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종로구의 법정동]] [include(틀:종로구의 법정동)] ||<-2> '''[[종로구|{{{#000000,#dddddd 종로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예지동}}}'''[br]禮智洞 | Yej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종로구 예지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종로구 || || '''행정표준코드''' || 1111015800 || || '''관할 행정동''' || 종로1·2·3·4가동 || || '''면적''' || 0.07㎢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북쪽으로는 [[종로|종로4가]], 동쪽으로는 [[종로|종로5가]], 남쪽으로는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주교동]], 서쪽으로는 [[장사동(종로구)|장사동]]과 접해있다. 한때 여러가지 손목시계를 판매하고 수리하는 예지동 시계골목이 유명했으나, 2022년 세운4구역 재개발에 따라 시계장인들 대부분이 인근 지하상가나, 길건너편 세운스퀘어[* [[세운상가]]와 거리가 멀지는 않지만, 전혀 다른 별개의 건물이다], 남대문, 을지로, 동묘 등으로 이주하였다. == 유래 == 조선 시대 유학 교육 기관인 동부학당이 근처에 있어, 유학의 대강인 인의(仁義) · 예지(禮智) · 효제(孝悌) · 충신(忠信) 덕목 가운데 예지를 이름으로 한 데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중학동, 산간동, 상천변동, 옥방동, 칠방동, 석수방동, 효교, 하피마동, 이현 등의 각 일부를 통합하여 예지동이 되었으며, 1936년 4월 동명이 일본식 지명으로 변경됨에 따라 예지정이 되었다. 1943년 4월 구제(區制) 실시로 종로구 예지정이 되었다가 해방 다음 해인 1946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이 동(洞)으로 바뀔 때 예지동이 되었다. 법정동인 예지동은 행정동인 종로1·2·3·4가동 관할하에 있다. == 주요 명소 및 기관 == === 지역 명소 === * [[광장시장]] === 기관 === * KB국민은행 청계지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19 (예지동) * 종로광장새마을금고 본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12길 50 (예지동) == 교통 == === 버스 === * [[서울 버스 100]] * [[서울 버스 101]] * [[서울 버스 103]] * [[서울 버스 104]] * [[서울 버스 106]] * [[서울 버스 140]] * [[서울 버스 143]] * [[서울 버스 150]] * [[서울 버스 160]] * [[서울 버스 173]] * [[서울 버스 201]] * [[서울 버스 262]] * [[서울 버스 270]] * [[서울 버스 271]] * [[서울 버스 273]]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720]] * [[서울 버스 721]] * [[서울 버스 N15]] * [[서울 버스 N26]] * [[서울 버스 N62]] * [[서울 버스 7212]] * [[경기광주 버스 9301]] === 지하철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5]]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을지로4가역]] == 관련 문서 == * [[종로구/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