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복면가왕의 출연자, rd1=정체가 오리무중 오리배)] || [[파일:한강오리배.jpg|width=400]] || [[파일:수성못 오리배.png|width=400]] || || [[한강]] || [[수성유원지|수성못]] || [목차] == 개요 == pedalo / swan boat[* 구동 방식으로 표현하먼 pedalo, 겉모습으로 표현하면 swan boat.] 인력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선박|배]] 중 잔잔한 물가에서의 레저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오리]] 모양의 배. == 역사 == || [[파일:1930페달로.jpg|width=400]] || [[파일:페달로.jpg|width=400]] || || 1930년 [[스톡흘름]]에서 시연된 페달로 || 펀트(punt) 페달로 || 인력을 사용한 배는 고대부터 주로 [[노(도구)|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자전거의 발명 이후 페달을 사용하여 회전하는 노(측면) 혹은 스크류(후면)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의 배가 등장했다. 이를 페달로(pedalo)라 하는데, [[카누]]나 [[카약]]에 비해 힘만 들고 잔잔한 물 외에는 효용성이 떨어져서 그다지 운용되지는 않았다. || [[파일:일본오리배.jpg|width=500]] || || 일본 --오리--오호리 공원의 스완 보트 || 그러던 중 일본의 '스나가'라는 선박회사에서 누구나 몰 수 있는 레저용 선박의 개념으로 이 형태의 배의 개발에 착수하여, 1978년 최초로 백조의 모습을 본뜬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배는 곧바로 전세계로 퍼져나갔으며, 특히 한국, 중국, 동남아 등지의 아시아에서 주로 생산/사용되었으나 미국/브라질 등에도 전파되었으며 특히 브라질에서는 pedalinho 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인기를 끌었다. || [[파일:브라질오리배.jpg|width=500]] || || 브라질의 pedalinhos || == 상세 == 기본적으로 레저용이기 때문에 들어가는 노동 대비 이동성은 매우 떨어지는 편이다. 주로 커플이나 가족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보통 느긋하게 다녀도 30분이면 --주로 남자친구(아빠)가 --녹초가 될 정도. 사실 낼 수 있는 힘에 비해 무게가 상당해서 근본적으로 속도를 내기 힘든 구조이긴 하지만 오히려 고속으로 운행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되어 누구나 면허 없이도 운행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체력은 낮지만 체면은 깎이기 싫은 남자들을 위한 --전동모터를 달아서 페달을 밟기만 하면 되는 전동오리배가 있는 곳도 있지만, 보통은 당연히 일반 오리배보다 비싸다. 참고로 대한민국에서 오리배를 탈 수 있는 곳은 아래와 같다. * 서울 [[한강]] [[여의도]], [[뚝섬]], 망원 * 의왕 [[백운호수]] * 파주 [[하니랜드]] * 포천 산정호수 * 공주 [[금강]] * 청주 명암저수지 * 춘천 공지천유원지 * 대구 [[수성유원지]], [[동촌유원지]] * 거제 자연예술랜드 * 전주 [[덕진공원]] * 광주 [[우치공원]] * 영광 불갑저수지 * 담양 국수거리 * 제천 [[의림지]] == 기타 == [[파일:무한도전오리배.jpg|width=400]] 2005년 [[무한도전]]이 [[무모한 도전]]이던 시절 [[한강]] 오리배로 유람선과 대결하는 [[무한도전/독립 이전|도전]]을 한 적이 있다. 결과는 오리배의 패배. [[https://youtu.be/d6CuKpcF7kE|영상]] 2007년 [[스펀지(KBS)|스펀지]]에서는 오리배에서 착안하여 '''진짜 오리가 끄는 보트로 한강을 건널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nxaSCGjddQ|#]] 오리배를 타다가 물에 빠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데 반대로 경찰이 [[지나가던|마침 근처에 있던]] 오리배를 이용해 [[https://youtu.be/IHweINWzOWg|인명구조에 성공한 사례]]도 있다. 영화 [[김씨표류기]]에는 주요 캐릭터 중 하나로 나온다. [[분류:선박]][[분류:놀이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