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예천군 농어촌버스]][[분류:안동시 경유 관외노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예천7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8유니시팅메천.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예천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예천군 농어촌버스 77번}}} || ||<-2><:>기점||<:>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백전리(예천여객)||<-2><:>종점||<:>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경상북도교육청)||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44|| ||<:>막차||<:>21:30||<:>막차||<:>22:14|| ||<-2><:>배차간격||<-4><:>23~27분 (1일 44회)|| ||<-2><:>운수사명||<:>[[예천여객]]||<-2><:>인가대수||<:>5대|| ||<-2><:>노선||<-4><:>[[예천여객]] - (경북한의원 → 예천읍사무소 → 예천초앞 → / 중앙의원 앞 ← 새마을금고맞은편 ← 예천농협맞은편) - 굴머리앞 - ([[예천시외버스터미널|시외버스터미널]] → 군청후문 → 봉덕창고 → 로얄맨션 → 그랜드모텔)[*A 왕복 같은 방향으로만 운행한다.] - 백두쇼핑 - 종산교차로 - ([[경북도청신도시 호반베르디움|호반2차후문]] →) - [[경북일고등학교|경북일고]] - (우방2차 →/←우방센트럴) - 우방1차 - 풍천중학교 - [[경상북도청|경북도청]] - [[경상북도교육청]]|| ||<-6> [[파일:예천군 CI_White.svg|width=30]] {{{#ffffff 예천군 농어촌버스 88번}}} || ||<-2><:>기점||<:>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백전리(예천여객)||<-2><:>종점||<:>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경상북도교육청)|| ||<|2><:>종점행||<:>첫차||<:>07:20||<|2><:>기점행||<:>첫차||<:>08:05|| ||<:>막차||<:>21:10||<:>막차||<:>22:00|| ||<-2><:>배차간격||<-4><:>50~120분 (1일 16회)|| ||<-2><:>운수사명||<:>[[예천여객]]||<-2><:>인가대수||<:>2대|| ||<-2><:>노선||<-4><:>[[예천여객]] - (경북한의원 → 예천읍사무소 → 예천초앞 → / 중앙의원 앞 ← 새마을금고맞은편 ← 예천농협맞은편) - 굴머리앞 - ([[예천시외버스터미널|시외버스터미널]] → 군청후문 → 봉덕창고 → 로얄맨션 → 그랜드모텔)[*A] - 백두쇼핑 - 세아아파트 - [[경북도립대학교]] - 호명면사무소 - (현대아이파크맞은편 → 우방1차맞은편 → [[경상북도경찰청|경북지방경찰청]] →/← 경북일고 ← 우방센트럴 ← 우방1차앞) - 풍천중학교 - 경북도청 - 경상북도교육청|| == 개요 == [[예천군 농어촌버스]] 노선으로, [[경북도청신도시]]와 예천군내를 잇는다. [[:파일:ycg_1_1_1.jpg|노선도]](2018년 9월 27일 기준) == 역사 == * 2016년 2월에 도청신도시 - 예천 간 노선이 개통된 것이 시초다. 개통 당시에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지 않았고, 예천읍내와 도청신도시를 직통하는 대로의 완공 이전이라 기존 지방도를 통해 호명면사무소를 경유하여 1일 6회만 운행하였다.[* 경북도청 이전 당시 예천군은 시내버스 증차에 신중한 입장이었으며, 일단 하루 6왕복만 운행하고 수요 증가에 따라 증차를 하겠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안동의 경우 [[안동 버스 11|11번]] 노선에 무려 12대를 증차한 29대의 차량으로 밤 11시까지 주간 10분 야간 20분 간격으로 운행을 개시하였으나 여러 문제로 노선연장이 철회되었고, 철회 직후에도 [[안동 버스 22|22번 급행버스]]를 20분 간격으로 밤 10시까지, 하루 약 60여회 운행한 것을 감안하면 대조적이다.] 이후 도청신도시 방면으로 8회가 증회되어 14회가 운행되고, 호명면소 외에 경도대학 등을 경유하는 운행계통이 신설되었다. * 2018년 9월 3일에, 도청신도시 직통로를 따라 1-1번이 신규 개통되었는데, 과거 운행했다 폐지된 [[안동 버스 22|안동 22번]], 현재의 [[안동 버스 급행1|안동 급행 1번]]과 비슷하게 급행버스의 성격이 강하다. 이와 함께 경도대를 경유하는 운행계통이 1번 노선번호를 부여받고 증차 및 야간운행이 이루어졌다. * 2019년 5월 13일부터 2번을 폐지하고 기존의 1번을 88번으로 변경한 후 운행횟수를 1일 16회로 증회한다. 또한 1-1번은 77번으로 변경되며 1일 27회로 증회된다. * 2020년 3월 6일부터 4월 15일까지 시경계 진출입 노선(점촌, [[풍기역|풍기]] 등) 시경계 내로 단축을 시행했을 때도 유일하게 시경계 밖으로 진출입하는 노선이었다. == 특징 == * 88번 노선은 경북도립대학교, 호명면을 경유하나 77번 노선은 예천군내에서 도청신도시 직통로를 따라 바로 운행한다. 또한 운행횟수도 77번이 더 많다. * '''예천군 농어촌버스 최초로 번호가 부여된 노선이다.''' 기존 예천군의 농어촌버스는 노선번호가 부여되지 않고 "OO방면"으로 행선지를 구분하였으나, 2018년 9월에 1-1번 노선이 개통되면서 도청신도시 고정 출입노선에 한하여 처음으로 농어촌버스 노선에 번호가 부여되었다. 그러나 도청신도시 출입노선 외에는 번호가 부여되지 않았다.[* 1일 2회 운행하는 도청신도시 경유 지보방면, 1일 1회 운행하는 도청신도시 경유 오천방면 노선은 번호가 없으나, 2023년 9월 27일 신설되는 도청신도시~지보·풍양면 간 노선에 [[예천 버스 99|99번]]이 부여된다.] * 이 노선을 운행하기 위하여 예천여객에 2대의 차량이 증차되었다. * [[경북도청신도시]] 구간에서 99번과 함께 [[안동 버스 급행1|급행1번]], [[안동 버스 212|212번]], [[안동 버스 풍산2|풍산2번]], [[안동 버스 풍천1·2|풍천2번]], [[안동 버스 풍천3|풍천3번, 풍천3-1번]]과 연계되며 상호간 [[환승할인|무료환승]]이 가능하다. === 시간표 === [[http://www.ycg.kr/open.content/ko/section/traffic/car/bus/|#]]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예천역]](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예천-타 시·군 간 버스)] [include(틀:안동-타 시·군 간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