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439B 0%, #1A2842 20%, #1A2842 80%, #1D439B)" {{{#ffffff '''오렐리앵 추아메니의 수상 이력'''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UNFP 올해의 팀|[[파일:1200px-Logo_UNFP.svg.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91C3D; font-size: 0.9em" [[UNFP 올해의 팀|{{{#ffffff '''UNFP 올해의 팀'''}}}]]}}} ||<-3>[[틀:2020-21 UNFP 올해의 팀|2020-21]] · [[틀:2021-22 UNFP 올해의 팀|2021-22]]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urélien Tchouaméni(23-24).png|width=100%]]}}} || ||<-3> '''레알 마드리드 CF No. 18''' || ||<-3> '''{{{#050047 {{{+2 오렐리앵 추아메니}}}[br]Aurélien Tchouaméni}}}''' || ||<-2> '''본명''' ||오헬리엉 자니 추아메니[br]Aurélien Djani Tchouaméni || ||<-2><|2> '''출생''' ||[[2000년]] [[1월 27일]] ([age(2000-01-27)]세) || ||{{{-1 [[노르망디|노르망디]] 레지옹 [[센마리팀]] [[루앙]]}}}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include(틀:국기, 국명=카메룬)] || ||<-2> '''신체''' ||[[키(신체)|키]] 187cm / [[체중]] 81kg || ||<-2>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2023-24시즌에 밀리탕의 부상과 뤼디거의 출장 정지로 인해 센터백으로도 출전한 경험이 있다.] || ||<-2> '''주발''' ||오른발 || ||<|2> '''소속''' || '''유스''' ||SJ 디아티게스 (2006~2011)[br][[FC 지롱댕 드 보르도]] (2011~2018) || || '''선수''' ||[[FC 지롱댕 드 보르도]] B (2017~2018) [br] [[FC 지롱댕 드 보르도]] (2018~2020)[br]'''[[AS 모나코 FC]] (2020~2022)'''[br]'''[[레알 마드리드 CF]] (2022~ )''' || ||<-2> '''국가대표''' ||29경기 3골[* 2023년 10월 18일 기준]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2021~ )^^ || ||<-2>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tchouameni, 크기=28)]|[[https://www.instagram.com/aurelientch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 '''등번호'''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8번''', 14번[br][[FC 지롱댕 드 보르도]] - 8번, 14번, 16번, 17번, 34번[br][[AS 모나코 FC]] - '''8번''', 15번, 16번, 24번[br][[레알 마드리드 CF]] - '''18번''' || ||<-2> '''후원사''' ||[[나이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 국적의 [[레알 마드리드 CF]] 소속 [[축구선수]].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 == 선수 경력 ==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렐리앵 추아메니/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2021년 9월 1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지역예선(유럽)/D조|유럽 지역예선 D조]] 4라운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보스니아]]전에서 하프타임에 [[토마 르마]]와 교체되어 출전하면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UEFA 네이션스 리그/2020-21 시즌|2020-21 UEFA 네이션스 리그]] 준결승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벨기에]]전에 교체 출장하며 국가대표 첫 메이저 대회를 가졌다. 그리고 결승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전에서는 선발로 출장하여 풀타임을 소화하며 패스 성공률 79%, 기회 창출 1회, 가로채기 4회, 볼 리커버리 6회, 볼 경합 승리 8회를 기록하는 등 훌륭한 경기력을 보이면서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의 우승에 기여했다. 2022년 3월 26일, [[코트디부아르 축구 국가대표팀|코트디부아르]]와의 친선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패스 성공률 94%, 드리블 성공 2/2, 태클 성공 3회, 걷어내기 1회, 가로채기 2회, 볼 리커버리 9회, 볼 경합 승리 12회를 기록하며 맹활약을 펼쳤으며, 후반 추가 시간까지 1:1로 팽팽히 맞서던 상황에서 극적인 결승골까지 터뜨리며 A매치 데뷔 골을 기록했다. 2022년 9월 22일, [[UEFA 네이션스 리그/2022-23 시즌|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 A그룹 1조 5차전 오스트리아전에서는 선발출전하여 풀타임 소화하며 패스 성공 63/73, 기회 창출 1회, 드리블 성공 2/2, 롱패스 성공 3/7, 볼 리커버리 3회, 지상 볼 경합 승리 5/7, 공중 볼 경합 승리 1/1을 기록하며 중원에서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잉글프랑스1.jpg|width=100%]]}}} || 11월 9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본선 최종 명단에 포함되었다. [[폴 포그바]]와 [[은골로 캉테]]가 부상으로 제외되었기 때문에 추아메니가 주전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조별리그 1차전 호주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77분을 소화하며 패스 성공률 96%, 볼 경합 승리 6/6, 가로채기 3회, 볼 리커버리 6회를 기록하며 월드컵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치렀다. 팀은 4-1 완승. 조별리그 2차전 덴마크전에서는 풀타임을 소화하며 패스 성공률 99%, 기회 창출 2회, 볼 경합 승리 5/8, 걷어내기 1회, 가로채기 2회, 볼 리커버리 4회 등을 기록하며 중원에서 준수한 경기력을 이어갔다. 팀도 2-1 승리를 따내며 16강 진출에 성공했다. 조별리그 3차전 튀니지전에서는 주전들이 대거 선발 라인업에서 제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선발 출전하여 풀타임을 소화했다. 팀원들이 전체적으로 호흡이 맞지 않는 상황에서도 추아메니는 패스 성공률 90%, 롱패스 성공 5/5, 가로채기 2회, 볼 리커버리 7회를 기록하며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팀은 1-0으로 패배했지만 조 1위를 확정지었다. 16강 폴란드전에서 선발로 나오며 66분을 소화했다. 2000년생의 젊은 선수지만 월드컵 16강이라는 큰무대에서도 전혀 주눅들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는데, 단단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안정적으로 포백 라인을 보호했고, 큰 키에도 불구하고 유려한 발기술과 패싱능력을 통해 공격전개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위협적인 중거리 슈팅으로 유효슈팅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팀은 8강 진출에 성공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WC England VS Griezmann1.gif|width=100%]]}}} || 8강 잉글랜드전에서도 선발 출전하여 [[앙투안 그리즈만]]의 패스를 받아 [[조던 픽포드]]를 상대로 골문과의 거리 26m 위치에서 108km/h의 엄청난 중거리 슛으로 선제골을 넣었다. 그러나 후반전 초반에 [[부카요 사카]]에게 발을 걸며 [[페널티 킥]]을 내줬고, 결국 이 PK를 [[해리 케인]]이 성공시키며 옥에 티를 남겼지만 팀은 [[올리비에 지루]]의 결승골로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8강까지 전 경기 선발로 출전하며 [[아드리앙 라비오]]와 함께 중원을 구성하고 있다. 메이저 대회가 처음이기 때문에 많은 우려를 받았으나, 프랑스의 선수 구성이 매우 공격적인 단점을 3선에서 추아메니가 수비에 큰 기여를 하면서 안정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공격에도 적지않은 기여를 하며, 폴 포그바와 은골로 캉테의 공백이 전혀 드러나지 않고 있다. 준결승 모로코전에서는 최고의 경기력을 보여주며 팀을 결승행으로 이끌었다. 이날 추아메니는 패스 성공률 85%, 기회 창출 2회, 태클 성공 1회, 가로채기 4회, 걷어내기 3회, 볼 리커버리 11회, 볼 경합 승리 3회를 기록하는 등 중원에서 공수 양면에서 상당히 좋은 활약을 이어갔다. 비록 올리비에 지루와 [[킬리안 음바페]]가 찬스를 날려먹었지만, 몇 차례 위협적인 패스로 찬스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들어봐라. 추아메니는 아직 어리다. 실수를 하는 것이 당연한 나이다. 하지만 그는 엄청난 재능을 보이고 있다. 그는 어디서나 존재감을 드러는 엄청난 선수다. [[폴 포그바]]를 대체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추아메니는 이를 완벽히 해냈다." >---- >[[리오 퍼디난드]]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50152.jpg|width=100%]]}}} || 아르헨티나와의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결승|결승전]]에서는 120분 풀타임을 소화하며 열심히 경기를 소화했으나, [[승부차기]]에서는 2번 키커 [[킹슬리 코망]]의 슛이 [[에밀리아노 마르티네스]]의 선방에 막히고 3번째 키커로 나서 실축하면서 안타깝게도 팀의 준우승에 일조하고 말았다. 사실 추아메니는 이 승부차기 전까지 클럽 팀에서 승부차기는 커녕 PK를 찬 적이 한번도 없었다. 전반전에 아르헨티나에게 완벽하게 장악당한 경기력 때문에 부진했던 베테랑 선수들인 올리비에 지루와 앙투안 그리즈만, 우스만 뎀벨레 등을 일찍 빼서 승부차기 때 비교적 경험이 적고 어린 선수들을 투입해야 했던 것이 패인이 되었다.[* [[UEFA 유로 2020/결승|UEFA 유로 2020 결승전]]의 [[부카요 사카]]의 사례처럼 어리고 경험 없는 선수를 승부차기 키커로 내세운 [[디디에 데샹]] 감독의 실책이라는 반응도 일부 있지만 전반전에 압도당한 경기력 때문에 베테랑 선수들을 대거 교체 아웃 시키고 속도감 있고 빠른 영건들을 투입시켜 후반전에 두 골이나 따라붙으며 분위기 전환에 성공했기에 승부차기에 영건을 투입시킨 것에 대해 마냥 데샹을 책임을 묻는 것은 가혹하다. 영건들을 투입하지 않았다면 승부차기는 커녕 정규시간 안에 패배했을 수도 있었다.][* 또 [[카림 벤제마]], [[프레스넬 킴펨베]], [[은골로 캉테]], [[폴 포그바]] 등 부상으로 낙마한 베테랑들도 많았다.] 그래도 추아메니는 대회 동안 가로채기 전체 1위(14회)를 기록했고, 프랑스 팀 내 활동량-스프린트-패스 1위를 기록하는 등 2000년생 첫 메이저 대회를 경험한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인 대회를 보냈다. 이번 대회의 경험이 앞으로 커리어에 좋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인지 지켜보는 재미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 [[UEFA 유로 2024]] ==== ===== 예선 ===== 1차전 네덜란드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킬리안 음바페]]의 골을 어시스트했고, 이 외에도 패스 성공률 84%, 볼 리커버리 3회, 가로채기 6회, 걷어내기 2회, 태클 성공 1/1, 슈팅 차단 1회를 기록하며 중원에서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76분에 소속팀 동료 [[에두아르도 카마빙가]]와 교체되며 경기를 마쳤다. 다만 주심에 말도 안하고 공을 손으로 집은 뒤 문제가 있다고 하다가 핸들링 파울로 프리킥을 내주는 옥에 티를 남겼다. 2차전 아일랜드 원정에서는 경기 막판에 교체 출전하여 1-0 승리를 지켰다. 3차전 지브롤터전에서는 소속팀 동료 [[에두아르도 카마빙가]]와 함께 3선에 선발 출전하여 패스 성공률 94%, 기회 창출 1회, 볼 경합 승리 8회, 볼 리커버리 5회, 걷어내기 1회, 태클 성공 2회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펼쳤다. 이 외에도 골대를 2차례 강타하는 등 공격적으로도 위협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팀은 3-0 승리. 4차전 그리스전에서도 에두아르도 카마빙가와 함께 선발 출전하여 패스 성공률 94%, 기회 창출 2회, 가로채기 4회, 볼 리커버리 11회, 태클 성공 2회를 기록하며 준수한 경기력을 보였다. 5차전 아일랜드전에서 [[아드리앙 라비오]]와 호흡을 맞추며 패스 성공률 96%, 기회 창출 2회, 태클 성공 2회, 가로채기 2회, 볼 리커버리 10회를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펼쳤으며, 전반 19분에는 환상적인 중거리 슈팅으로 골문을 가르면서 선제골이자 결승골을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85EmN8Iu1s)]}}} || [[카세미루]], [[파비뉴]] 등 근래 보기 힘든 전통적인 홀딩 유형의 [[수비형 미드필더]]로, 187cm에 81kg라는 뛰어난 하드웨어를 보유하고 있다. 다리가 길고 흑인 특유의 탄력과 밸런스 잡힌 신체를 갖추고 있어 지상 및 공중에서의 볼 경합 상황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특히, 공중볼 경합 상황에서 상대의 타겟맨을 집중 마크하거나, 세트피스 공격 시에도 심심찮게 헤더를 통해 득점을 올리기도 한다. 이처럼, 추아메니는 어렸을 때부터 이미 피지컬을 갖추고 있었고 기동력과 내구성까지 뛰어난 선수라, 이미 '''피지컬적으로는 완성형'''에 가까운 선수라고 할 수 있다. 축복받은 피지컬에 더해 긴 다리를 이용한 '''태클과 인터셉트 등 뛰어난 수비 스킬'''까지 갖추고 있다. 뛰어난 피지컬과 수비 스킬을 바탕으로 최후방 수비라인 앞에서 포백을 보호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보인다. 포백 보호뿐만 아니라, 상대의 속공을 끊어내고 지공 시에도 협력 수비와 강력한 대인 방어를 통해 존재감을 뽐낸다. 또한, 단순히 공을 끊어내는데 그치지 않고, 상대의 '''볼을 끊어낸 후 바로 역습을 전개'''하는 데도 능하다. 특히, 후방에서 다이렉트하게 롱패스를 뿌려줄 수 있는 시야와 롱패스는 물론, 엄청난 중거리슛을 꽂을 수 있는 킥력도 갖추고 있다. 특히 어린 나이임에도 월드클래스 미드필더의 필수 조건인 헤드업 플레이도 갖추고 있어, 고개를 들어 시야를 확보한 후 정확한 롱 킥을 보내준다. 레알 마드리드 이적 후에는 전임자인 카세미루와 유사한 역할을 보여주면서도, 그보다는 더 높은 빌드업 및 공격 전개 관여도를 보여주고 있다. 빌드업 상황에서 [[토니 크로스]]나 [[루카 모드리치]]에게 전권을 넘기고 남은 공간을 메꿔주는 역할을 주로 하던 카세미루와는 달리 추아메니는 크로스와 더블 피봇을 이루거나 센터백 사이로 내려와 최후방에서 볼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플레이를 높은 완성도로 해낸다. 전형적인 수비형 미드필더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카세미루와는 달리 대표팀 선배인 [[폴 포그바]]처럼 부드러운 볼 컨트롤과 상대의 압박으로부터 볼을 지켜낼 수 있는 테크닉을 갖추고 있고 패스에서도 상대의 압박이 지나치게 거센 것이 아니라면 거의 실수하지 않는 편이다. 또한 언급한 데로 킥력이 상당히 강해 간헐적으로 강력한 중거리 슛을 보여주기도 한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8강 잉글랜드 전에서 기록한 선제골이 대표적이다.] 다만 수비 시에 카세미루 만큼의 수비 스킬, 적극성, 허슬 플레이가 부족하다는 것은 분명히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며, 간혹 거친 수비로 카드를 많이 수집한다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물론 카세미루 역시 거친 수비 스타일로 잦은 파울을 범했고 카드를 받는 경우가 많았지만 그만큼 카드 관리를 영리하게 한 편이다. 다행이도 추아메니는 레알 마드리드 이적 이후에는 현재까지는 거친 수비의 빈도를 눈에 띄게 줄인 모습이긴 하다.] 또한 약발인 왼발 사용 빈도가 적다는 것 역시 개선해야 할 부분이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레알 마드리드 CF]] (2022~ ) * [[코파 델 레이]]: 2022-23 * [[UEFA 슈퍼컵]]: 2022 * [[FIFA 클럽 월드컵]]: 2022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2021~ ) * [[FIFA 월드컵]] 준우승: 2022 * [[UEFA 네이션스 리그]]: 2020-21 === 개인 수상 === * [[리그 1]] 올해의 영플레이어: 2020-21 * [[UNFP 올해의 팀]]: 2020-21, 2021-22 === 출전 기록 === ==== 국가대표 ==== || '''{{{#fff 소속 대표팀}}}''' || '''{{{#fff 연도}}}''' || '''{{{#fff 경기}}}''' || '''{{{#fff 득점}}}''' || '''{{{#fff 도움}}}''' || ||<|4>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프랑스]] || 2021 || 7 || 0 || 0 || || 2022 || 14 || 2 || 0 || || 2023 || 4 || 0 || 1 || || '''통산''' || '''25''' || '''2''' || '''1''' || == 추아메니에 대한 언사 == >'''나는 추아메니가 최고의 선수라고 생각한다. 나는 그를 선수로서 많이 좋아한다.''' >---- >[[가비(2004)|가비]] == 여담 == * 부모님은 카메룬 출신의 약사와 학생 카운슬러로, 전형적인 프랑스 중산층 집안 출신이다. * [[에릭 막심 추포모팅]]과 함께 [[이주헌(축구)|추멘]]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카니 추쿠에메카|추쿠에메카]]랑 [[사무엘 추쿠에제|추쿠에제]]도 있다.-- 그리고 [[이스타TV]]에서도 이에 대한 [[https://youtu.be/kYPlvAb01-4|영상을 올렸다.]] * [[FC 지롱댕 드 보르도|보르도]] 시절 동료였던 [[황의조]]와 [[인스타그램]] 맞팔 상태였지만 현재는 황의조만 팔로우하고 자신은 팔로우를 끊은 것으로 보인다. * 바르셀로나 소속이자 같은 프랑스 국대 수비수인 [[쥘 쿤데]]와 매우 각별한 사이다. 둘은 보르도 유스 시절에 만났다. * 미국 스포츠와 문화에 상당히 관심이 많다고 한다. 우상도 [[NBA]] 전설인 [[마이클 조던]]과 [[코비 브라이언트]]. * 동생인 야니스 추아메니는 현재 미국에서 대학 농구선수로 활동중이다. * 동기부여를 느끼기 위해 관련 문구를 메모하는 습관이 있는데, 이 중에서 많은 문구들이 NBA 선수들이 말한 문구라고 한다. *[[IShowSpeed|아이쇼스피드]]를 많이 닮은꼴로 유명하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레알 마드리드 CF)] [include(틀: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FIFA 월드컵))] [각주] [[분류:2000년 출생]][[분류:루앙 출신 인물]][[분류:프랑스의 축구선수]][[분류:수비형 미드필더]][[분류:카메룬계 프랑스인]][[분류:FC 지롱댕 드 보르도/은퇴, 이적]][[분류:AS 모나코/은퇴, 이적]][[분류:레알 마드리드 CF/현역]][[분류:프랑스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2017 FIFA U-17 월드컵 인도 참가 선수]][[분류:2018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