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프로필''' || ||<-2> [[파일:611865c37d23445c6eeb14cb8e8f6cd9.jpg|width=100%]] || || '''이름''' || オーレンジャーロボ || || '''코어 [[초력 모빌]]''' || {{{#red 스카이 피닉스}}} || || '''상반신''' || {{{#blue 대시 레온}}} || || '''하반신''' || {{{#green 그란 타우러스}}} || || '''왼쪽 다리''' || {{{#yellow 도구 랜더}}} || || '''오른쪽 다리''' || {{{#hotpink 모아 로더}}} || || '''주요 출연작''' || [[초력전대 오레인저]] || || '''전고''' || 78.5m[* 역대 전대 1호 로봇 중 '''가장''' 크다. 전대 시리즈 초거대메카 중에서도 비교적 큰 편인 '''[[그랜드 라이너]]'''보다 겨우 1.5m 작을 뿐으로, 터보 빌더나 맥스 마그마 등 여러 작품의 초거대메카보다 오레인저 로보가 더 클 정도.] || || '''중량''' || 8500 t || || '''출력''' || 2500만 마력 || || '''도약력''' || 10km || || '''테마곡''' || 초력합체! 오레인저 로보! [* [[비밀전대 고레인저]] ~ [[대전대 고글파이브]]까지 초창기 슈퍼전대 음악을 담당한 작곡가 [[와타나베 츄메이]]가 작곡했다. 가수는 오프닝, 엔딩을 부른 하야미 켄타로.] || || '''합체(변형)''' || 오레인저 로보 || [목차] [clearfix] == 개요 == [[초력전대 오레인저]]의 주역 1호 메카. [[파워레인저 지오]]에서의 명칭은 '''지오 메가조드.''' 국내에서 초판으로 발매시에도 명칭은 그대로이나 국내 방영판에서는 ''''지오 스핑크스''''라 불렸다. 아마도 이후 등장하는 [[킹 피라미더|피라마이더스]]와의 연관성을 위해 개명한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로봇의 흉곽에 합체하는 '''{{{#0000cd 대쉬 레온}}}'''의 모습에서 따왔을 수도 있는데, 비슷한 이유로 오블로커도 국내 방영판에선 '지오스타'가 됐다.(오블로커는 가슴에 '''{{{#cf0a00 레드 블로커}}}'''가 별(=스타) 형태로 변형해 합체한다.) == 작중 묘사 == 합체 구호는 __'''{{{#d0b900 초력합체(超力合體)}}}'''__. 합체 후 '오레인저 로보, 올레!'라는 구호를 외친다. 각 [[초력 모빌]]에 탑재된 배틀 헬멧을 메인 조종자가 교대하는 것으로 교환하는 헤드 체인지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각 멤버에 맞는 무장으로 변하며 가장 많이 쓰인 것은 기본형인 윙 헤드이며 이 상태의 무장인 슈퍼 크라운 소드로 적을 가르는 '크라운 파이널 크래시'로 적 머신수를 두쪽낸다. 19화에서 바라빌더에게 당해서 대파 후 수리에 들어갔다가 20화에서 레드 펀처의 기술 특훈을 위해 잠시 스파링 상대로 등장하고 21화부터 재활을 시작해서 22화에 화려하게 부활했다. 재활훈련이 [[https://www.youtube.com/watch?v=sLIHO1BwGnk|에어로빅 댄스]], 달리기, 뜀틀, 농구, 축구, 권투, 슈퍼 크라운 소드로 바위 쪼개기 등 스포츠를 하는 묘사가 나와 정말 거대 로봇 맞나 싶을 정도로 미칠 듯한 개그를 보여준다. 이후 [[레드 펀처]]와 합체하여 '버스터 오레인저 로보'가 된다. 역대 1호 로봇 중 최대 크기인만큼 활약도 굉장하다. 8화에서는 함대를 여러 대 끌고 오는 바라노이아 앞에서 슈퍼 크라운 소드를 던져서 함대를 휘청이게 하고 V시네마에서는 오레드가 붙잡힌 책임을 물어 특훈한 카레인저가 조종해 단독으로 우주를 비행한 적이 있다. 종반부에는 오블로커와 레드 펀처가 [[바라미크론]]이 발사한 암흑소립자에 처참히 당하는 꼴을 본 미우라 참모장이 바라노이아에게 빼앗겨 초력의 비밀이 밝혀질 걸 우려해 당시 남아있던 태클 보이와 함께 본부 지하 깊숙이 봉인하며 이후 지구로 돌아온 오레인저가 초력을 회복하고 불러내자 화려하게 복귀한다. 하비 아카이브 Vol.1 슈퍼전대 로봇 히스토리라는 서적에 따르면 원래 오블로커가 1호 로봇으로 기획되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디자인이 달라졌다고 한다. 급거 결정된 디자인 변경이었기 때문에 오레인저 로보는 디자인 스태프가 총 동원되어[* 각 머신 별로 담당이 분담되어 디자인이 진행되었다고 한다.] 부랴부랴 진행되었으나 좀처럼 디자인이 정리되지 않았고, '''방송 시작 1개월 전에야 겨우 디자인이 최종 결정되었다'''. 슈퍼전대 시리즈 중에서도 유난히 늦은 1호 로봇의 등장에는 다 사정이 있었던 셈. 여담으로, 역대 1호 로봇 최대 크기를 자랑할 정도로 무식하게 큰 크기에 비해 조종석은 이상할 정도로 비좁게 묘사되어 있다. 헤드 체인지를 하면서 그 좁은 공간에서 자리를 어떻게 바꾸는지도 불명. 각 멤버별 초력 모빌에서 레일을 타고 조종석에 모이는 묘사가 있는 걸로 보아 헤드 체인지 시에도 이 레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걸로 보인다. == 헤드 체인지 == === 베이스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defaulthead.jpg]] 헤드가 장착되지 않은 모습. === 윙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gloves.jpg]]|| [* 위 이미지는 오 레드가 레드 펀처에 탑승하고 스파링 훈련을 도와줄 때 손에 매트를 낀 것이다.] 날개를 닮은 투구(스카이 피닉스의 꼬리)를 쓴 모습으로 오레인저 로보의 기본형태. 무장은 슈퍼 크라운 소드. 오 레드가 메인 조종 시 장착된다. [[레드 펀처]]가 등장한 뒤에는 오 그린이 윙 헤드가 장착된 상태로 조종하기도 하며 20화에서 레드 펀처의 복싱 특훈을 위해 스파링 상대가 되었을 때는 오 블루가 조종하기도 했다. ==== 슈퍼 크라운 소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ar-crownsword.jpg]] 윙 헤드의 무장. 파워레인저 지오판 명칭은 '''지오 메가조드 세이버''' 필살기는 슈퍼 크라운 소드에 초력을 집중시켜 피라미드를 배경으로 적을 베는 '''크라운 파이널 크래시'''.[* 파워레인저 지오판 명칭은 '''에너지 슬래시'''][* 13화부터 [[뱅크신]]에 검신에 달린 원형 장식이 빛나는 연출이 추가되었다.] === 혼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hornhead.jpg]]|| 뿔이 달린 타우러스 형태의 투구(그란 타우러스의 머리)를 쓴 모습이다. 육탄전이 특기로 무장은 뿔에서 발사하는 1만볼트의 전격기 '''초력 타우러스 선더'''와 박치기 '''타우러스 다이브.''' 오 그린이 메인 조종 시 장착된다. 다섯 형태 중 윙 헤드 다음으로 제일 많이 등장했다.(8화, 10화, 11화, 14화, 16화, 19화, 22화) === 그래비톤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gravitonhead.jpg]]|| 피라미드 형태의 투구(대쉬 레온의 뒤통수 갈기)를 쓴 모습. 속도전과 펀치전이 특기로 무장은 초중량급 펀치인 '''레온 펀치'''와 이마 중앙의 역삼각형 문양에서 발사하는 중력광선 '''초력 레온 빔.''' 오 블루가 메인 조종 시 장착된다. 다섯 형태 중 가장 적게 등장했다.(8화, 10화, 17화) === 발칸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vulcanhead.jpg]]|| 2문의 포를 양 옆에 붙인 투구를 쓴 모습. 점프공격이 특기로 발칸부를 분사하여 비행할 수 있다. 무장은 날아차기인 '''도구 스카이 킥'''과 '''초력 도구 발칸.''' 오 옐로우가 메인 조종 시 장착된다. 다섯 형태 중 세 번째로 등장이 많다.(8화, 9화, 14화, 19화, 23화) === 캐논 헤드 === ||[[파일:external/www.supersentai.com/oh-mc-cannonhead.jpg]]|| 1문의 포가 위에 달린 투구를 쓴 형태. 일격필살 단기전이 특기. 고속회전하여 강풍을 일으키는 '''모아 토네이도'''와 '''초력 모아 캐논'''을 사용한다. 오 핑크가 메인 조종 시 장착된다. 다섯 형태 중 그래비톤 헤드 다음으로 가장 등장이 적다.(8화, 9화, 13화, 24화) == [[완구]] == [[파일:오레인저 로보 구판박스.jpg]] 초기 버전 [[파일:오레인저 로보 후기박스.jpg]] 후기 버전 원작처럼 분리상태 채리엇 포메이션과 합체 후 전투스타일을 변경하는 헤드체인지 시스템을 구현했고, 사용하지 않는 헤드는 기체 뒤쪽에 붙여놓을 수 있는 오리지널 기믹이 있다.[* 그라비톤 헤드가 스카이 피닉스의 등, 발칸 헤드와 캐논 헤드는 각각 합체하는 메카의 뒷면에 장착된다.] 대쉬 레온의 변형기믹 덕분에 전대 로봇 완구 중에서는 팔 가동 범위가 상당히 넓다. 합금은 쓰이지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고대유적을 이미지한 디자인과 더불어 전신에 다량 사용되어 있는 도금 파츠로 인해 상당히 고급스러운 느낌을 준다. 파워레인저판인 지오 메가조드/지오 스핑크스에서는 슈퍼 크라운 소드의 도금이 없어지고, 도구 랜더와 모아 로더측에 수납되는 '''{{{#c9a200 견인용 체인}}}'''도 금속이 아닌 일반 끈으로 변경되었다. 출하시기에 따른 박스아트 차이가 존재하며, 로봇이 정면구도로 나오는것이 1기, 2기는 레드 펀처 발매에 맞춰 디자인이 바뀌었는데, 왼쪽 위를 쳐다보는 구도로 변경되었다. [[꾸러기 수비대]] 한국 방영시 오레인저 로보에 주역 12명의 얼굴을 갖다붙인 ''''[[알바트로스(꾸러기 수비대)|알바트로스]] 로봇''''이라는 [[http://oremaga.la.coocan.jp/kemocha/etoranger.htm|해적판 완구가 발매된 적이 있다]]. 원본에서 일부 부품만 손봐서 그런지 원본 오레인저 로보 및 레드펀처와 대부분의 기믹이 공유된다. 또한 박스아트는 2기 기준 디자인을 오마주했으며, 소소하게 지오레인저 판에서는 생략된 슈퍼 크라운 소드의 도금과 금속체인이 의외의 장점. == 같이 보기 == [include(틀:초력전대 오레인저)] [include(틀:초력전대 오레인저 주역 메카)]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주역 메카)] [[분류:초력전대 오레인저/메카]][[분류:슈퍼전대 시리즈의 1호 메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