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옘마 골드만}}}[br]Emma Goldm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엠마 골드만.jpg|width=100%]]}}} || ||<|2> '''출생''' ||[[1869년]] [[6월 27일]][* 율리우스력 기준으론 6월 15일.]|| ||[[러시아 제국]] [[코브노]][* 現 [[카우나스]].]|| ||<|2> '''사망''' ||[[1940년]] [[5월 14일]] (향년 70세)|| ||[[캐나다 자치령]] [[온타리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제국)]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혁명가, 사회운동가|| || '''성향''' ||[[아나키즘]], [[페미니즘]]|| || '''종교''' ||[[무종교]]([[무신론]])|| || '''서명''' ||[[파일:옘마 골드만 서명.svg|width=200&bgcolor=#fff]]|| [목차] [clearfix] == 개요 == >'''내가 춤출 수 없다면 그런 혁명에는 동참하지 않을 것이다.'''[* 이 말의 의미는 [[혁명]]이 타인이나 [[사회적 약자]], 그리고 [[소수자]]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면 그것은 혁명이 아니라 또 다른 형태의 압제라는 것이다. 실제로 민족 해방 등의 기치를 내걸고 이루어진 수많은 혁명들 중에서 적지 않은 수는 정작 정권을 잡고 나서는 극단적 민족주의, 종교적 이데올로기에 함몰되어 온건파와 소수자를 배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자코뱅]] 집권 후의 프랑스나, [[이란 혁명]], 그리고 [[튀니지 혁명]] 이후의 아랍 국가들의 현 상황을 보면 지금도 의미심장함을 주는 명언.][* 원문은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part of your revolution."] >"나는 [[노동자]]들에게만 말하는 것이 아니에요. 상층에도 말을 건네는 겁니다. 그들은 노동자들보다도 더 계몽이 필요해요. 삶은 대중을 매섭게 가르치지만, 불행히도 사회적으로 선택되어 교육받았고, 또 스스로 우수하다고 여기는 자들은 가르치지 않습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혁명가]], 사회운동가. == 생애 == 옘마 골드만은 유대인 3세로 1869년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났다. 어려운 집안 사정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공장에 다니다가 1885년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그녀는 미국 봉제공장에서 다양한 국적의 이민노동자들과 일하면서, 노동자로서의 현실 문제에 대해 눈을 뜨게 된다. 1887년 [[헤이마켓 사건]]으로 노동운동가들이 처형됐다. 분개한 그녀는 전투적 [[아나키스트]]로서 19세기 노동운동에 투신했고,[* 이 때 골드만은 자신의 평생 동지가 되어 줄 [[알렉산더 버크만]]을 만났다.] 1893년 10월 소요 선동죄로 재판에서 1년 형을 선고받았다. 그녀는 뉴욕에 수감됐고 수형 생활 중 많은 책을 읽어 소양을 넓히며[* 그녀는 굉장한 [[책벌레]]였다. 공장에서 일할 때도 자신이 번 돈으로 꼭 책을 샀고, 경찰에게 붙잡혀 갈 때도 책을 가져가기 위해 잠시 기다려 달라고 했을 정도였다.] 감옥 내 병원 일을 도왔다. 출감한 후에는 [[간호사]] 일을 배웠고, 여전히 재봉 일도 계속했다. 그러면서도 혁명적 노동운동가들과의 만남을 계속 가졌다. 골드만은 아나키스트들과 함께 《어머니 대지(Mother Earth)》를 발행하고, 미국 각지로 강연을 다니며 아나키즘 운동을 전개했다. 또 [[여성주의]] 운동에도 참여하여 산아제한과 자유연애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골드만은 《반란자 여성(Women Rebel)》이라는 잡지를 창간했고, 산아제한을 담당하는 병원을 개원했다. 물론 [[경찰]]에 의해 와장창 엎어졌지만.] 1910년대에는 [[제1차 세계 대전]]에 맞서 [[반전주의]] 운동을 활기차게 벌였다. 그녀는 무고한 사람들을 죽음으로 몰아넣는 전쟁에 참전하면 안된다며, 미국의 참전을 반대하였고 더불어 징집도 반대했다. 이 일로 1917에는 2년 간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하지만 그녀는 반전 운동을 계속 했고, 경찰과 정보기관의 눈 밖에 나 1919년 추방당하고 만다.[* 검찰의 보고에는 그녀를 '''"무서운 설득력을 가진 위험한 인물"'''이라고 써 놓았고, [[존 에드거 후버]]가 골드만의 추방을 검토했다.] 추방당한 골드만은 자신의 조국이자 [[러시아 내전|내전]]을 겪던 러시아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녀는 [[차르]]의 전제정치를 반대함과 동시에 [[볼셰비키]]의 권력 독점도 비판했기에, 곧 [[소련]]에 불만을 느꼈다.[* 볼셰비키 정권 아래에서 [[아나키스트]]들은 투옥되었다. 골드만은 러시아에 와서 감옥에 갇힌 아나키스트들을 만났고, 러시아의 대표적인 아나키스트 [[표트르 크로포트킨]]의 사망 소식을 들었다.] 버크만이 좀 더 볼셰비키 정권에 동정적이었기 때문에 두 명은 최대한 러시아에서 버텼지만, 크론시타트 수병 반란으로 러시아에서 아나키즘의 씨가 마르자 결국 2년 만인 1921년 그녀는 소련을 떠났다.[* 그녀는 이후 1923년 <러시아에 대한 나의 환멸>이라는 책으로 러시아의 볼셰비키를 비판했다.] 러시아를 떠난 후 골드만은 [[아나키즘]] 운동을 지원하는 데 매진했다. 세계 각국을 돌아다니면서 강연을 계속 했고, 자신의 자서전도 출판했다.[* 심지어 자신을 추방한 나라인 미국에서도 강연을 했다.]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자 [[스페인 제2공화국|스페인]]의 아나키스트들을 직접 만나고 그들을 지원해주기도 했다. 그러던 중 1940년 [[캐나다]]에서 [[뇌졸중]]으로 세상을 떴다. == 여담 == * 지지자들에게는 자유사상가이자 용맹한 여성으로 칭송받았고, 비판자들에게는 정치적 살인과 폭력 혁명의 옹호자로서 비방받았다. * [[프리드리히 니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미하일 바쿠닌]] 등의 학자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 [[썬즈 오브 아나키]]의 주인공의 아버지이자 SOA의 창립자인 존 텔러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로 나온다. == 연관 기록물 ==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yeoseonghaebangyi-bigeug|여성해방의 비극]]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gyeolhongwa-sarang|결혼과 사랑]]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anakijeumgwa-geu-oe-eseideul|아나키즘과 그 에세이들]] * 서문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anakijeum-geugeoseun-jinjeong-mueoseul-onghohaneunga|아나키즘 - 그것은 진정 무엇을 옹호하는가]]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sosu-dae-dasu|소수 대 다수]]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jeongcijeog-pogryeogyi-simri|정치적 폭력의 심리]]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gamog-sahoejeog-beomjoewa-gyohwayi-silpae|감옥: 사회적 범죄와 교화의 실패]]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aegugsim-jayueyi-wihyeob|애국심: 자유에의 위협]]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peuransiseuko-pereowa-geundaehaggyopeuransiseuko-pereowa-geundaehaggyo|프란시스코 페러와 근대학교]]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ceonggyodoyi-wiseon|청교도의 위선]]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yeoseong-maecun|여성 매춘]]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yeoseong-camjeonggweon|여성 참정권]] * [[https://kr.theanarchistlibrary.org/library/emma-goldeuman-hyeondae-yeongeug-gangryeoghan-geubjinsasangyi-jeonpa-sudanhyeondae-yeongeug-gan|현대연극: 강력한 급진사상의 전파 수단]] [[분류:1869년 출생]][[분류:1940년 사망]][[분류:미국의 여성 정치인]][[분류:여성운동가]][[분류:미국의 무종교인]][[분류:미국의 철학자]][[분류:노동운동가]][[분류:뇌혈관질환으로 죽은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러시아계 미국인]][[분류:카우나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