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ORSIS T-5000}}}'''[br]''ОРСИС Т-5000''[br]''오르시스 T-50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RSIS_T-5000.jpg|width=100%]]}}}|| || '''종류''' ||[[저격소총]] || || '''원산지'''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18년]]~현재 || || '''개발 및 생산''' ||ORSIS || || '''개발년도''' ||[[2011년]] || || '''생산년도''' ||[[2011년]]~현재 || || '''사용국'''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br][[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3]] [[베트남]][br][[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3]] [[아랍 에미리트]][br][[파일:중국 국기.svg|width=23]] [[중국]] 등 || || '''사용된 전쟁''' ||[[시리아 내전]][br][[이라크 내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T-5000M[br]Tochnost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338 Lapua Magnum|.338 라푸아 매그넘]][br][[7.62×51mm NATO]][br][[.300 Winchester Magnum|.300 윈체스터 매그넘]] || || '''급탄''' ||5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볼트액션]] || || '''총열길이''' ||660mm || || '''전장''' ||1,180mm || || '''중량''' ||6.5kg || || '''유효사거리''' ||1,500m[*A .338탄 사용 M 버전 기준 [[https://tvzvezda.ru/news/forces/content/201505141624-18zi.htm|출처]]] || || '''최대사거리''' ||2,000m[*A]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8458.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Emxv6MS2yM)]}}} || [[러시아]]의 ORSIS(오르시스)사에서 개발한 [[저격소총]]. 2011년 러시아 무기 박람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 == 상세 == 과거 러시아군의 아버지인 소련군은 독소전 당시 [[SVT-40]]을 사용하는 저격수들을 배치해서 높은 성과를 얻었던 경험을 기반으로 전술과 발 빠른 장갑차를 기반으로 한 기동화 보병 전술에선 모신나강 등의 볼트액션 라이플은 끼어들 틈이 없었고 [[드라구노프 저격소총|SVD]] 같은 [[지정사수소총]]들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편이었다. 그렇지만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체첸 사태]]를 통해서 SVD 같은 정확도가 비교적 낮은 편인 DMR들은 개활지나 원거리에 있는 적측 저격수를 공격하기엔 알맞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났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SV-98]]이었지만 SV-98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뻑뻑한 노리쇠 같은 이유로 인한 정확도와 발사 속도 등에서 이런저런 단점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서방이 저격용으로 사용하는 .338 계열의 탄을 사용하는 새로운 저격총이 필요해졌고 그 후 만들어진 것이 바로 ORSIS T-5000이다. 총기 재질은 [[스테인리스강]]과 D16T 항공용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카티니 레일]]이 기본 사양으로 여러 광학 장비나 야시경, 그리고 레이저 사이트를 부착할 수 있다. [[파일:/pds/201602/29/43/f0278443_56d445c01da99.gif|width=500]] 정확도는 .338 라푸아 매그넘 기준으로 300m 안에서 0.5 [[MOA]] 이하이다. 이 정확도는 서방의 저격소총이나 [[TRG]] 계통과 맞먹는다. SVD의 다소 떨어지는 MOA[* SVD는 서방측의 M24를 필두로 한 장거리 저격소총과는 달리 지정사수 목적으로 제작되었기에 당연히 MOA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게다가 SVD 문서에서 상술했듯이, 탄약의 품질 문제도 컸다. 일반적인 사람들의 생각과는 달리, 총기의 명중률은 총기의 구조 외에도 탄약의 품질 또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2차대전 당시 스위스군에서 운용된 [[K31]] 소총이다. 총의 구조도 굉장히 정밀하지만 서플리스 탄약의 품질이 매우 높은 덕분에 K31은 저격소총이 아닌 '''보병용 소총'''임에도 불구하고 1 MOA는 기본이고 심지어는 '''0.5''' MOA를 찍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다.] 덕분에 북미를 비롯한 서방측에서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던 러시아제 저격소총의 인식을 크게 뒤엎었다. 러시아에서 만들었지만 .338 라푸아 매그넘 탄은 물론이고 서방에서 많이 쓰는 7.62×51mm NATO 탄이나 [[.300 Winchester Magnum|.300 윈체스터 매그넘]] 탄을 사용한다. 또한 그립에서 볼 수 있듯이 인체공학적인 디자인도 특징이다. T-5000은 2012년 9월에 [[라트니크]] 프로젝트의 장비 중 하나로 테스트되었다. 디지털 플로라 패턴 위장복, [[6Sh-112]] 전투 조끼, 6B45 방탄복, [[AK-12]] 등이 프로젝트에 연관되어 있다. 현재 러시아, 중국, 이라크 특수부대에서 사용한다. 2016년 2월 기준 16만 루블이다. == 파생형 == * T-5000M [[파일:T-5000M.jpg|width=600]] 유효사거리를 2,000m 정도까지 늘린 개량형. * Tochnost [[파일:Orsis-Tochnost-rifle-660x320-660x260.jpg|width=600]] 위 T-5000M과 개량점은 비슷한데, [[FSB]] 등의 특수부대에서 사용하기 위해 테스트된 모델이다. [[https://en.m.wikipedia.org/wiki/Sputnik_(news_agency)|#]] [[https://sputniknews.com/military/201709271057759097-tochnost-prepared-for-delivery/|#]]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youtube(JGgQbXtTx0A)] * [[소녀전선]] 저격소총 카테고리의 4성 전술인형으로 등장한다. [[T-5000(소녀전선)]] 참조. * [[워페이스]] 대미지가 378로 매우 높지만 사거리가 다른 저격소총에 비해 짧은 편이다. 특이사항으로 몸통보다 팔다리에 대미지 배율이 더 높다. * [[월드 워 3]] 파생형 중 하나인 Tochnost가 등장한다. [[헤넬 RS9|G29]]보다 무게가 가볍지만 장탄수가 5발 적고 사거리도 더 짧다. * [[AVA]] 상점제 렌탈 저격소총으로 등장. 성능은 무난하게 사용할수 있는 무기. 다만 [[FR-F2]]의 스왑모션과 재장전 모션을 그대로 재탕했다. * [[Contract Wars]] 기본 명중률이 100인 괴악한 성능과 179까지 올라가는 대미지, 한계 사거리를 넘어서도 109 대미지를 뽑아내며, 줌 속도도 빨라 굉장히 강력하다. 게임 내에서 [[Arctic Warfare|AWM]]과 [[VSSK]]와 함께 3대 저격소총으로 꼽힌다. * [[Escape from Tarkov]] 타르코프의 모든 볼트액션 저격총중 가장 뛰어난 인체공학을 가진 저격총으로 등장한다. 아쉽게도 게임 자체가 볼트액션 저격총이 활약하기 힘든 환경이라 평가는 박한 편. == 기타 == [[파일:634f233.jpg|width=500]] 오르시스 사가 총기업계의 나름 후발주자라, 인지도가 다른 회사보다 낮기 때문에 대놓고 노렸는지 [[T-5000|터미네이터]]라는 명칭으로으로 광고하고 있으며, [[스티븐 시걸]]을 홍보대사로 삼고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중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시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저격소총]][[분류:볼트 액션 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2011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