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대석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width=100]][br]'''KBO 리그''' '''{{{우승반지}}}''' || ||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1985}}}]]'''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유격수)] ---- ||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82 KBO 베스트 10}}}''' ||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6번}}}''' || || 팀 창단 || {{{+1 →}}} || '''{{{#007fff 오대석[br](1982~1988)}}}''' || {{{+1 →}}} || 오명록[br](1989~1990)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정영기]][br](1983.6.27.~1988) || {{{+1 →}}} || '''{{{#ed1c24 오대석[br](1989~1991)}}}''' || {{{+1 →}}} || [[박지환(1969)|박지환]][br](1994~1996) || ||<-5> '''{{{#fab93d [[태평양 돌핀스|'''{{{#fab93d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fab93d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76번}}}''' || || 황성칠[br](1986) || {{{+1 →}}} || '''{{{#fab93d 오대석[br](1992~1996)}}}''' || {{{+1 →}}} || [[박종훈(1959)|박종훈]][br](1997~2002)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강병철]][br](1991~1993) || {{{+1 →}}} || '''{{{#ffffff 오대석[br](1997~1998)}}}''' || {{{+1 →}}} || [[권두조]][br](2000~2001)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83번}}}''' || || [[김종수(1957)|김종수]][br](2010~2012) || {{{+1 →}}} || '''{{{#fff 오대석[br](2013~2014)}}}''' || {{{+1 →}}} || [[계형철]][br](2015~2017)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吳大錫.png|width=100%]]}}} || ||<-2> '''{{{+2 오대석}}}[br]吳大錫 | Dae-seok Oh''' || ||<|2> '''출생''' ||[[1960년]] [[1월 2일]] ([age(1960-01-02)]세) || ||[[경상북도]] [[대구시]] 남부출장소[br](現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구남도초등학교|남도초]] - [[경구중학교(대구)|경구중]] -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 - [[한양대학교 야구부|한양대]] || || '''포지션''' ||[[유격수]], [[3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삼성 라이온즈]] 창단멤버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82~1988)''' [br] [[롯데 자이언츠]] (1989~1991) || || '''지도자'''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1군 수비코치 (1992~1996)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1997~1998) [br]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0~2001) [br] [[롯데 자이언츠]] 1군 주루·작전코치 (2002)[* ~6월 10일][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02)[* 6월 11일~] [br]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4~2008) [br]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1) [br] [[유신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2) [br] [[한화 이글스]] 1군 수비·작전코치 (2013)[* ~7월 17일] [br]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2013)[* 7월 18일~] [br] [[한화 이글스]] 육성군 수비코치 (2014) [br] [[강릉영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15~2016) [br] [[경상중학교]] 야구부 타격코치 (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삼성 라이온즈 오대석.png|width=100%]] || [[삼성 라이온즈]]와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동했던 야구선수. 등번호는 삼성에서 16번.[* 지금이야 16번하면 김원형, 김종국, 박정태가 유명하지만, 원조 16번이었던 오대석도 무시할 수 없다.] 롯데에서는 6번을 달았다.[* 공교롭게도 현 [[키움 히어로즈]] 내야수 [[이원석(1986)|이원석]]도 롯데 시절엔 6번, 삼성 시절 2017시즌에는 17번을 달았지만 2018년도 시즌에는 16번을 달았다.] == 선수 경력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유격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유격수 부문 수상자 (1982)}}}''']] || ||
[[파일:장태수 & 오대석.png|width=100%]] || |||| {{{#ffffff '''장태수 & 오대석'''}}} || [[https://m.sports.naver.com/kbo40/history/4|히스토리 04 하늘이 점지한 첫 사이클링 히트]] 1982년 삼성의 원년 멤버로 프로에 입문했다. 당시 대학을 갓 졸업했음에도 [[김재박]] 다음 가는 유격수 2인자 [[함학수]], 상업은행의 주전 유격수 [[장태수(1957)|장태수]], 포철의 주전 유격수 [[서정환]] 등 쟁쟁한 선배들을 제치고 주전 유격수를 차지하며[* [[함학수]]는 타격을 살리기 위해 1루수로 기용되었고, 장태수는 빠른 발을 살려 외야수로 전향해 주전 중견수로 기용되었고, [[서정환]]은 경쟁에 밀려 백업 내야수로 출전했다. 그리고 1년 뒤 해태로 트레이드되며 한국 프로야구 트레이드史의 첫 페이지를 장식한다.], [[류중일]]이 입단하기 전까지 삼성의 대표 유격수로 활약했다. 1982년 6월 12일에는 구덕 삼미전에서 KBO 리그 최초로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고, 그 해 유격수 부문 '''베스트 10'''과 [[KBO 골든글러브]] 상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류중일]]이 입단하기 전까지 몇 년간 유격수를 거의 혼자서 도맡다시피 해서 였는지 성적에 기복이 있었다. ||
[[파일:오대석 & 김성래 키스톤 콤비.png|width=100%]] || |||| {{{#ffffff '''오대석 & 김성래 키스톤 콤비'''}}} || [[김영덕]] 감독의 삼성 이적으로 촉발된 [[OB 베어스]]와 삼성간의 신경전이 한창이던 1984년 전기리그 때 OB와의 경기 도중, 병살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OB의 1루주자 [[이홍범]]이 과격한 [[슬라이딩]]으로 유격수 오대석의 허벅지를 걷어찼고, 이때 스파이크 날에 피부가 패일 정도로 큰 부상을 당한 오대석은 이후 기량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1987년 [[류중일]]이 입단한 후엔 1985년부터 주전 3루수였던 [[김용국(야구)|김용국]]과 3루 자리를 번갈아 맡았다. 하지만, [[류중일]]이 1988년 팔꿈치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줄어들자 유격수로 돌아왔으나 그해 시즌 종료 뒤 롯데로 트레이드 되어 1991년 시즌을 끝으로 유니폼을 벗었는데 1990년 부상으로 출전 기회가 줄었으며 1991년 3루수로 돌아왔다. == 지도자 경력 == ||
[[파일:/image/020/2007/06/29/200706290369.jpg|width=100%]] || |||| {{{#FAE704 '''상원고 감독 시절의 오대석.[* 왼쪽은 삼성 라이온즈 창단 멤버였던 [[함학수]]다.]'''}}} || 선수 은퇴 이후로는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롯데 자이언츠]]에서 코치를 했고 2000년부터 2년간 포철공고[* 권혁을 발굴]에서, 2004년부터 4년간 [[대구 상원고등학교 야구부]]의 감독으로 재직했다. 2011년에 다시 [[포철공고]] 야구부의 감독으로 복귀했으나 2011년 말 포철공고의 마이스터고 전환[* 마이스터 고등학교에서는 운동부 운영을 할 수 없다.]으로 야구부 해체가 불가피해지며 계약이 해지되었다.[* 그러나 포철공고 야구부는 다행히 해체되지 않고, 포항제철고등학교로 인계되어 현재는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다. 참고로 [[경주고]], [[구미전자공고]]의 야구부의 잇따른 해체로 2011년 부로 대구 소재의 고교야구팀을 제외하고 [[경상북도]] 소재의 고교야구팀은 포철공고가 유일하며, [[경주고등학교 야구부]]도 2013년 12월에 재창단했다. 구미전자공고 야구부도 포철공고처럼 마이스터고 전환 때문에 해체된 것. 이후 ] ||
[[파일:/image/109/2012/10/31/201210311144775728_50909140bcc62_59_20121031114825.jpg|width=100%]] || |||| {{{#ffffff '''2012년 10월 31일 대전 한밭야구장에서.'''}}} || 2012년에는 [[유신고]] 코치로 있었고, 2013시즌부터 [[한화 이글스]]의 수비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2014 시즌에는 명칭만 같고 육성군에서 활동했으며, 시즌이 끝난 후 재계약하지 않았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강릉영동대]] 코치를 지냈고 2019년에 [[경상중]] 코치를 맡았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2 ||<|7> [[삼성 라이온즈|삼성]] || 72 || 258 || .283 || 73 || 15 || 1 || 4 || 30 || 48 || 14 || 40 || .395 || .374 || || 1983 || 82 || 227 || .203 || 46 || 8 || 1 || 4 || 31 || 27 || 1 || 21 || .300 || .266 || || 1984 || 77 || 231 || .286 || 66 || 10 || 2 || 7 || 34 || 31 || 4 || 25 || .437 || .356 || || 1985 || 30 || 65 || .200 || 13 || 2 || 0 || 1 || 6 || 6 || 1 || 7 || .277 || .278 || || 1986 || 76 || 211 || .256 || 54 || 11 || 1 || 4 || 24 || 23 || 4 || 27 || .374 || .339 || || 1987 || 76 || 242 || .326 || 79 || 13 || 2 || 6 || 40 || 34 || 5 || 23 || .471 || .378 || || 1988 || 82 || 229 || .258 || 59 || 7 || 0 || 5 || 35 || 27 || 5 || 26 || .354 || .33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 1989 ||<|3> [[롯데 자이언츠|롯데]] || 92 || 247 || .194 || 48 || 5 || 0 || 3 || 21 || 18 || 4 || 49 || .351 || .326 || || 1990 || 35 || 71 || .169 || 12 || 0 || 0 || 0 || 2 || 5 || 0 || 12 || .169 || .289 || || 1991 || 101 || 247 || .234 || 64 || 6 || 0 || 2 || 25 || 30 || 3 || 42 || .277 || .332 || ||<-2> '''[[KBO 리그]] 통산'''[br](10시즌) || 723 || 2055 || .250 || 514 || 77 || 7 || 36 || 248 || 249 || 41 || 272 || .347 || .33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60년 출생]][[분류:1982년 출생]][[분류:1991년 은퇴]][[분류:남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KBO 리그의 사이클링 히트 달성자]][[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해주 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