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지속 마법]] || [[파일:SoulAbsorption-SD14-JP-C.jpg|width=100%]] || [[파일:SoulAbsorption-THSF-EN-SR-1E.png|width=100%]]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영혼 흡수'''|| || 일어판 명칭 ||'''[ruby(魂, ruby=たましい)][ruby(吸収, ruby=きゅうしゅう)]'''|| || 영어판 명칭 ||'''Soul Absorption'''|| ||<-2> 지속 마법 || ||<-2>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카드가 게임에서 제외될 때마다, 1장당 500 라이프 포인트 회복한다. || [[유희왕/OCG]]의 지속 마법 카드. 서로의 카드가 제외될 때마다 LP를 500 회복하는 효과를 가진 지속 마법. '때마다'라고 써져 있으나 '~할 때' 텍스트와 달리 카드가 한번에 여러개가 제외되어도 각각 체인을 쌓고 효과를 처리해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다. 9기 이후 텍스트로 쓰자면 "①︎: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제외된 카드 1장당 500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정도. 카드를 능동적으로 자주 제외하는 테마([[령수]], [[메타파이즈]], [[후완다리즈]] 등), 제외하는 효과가 많고 라이프 소모도 많은 [[사이킥족]] 중심 덱, [[매크로 코스모스]], [[차원의 틈]]을 채용하는 제외 덱([[토템]], [[붉은 마수 다 이자]] 등)에서 채용할 만한 카드. 다만 라이프가 많다는 것 자체로 이득을 보는 것은 아니기에 라이프를 소모하는 카드를 부담 없이 쓰기 위해서나 엑스트라 턴 제도를 이용하거나 앞서 말한 효과 처리로 체인을 꼬는 등 부차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드물게 [[라의 익신룡]] 덱에서 엄청난 수치의 라이프를 지불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웬만해서는 라이프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9기 이후 유희왕 환경에서 몇 안되는 라이프 회복의 위력을 보여주는 카드다. 특히 [[욕탐]], [[욕졸]], [[졸겸]] 등 카드를 제외하는 항아리 시리즈의 채용률이 늘며 상대의 카드가 제외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와의 병용은 '''5000'''이라는 무지막지한 회복량을 보여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KC그랑프리 편|KC그랑프리 편]]에서는 [[카이바 세토]]가 [[지크 로이드]]와의 듀얼 중 사용. [[VWXYZ|XYZ 드래곤 캐논]]의 소환조건을 이용해 LP를 회복해나갔으며, [[차원 융합]]의 발동에 필요한 LP 코스트 부담을 줄였다. 이후 다음 턴에 [[싸이크론]]의 효과로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에서는 [[에드 피닉스]]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패에 있는 카드로 확인되었다. 일러스트에서 악마에게 달려드는 영혼은 본래 영혼인 [[소울 타이거]], 그리고 [[하늘하늘(유희왕)|하늘하늘]], [[베이비 드래곤(유희왕)|베이비 드래곤]], [[탈와르 데몬]], [[데블 박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혼 흡수, version=46, paragrap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