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파일:정오각형.png|width=15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decahedron.gif|width=15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cell.gif|width=150]]|| ||[[3차원]]:'''[[정십이면체]]'''||[[4차원]]:'''[[정백이십포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cosahedron.gif|width=150]]||[[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cell.gif|width=150]]|| ||[[2차원]]:'''[[정오각형]]'''||[[3차원]]:'''[[정이십면체]]'''||[[4차원]]:'''[[정육백포체]]'''|| [목차] [clearfix] == 개요 == {{{+1 [[五]][[角]][[多]][[胞]][[體]] / pentagonal polytope}}} [[콕서터 군]] [math(H_n)]의 대칭성에 의해 생성되는 정다포체. 해럴드 스콧 맥도널드 콕서터(Harold Scott MacDonald Coxeter)에 의해 명명되었다. == 상세 == 오각형으로부터 생성되거나, 면이나 꼭지점 형태 중에 정오각형을 포함하는 [[정다포체]]를 이른다. 넓은 의미로는 [math(\tilde{H_4})] 3차 정백이십포체 쌍곡 허니컴과 5차 정오포체 허니컴도 포함힌다. || 차원 || 정십이면체형 || 정이십면체형 || || 1 ||<-2> [[선분]][br]{} || || 2 ||<-2> [[정오각형]][br]{5} || || 3 || [[정십이면체]][br]{5,3} || [[정이십면체]][br]{3,5} || || 4 || [[정백이십포체]][br]{5,3,3} || [[정육백포체]][br]{3,3,5} || || 4[br]쌍곡 || 3차 정백이십포체 허니컴[br]{5,3,3,3} || 5차 정오포체 허니컴[br]{3,3,3,5} || [[분류: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