면|대창]]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100번대)] * 111번: 영천터미널 ↔ 구암 ↔ 대곡 ↔ 호남 ↔ 금호 ↔ 수덕예식장 * 111-1번: 수덕예식장 → 영천터미널 → 금호 → 어은 → 호남 → 대곡 → 약남 → 구암 → 수덕예식장 → 영천터미널 * 111-2번: 금호 → 사일 → 우천 → 금호 → 대곡 → 구암 → 쇠느리 → 수덕예식장 → 영천터미널 * 112번: 영천터미널(구암) ↔ 쇠느리 ↔ 영천터미널(구암) * 150번: 금호 ↔ 정동 * 150-1번: 금호 ↔ 신대 ↔ 남성 ↔ 오길종점 ↔ 정동 * 150-3번: 금호 ↔ 오길 ↔ 정동 ↔ 괴연 ↔ 본촌 ↔ 영천 * 151-4번: 금호 ↔ 신대 ↔ 구지 ↔ 정동 * 151-5번: 금호 ↔ 대창 ↔ 오길종점 ↔ 정동 * 160번: 금호 ↔ 사2리 * 160-1번: 금호 ↔ 남성 ↔ 사2리 * 161번: 금호 ↔ 어은 ↔ 금호 * 170번: 금호 ↔ 영지사 * 171번: 금호 ↔ 조곡 ↔ 영지사 * 180번: 금호 ↔ 대창 ↔ 대재 * 181번: 금호 ↔ 대재 === [[신녕면|신녕]]·[[청통면|청통]]·화산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 * 220번: 영천터미널 ↔ [[은해사]] * 220-1번: 영천터미널 ↔ 애련, 은해사 * 220-2번: 영천터미널 → 은해사 → 신녕 → 영천터미널 * 220-3번: 영천터미널 → 애련, 은해사 → 신녕 → 영천터미널 * 222번: 금호 ↔ 송천 ↔ 청통 ↔ 신녕 * 222-1번: 금호 ↔ 우천 ↔ 청통 ↔ 신녕 * 241번: 영천터미널 ↔ 덕암 * 241-1번: 영천터미널 ↔ 당지 ↔ 덕암 * 242번: 영천터미널 ↔ 가상 * 242-2번: 영천터미널 ↔ 당2리 ↔ 은해사 * 250번: 영천터미널 ↔ 신녕 * 251번: 영천터미널 → 신녕 → 은해사 → 영천터미널 * 271번: 영천터미널 ↔ 치산1리[anchor(영천 버스 271)] * 281번: 영천터미널 ↔ 삼산2리 * 281-1번: 영천터미널 ↔ 삼산2리 * 293번: 영천터미널 ↔ 연정, 화남 * 294번: 영천터미널 ↔ 삼산2리 === 화북·화남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300번대)] * 310번: 영천터미널 ↔ 매산 * 310-1번: 영천터미널 ↔ 매산 * 320번: 영천터미널 ↔ 죽곡 * 320-1번: 영천터미널 ↔ 죽곡 * 330번: 영천터미널 ↔ 귀호 * 331번: 영천터미널 ↔ 도림 ↔ 귀호 * 340번: 영천터미널 ↔ 월곡 * 340-1번: 영천터미널 ↔ 논실 ↔ 월곡 * 340-2번: 영천터미널 ↔ 질구지 ↔ 월곡 * 350번: 영천터미널 ↔ 상송 * 360번: 영천터미널 → 삼창, 자천 → 보현 → 자양, 임고 → 영천터미널 * 360-2번: 영천터미널 → 삼창, 자천 → 절골, 보현 → 자양, 임고 → 영천터미널 * 361번: 영천터미널 → 삼창, 자천 → 보현, 도일 → 자양, 임고 → 영천터미널 * 363번: 영천터미널 → 삼창 → 공덕 → 자천 → 보현, 도일박 → 자양, 임고 → 영천터미널 === [[임고면|임고]]·[[자양면|자양]]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400번대)] * 410-1번: 영천터미널 ↔ 단포, 우항 * 420번: 영천터미널 ↔ 우봉골 * 420-1번: 영천터미널 ↔ 우봉골, 수성 * 421번: 영천터미널 ↔ 수성 * 431번: 영천터미널 ↔ 삼매 * 432번: 영천터미널 → 덕연 → 양평2리 → 영천터미널 * 432-1번: 영천터미널 → 양평2리 → 덕연 → 영천터미널 * 443번: 영천터미널 ↔ 삼매3리 * 450번: 영천터미널 → 임고, 자양 → 보현 → 자천, 삼창 → 영천터미널 * 450-2번: 영천터미널 → 임고, 자양 → 보현, 절골 → 자천, 삼창 → 영천터미널 * 451번: 영천터미널 → 임고, 자양 → 도일, 보현 → 자천, 삼창 → 영천터미널 === [[고경면|고경]]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600번대)] * 611번: 영천터미널 ↔ 오류 * 611-1번: 영천터미널 ↔ 오류 * 612번: 영천터미널 ↔ 고도, 부동 * 614번: 영천터미널 ↔ 용내기 * 620번: 영천터미널 ↔ 청정 * 621번: 영천터미널 ↔ 배골, 청정 * 622번: 영천터미널 ↔ 황수탕 * 622-1번: 영천터미널 ↔ 논실, 황수탕 * 630번: 영천터미널 ↔ 오룡 === 북안 방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천시 시내버스/700번대)] * 710번: 영천터미널 ↔ 용수골 * 710-1번: 영천터미널 ↔ 괴연 ↔ 쇠느리 ↔ 정동 ↔ 금호 * 710-2번: 영천터미널 ↔ 괴연 ↔ 정동 ↔ 금호 * 730-1번: 영천터미널 ↔ 유상, 범어 * 730-2번: 영천터미널 ↔ 범어, 유상 * 750-1번: 영천터미널 ↔ 임포, 쇠느리 * 751번: 영천터미널 ↔ 원당, 신촌 * 751-1번: 영천터미널 ↔ 신촌, 관리 * 751-2번: 영천터미널 ↔ 관리, 신촌 * 751-3번: 영천터미널 ↔ 원당, 신촌 * 752번: 영천터미널 ↔ 효리 * [[영천 버스 753|753번]]: 영천터미널 ↔ 아화 * [[영천 버스 760|760번]]: 영천터미널 ↔ 상리 * [[영천 버스 760-1|760-1번]]: 영천터미널 ↔ 도유, 상리, 효동 * [[영천 버스 760-2|760-2번]]: 영천터미널 ↔ 도유, 상리 * [[영천 버스 760-3|760-3번]]: 영천터미널 ↔ 효동, 용계, 상리 * [[영천 버스 760-4|760-4번]]: 영천터미널 ↔ 용계, 상리 * [[영천 버스 761|761번]]: 영천터미널 ↔ 상리, 용계 * [[영천 버스 763|763번]]: 영천터미널 ↔ 효동, 도유, 상리 == 타 지역 버스와 연계 == [include(틀:영천-타 시·군 간 버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 [[군위군 마을버스]] · [[경산시 시내버스]] [[영천 버스 55, 555|55,555번]]이 영천과 동대구역을 이어주며, 그 외 신녕에서 [[경산 버스 하양-와촌1|경산 와촌1번]]이 서로 연계되며, 금호읍에서 [[대구 버스 808|대구 808번]]이 들어온다. 군위 버스는 [[군위 버스 군위-신녕|군위-신녕]] 노선이 화수를 거쳐 신녕까지 군위군 버스가 들어온다. 또 [[영천시 시내버스/200번대|281번, 294번]]이 화서리까지 들어오며 무암2리까지 1.8km 정도 걸으면 [[군위 버스 군위-탑리, 백학|백학발 탑리경유 군위행 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 [[경주시 시내버스]] [[새천년미소]]의 [[경주 버스 305|경주 305번]]이 임포까지 들어오며, 영천시 차적의 경우 [[영천 버스 753|753번]]이 아화까지 들어온다. 그 외 [[경주 버스 205|205번]]이 장날에 한해 오룡리까지 들어온다. 그 외 도보를 통한 연계는 청정2리로 가는 620번, 622번, 622-1번을 이용해 '청정2리' 정류장에 내려 3.2km 정도 걸어 시티재를 넘으면 '강교2리' 정류장에서 안강-강동-경주로 가는 [[경주 버스 207|207번]]을 이용할 수 있고, 상술한 622번, 622-1번을 이용해 '황수탕'에 내려 '남사2리'까지 4.2km 정도 도보를 하면 경주로 가는 [[경주 버스 230|230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622, 622-1번을 이용해 '덕정사주카페' 정류장에 내려 '도리2리회관' 정류장까지 2.7km 정도 도보를 하면 아화-건천-경주로 가는 [[경주 버스 303|303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 '효리입구' 정류장에 내려 아화정류장까지 2.8km 정도 걸으면 경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마지막 설명의 경우 '''그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에서 쓰이는 유명한 효리도보가 바로 이 도보다.''' * [[포항시 시내버스]] '''영천, 포항은 인접해있지만 버스가 서로의 땅으로 아예 들어오지 않는다.'''[* 방송의 경우 영천은 [[KBS대구방송총국]], [[대구문화방송]], [[LG헬로비전]] 신라방송, 포항은 [[KBS포항방송국]], [[포항문화방송]], [[HCN]] 경북방송에 속한다.] 시외버스를 이용하거나 경주까지 내려와야 하는데, 굳이 경주를 안 거치거나 아주 짧게만 거치겠다면 영천에서 도일리 방면 버스를 이용 후 지동삼거리까지 2.7km 정도 걸어 지동삼거리에서 [[포항 버스 770|770번]]을 타거나 수성리로 가는 [[영천시 시내버스/400번대|421번]]을 이용해 봉계상리까지 5.6km 정도 걸어 기계9번을 타야 한다. 단, 배차가 적은 경우가 많아 반드시 시간을 참고해야 한다. * [[청송군 농어촌버스]] · [[청도군 농어촌버스]] '''영천, 청도, 청송은 인접해 있지만 버스가 서로의 땅으로 아예 들어오지 않는다.''' 청송의 경우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하며, 청도의 경우 대구까지 가서 [[동대구역]]에서 열차를 이용하거나 [[청도 버스 0|0번]][* 이서나 풍각으로 갈 때]을 이용해야 한다. 굳이 연계를 하려면 조금 걸어야 하는데, 청송은 상송행 버스를 타고 '상송도림주유소'에서 내려 4.2km 정도 걸으면 '원사촌'이라는 정류장이 나오며 거기서 [[화목버스터미널|화목]]행 농어촌버스와 연계가 가능하다.[* 과거에는 이를 이용해 부산-서울간 시내버스 여행이 가능했다.] 청도의 경우 [[영천시 시내버스/700번대|760번, 760-1번, 760-3번, 760-4번, 761번, --763번--]][* 763의 경우 연계불가, '''대신 서울-부산 시내버스 여행에서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효리에서 내려 아화까지 2.8km 도보로 아화에서 경주 버스 타기'''는 가능하다.]을 타고 마일2리까지 걸어 [[청도 버스 동곡순환]]과 연계가 가능하다. == 기타 == * 버스가 정말 빨리 달린다. 그나마 영천시내에서 각 면으로 가는 버스는 조금 느리게 가지만 특히 대구로 들어오는 버스는 더더욱 빠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영천교통,version=247)] [[분류:영천시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