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개신교 교단)] ||<-2> '''{{{+3 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br]The Presbyterian Church, Korean General Synod''' || ||<-2> [[파일: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_로고_2.png|width=100%]] || || '''영문명칭''' ||The Presbyterian Church, Korean General Synod || || '''한문명칭''' ||예수敎長老會韓國總公會 || || '''약칭''' ||예장총공회 || || '''설립연도''' ||[[1966년]] || || '''소속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총공회장''' ||[*미정 공회의 분열로 공회별로 난립해있다.]|| || '''부총공회장''' ||[*미정] || || '''표어''' ||'''하나님의 기쁨이 되며 영적 부흥을 이루는 교회''',[br] '''한 영혼을 소중히 여기며 주님께 인도하는 교회''' || || '''위치''' ||[*미정] || ||<-2> [[http://www.pgc.or.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대구공회]] / [[http://portal.pkists.ne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부산공회3]]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로회]]의 종파중 하나. 예수교장로회한국총공회(예장총공회)는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동대신동]] 소재 [[대한예수교장로회]] 분파인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예장고신]] [[서부교회]] 전도사였던 백영희 [[목사]]가 고신측의 입장 중 예배당 소송, 유엔군 철수 반대 등 몇 가지를 비판[* 총공회 측 입장은 교회 내부 법률 다툼을 세속 법원으로 끌고 감은 성경에서 금한 바요, 유엔군 철수 반대운동 동참 등은 정교분리에 위배되는 행동이라는 것이다.]하다가 1959년 [[고신]] 측으로부터 [[제명]]당한 후 1966년 창설한 교단이다.[* 제명 후 교단 창립까지는 백영희 신앙노선을 따르는 교회들이 독립교회 형태로 운영되었다.][* 따라서 찾기 힘든 분파이다. 특히 부산공회 계통 총공회 교회를 오랫동안 다니다가 [[교인 수평이동]]으로 다른 교회로 옮겨가면, 아무리 장로교회일지라도 너무나도 특성이 달라서 괴리감이 심하게 든다. 심한 경우 유명한 [[복음성가]]를 하나도 몰랐던 사례가 있다.] 흔히 줄임말로 [[예장총공회]]나 '한국총공회'라고 불리기도 한다.[* 대부분 [[장로회]] 소속 교회를 다니는 교인들에게는 한국총공회라고 하면 [[듣보잡]] 취급을 받을 수 있으니 자신이 총공회 교회를 다닌다면 친절히(?) 설명해주자.] == 특징 == [[신학]]적으로는 예장고신이나 예장재건보다도 더 강경한, 기성교회 중에서 가장 강경한 [[보수주의]] 성향을 띤다. 또한 __인간론 3분설(몸/마음/영)과 인간구원 2분설(기본구원/건설구원)__이라는 독특한 [[교리]]를 따른다. 기본 구원은 예수님의 십자가 죽으심으로 모두가 받은 기본적인 구원을, 건설 구원은 앞으로 이루어나가야할 구원 즉, 기성교회에서의 성화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현 [[서부교회]] 서영호 목사도 설교에서 건설구원을 매우 강조한다.] 성경관도 극보수 성향이라서 [[공동번역 성서|공동번역]], (표준)새번역 같은 현대어 번역본은 아예 성경도 아닌 일개 주석서로 간주할뿐더러, 심지어 단순히 고어를 현대 어휘로 바꾸는 것(예: 약대 → 낙타)조차 반대한다.[[https://pkists.net/qna/?mod=document&uid=1365|참고글]] 즉 성경 번역 개정은 개악이라고 보는 입장.[* 현대에 갈수록 신학적 영성이 떨어지고, 타락한 세속분위기에 더 물들기 쉽다고 보기에 번역자의 자질도 날이 갈수록 뒤떨어진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한국 주류 개신교가 쓰는 개역개정판이 아닌, 개역한글판을 여전히 사용한다. 성경의 영어 번역본 중에서는 KJV, NKJV, NASB 같은 직역본을 권장하고, NIV 같이 의역이 들어간 것이나 현대 번역본들은 초심자가 영어 성경을 접하기 위한 참고서(주석서)로만 쓰라고 한다. [[https://pkists.net/qna/?mod=document&pageid=1&keyword=%EC%98%81%EC%96%B4+%EC%84%B1%EA%B2%BD&uid=5011|참고글]] 대구공회는 개역한글 이외 판본을 쓰는 경우도 있다. [[한교총]], [[한기총]], [[한교연]]과 같은 교회연합기관에 가입하지 않았으며 대외적으로 활동하는 경우를 보기 힘들다. 교단의 모교회인 부산의 서부교회도 폐쇄적 성향을 보이나 2021년 나무위키에 문서가 생성되었다. [[서부교회|해당 항목 참조]]. 백영희 목사 생전에는 모든 교회가 기성교회에서 사용하는 21세기 찬송가나 통일찬송가가 아닌 1983년 이전의 한국교계가 사용했던 신편찬송가[* 일제강점기에 사용됨]와 새찬송가를[* 전자의 새찬송가는 21c 찬송가를 의미하며, 후자는 고신시절 발행된 찬송가이다.] 총공회가 자체 검토하고 201곡 찬송가를 사용하며 일부 [[복음성가]]도 수록[* 주님 고대가 外]되어 있으며 예배 때는 201곡만 사용했다. 그러나 현재 부산공회 계통은 여전히 자체찬송가를 사용하나 대구공회의 경우 기성교회와 같이 21세기 찬송가나 통일찬송가를 사용한다. 또한, 일부 부산공회의 경우 예배 외에는 CCM을 부르기도 한다. 총공회 찬송가 책은 부공1의 목회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제삼자도 구입이 가능하다. 백영희 목사 생전에 찬송가 반주 시 사용되는 악기의 경우 오직 [[피아노]]와 [[오르간]], [[관현악단]] 등의 [[오케스트라]] 반주로만 사용하였고, 부산공회는 현재까지도 이러한 모습을 보인다. [[신디사이저]]나 [[키보드]], [[일렉트릭 기타]], 전자악기 등의 '''현대적 악기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2010년대 들어 현대적 악기를 도입하고 있는 예장고신에 비하면 완전한 전통보수주의를 지향한다.] 대구공회는 기성교회와 같이 현대적 악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기성교회에는 100년 전 과거에나 볼 법한 [[남녀칠세부동석]][* 남자와 여자가 따로 떨어져 앉아서 예배를 드리는데, 장로회 교단 중에서는 한국총공회만 이런다.]을 백영희 목사 생전까지 유지했으며 현재 부산공회는 유지하고 대구공회는 폐한 상태이다. 유치부,아동부(주일학교)의 경우 각 반을 따로 분리하여 반마다 반사라 칭하는 교회의 [[집사]]나 [[권사]] 등의 교사를 두는 것이 특징이다. 백영희 목사 생전 서부교회 주일학교는 세계 최대 규모였으며, 기성교회들과 다르게 장년부 예배 설교와 동일하며 각 반마다 반사가 1명씩 인솔되어 반에 소속된 아동들에게 공과의 내용과 목사가 설교한 내용을 짧게 요약해서 설명해주는 방식이었다. 더욱 대단한 것은, 현재 신자 여부를 막론하고 많은 사람들이 어릴적 교회에서 간식을 얻어 먹은 기억이 많이 있는데, 그 흔한 간식조차 지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 서부교회는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며, 타 교회는 미상. 중고등부에선 '중간반'이라는 명칭으로 [[남녀칠세부동석|남녀가 따로 분리된 공간에서]] 예배를 드리고[* 사용하는 예배공간은 같은데, 한 공간 안에서 남자, 여자가 앉는 의자가 구분된다.] 담임목사가 따로 없고 중간반사라 칭하는 목회자들 5~6명 정도가 주마다 서로 돌아가며 설교를 하는 방식으로 한다. 대구공회는 미상. 부산공회3에서는 청년이 되면 최대한 빨리 결혼하길 권하고 공회 내에서 중매를 서기도 한다. 부산공회3의 핵심 교회인 신풍교회[* 여수공항 앞에 있음]는 공동으로 주택[* 넓은 평수는 없으며 원룸부터 세대원이 많을 경우 방3개 주택]을 지어 살기도 한다. 백영희 목사 생전에는 연 2회 산상집회를 열었다. 매년 5월 첫째 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대구 북구 노곡동 448 일대에 위치한 총공회 대구기도원[* 참고로 입구 바로 옆에는 '지원정사'라는 작은 사찰이 있다.]에서 위 문단에서 서술한 내용대로 집회를 했다. 규모는 거창집회보다 작은 편. 현재 내부 갈등과 건축 문제로 대구기도원이 철거된 듯하다. 매년 8월에는 첫째 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백목사의 고향인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도평리[* 공회별로 다름. 내계로 가는 공회도 있음.]로 [[집회]]를 가는데 [[고신]] 소속 다른 소규모의 교회들까지 참석할 정도로 규모와 인원 수가 매우 방대하다. 백영희 목사 생전에는 백영희 목사의 설교를 들었지만 지금은 그냥 백영희 목사가 당시 집회에 했던 설교만 듣고 있다.[* 그것도 첫 날과 마지막 날을 제외하면 새벽기도, 오전예배, 오후예배 3번을 모두 듣게 된다.][* 부산공회1 기준이다. 왜냐하면 백영희 목사의 자녀들에게 백목사 생전 설교록의 저작권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법정 문제로 불거졌으나 자녀들이 승소하여 타 공회는 백목사 생전 설교를 사용하면 안 된다.] == 공회 분열사 == '''1989년 8월 27일 주일 새벽 4시 50분 무렵, 백영희 [[목사]]가 [[설교]] 도중에 한 신자에게 [[피살]]된 이후'''[* 새벽[[예배]]가 끝나갈 무렵 한 신도가 갑자기 강대상 위로 올라가서 칼로 찔렀다고 한다. 너무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라 막을 도리가 없었다고... 이후 장례식에서 교인들 1만 5천 명 이상이 조문객으로 모였다고 한다. 해당 신도는 교회에 가끔 나오는 자인데 [[정신분열증]]을 앓느라 산상기도 중 백 목사를 죽여야 천국에 간다는 환상을 보고 실행한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90도1328 대법원 판결로 확인할 수 있다.] '''부산공회파와 대구공회파로 갈라졌다.''' 이후 백영희 목사 사후 교단 운영을 두고 내부가 분열되었다. 부산공회는 백영희 생전 노선을 유지하는 보수 측이고, 대구공회는 백영희 생전의 설교를 예배 때 재독하는 것을 반대하는 등 생전의 모습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부산공회는 [[서부교회]] 시무투표를 계기로 파가 부공1[* 백순희 사모측. 부산의 백영희목회연구소.] 부공2[* 서부교회 후임 서영호 목사 지지측.], 부공3[* 백영희 노선 연구에 주력하는 측]. 2010년대까지 서부교회는 2층의 서영호 목사와 4층의 백명희 사모가 별도로 예배를 드렸다. 한편 대구공회도 성문헌법 제정 등을 계기로 서울공회와 대구공회로 갈라졌다. 현재 부산공회는 백영희 목사의 정통 보수 노선을 대체로 유지하며 대구공회도 초기 급격한 변경 입장을 포기하고 온건한 중도보수 노선으로 전향한 상태이다. 서울공회는 총공회의 특색과 외향을 거의 잃어버렸고 지도자도 없어 교단으로서 활동하지는 않는다. 대구공회 또한 겉으로는 총공회의 색이 많이 빠졌다.[* 총공회 자체 찬송가보다 일반 찬송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일부 교회와 목회자들은 총공회 소속은 유지하되, 특정 공회에 소속을 원치 않기도 한다. 교세는 전국 200여 교회이며 현재 대구공회 소속 교회가 절반 정도다. == 산하 신학교 == 각 공회별로 예수교장로회 한국총공회 목회자양성원[* 양성원이라 지칭하며 신학사상 교육은 거의 하지 않고, 성경통독 100회 등 성경 연구와 영성 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어 [[신학대학]]이라기 보다는 [[수도원]]에 가까운 형태로 보아야 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교단]][[분류:1966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