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암호화폐)] ||<-2> '''{{{+3 {{{#fff 오리진 프로토콜}}} }}} [br] {{{#fff Origin Protocol}}}''' || ||<-2> [[파일:origin protocol logo_02.jpg|width=300]] || || '''{{{#ffffff 기호}}}''' || OGN || || '''{{{#ffffff 설립일}}}''' || 2017년 5월 || || '''{{{#ffffff 본사}}}''' || 미국 샌프란시스코 || || '''{{{#ffffff 산업 분류}}}''' || [[블록체인]] 기업 || || '''{{{#ffffff 주요 서비스}}}''' || 탈중앙화 이커머스, [[NFT]] 런치패드 등 || || '''{{{#ffffff 링크}}}''' || [[https://www.originprotocol.com/k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XYiy1W17wY8VafpzF8TwB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https://t.me/originprotocolkorea|[[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anKtnkWP8U, width=100%)]}}} || 오리진 프로토콜은 [[이더리움]] 및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사용해 이용자들이 탈중앙화 [[P2P]] 방식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만드는 걸 지원하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현재 [[블록체인]] 기반 무료 오픈 소스 전자상거래 솔루션 Dshop(디샵)과 NFT 런치패드 그리고 유틸리티 토큰 OGN, 스테이블 코인 OUSD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일렉트로닉 아츠|EA]]의 [[Origin(플랫폼)|오리진]]과는 아무런 상관 없다. == 상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rigin protocol CEO.png|width=100%]]}}} || || '''{{{#ffffff 오리진 프로토콜 공동창업자 조시 프레이저, 매슈 리우}}}''' || 공동창업자 조시 프레이저(Josh Fraser)와 매슈 리우(Matthew Liu)는 [[공유경제]]와 탈중앙화 [[P2P]]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관심을 가지고 2017년 5월 오리진 프로토콜을 설립했다. 전통 사회 시스템을 탈중앙화 형태로 바꾸는 방법으로는 기존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개발하는 방법, 기존 시스템들을 이미 개발된 [[암호화폐]] 플랫폼과 연결하거나 디앱(DApp)으로 개발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있는데, 오리진은 후자의 서비스다. 오리진 프로토콜 플랫폼은 분산 데이터 프로토콜 IPFS와 [[JavaScript]]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자신에게 익숙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블록체인]]과 직접 상호작용하지 않고 다양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여러 플랫폼들을 구축할 수 있다. 실제로 오리진은 2019년 2월 누구나 [[블록체인]] 기반 마켓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크리에이터(Marketplace Creator)’와 모바일 앱 ‘오리진 마켓플레이스(Origin Marketplace)’를 출시했다. 그리고 유틸리티 토큰인 오리진 토큰(OGN)과 자체 개발한 스테이블 코인 OUSD와 탈중앙화 스토어 구축 프로그램인 디샵(Dshop)을 선보였다. 2021년에는 탈중앙화 [[P2P]] 마켓플레이스를 만들 수 있던 디샵처럼 개인이 [[NFT]] 스토어를 구축할 수 있는 NFT 런치패드(Launchpad) 서비스를 내놓았다. == 주요 서비스 == === 디샵(Dshop) === IPFS 과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구축된 무료 [[오픈 소스]] 전자상거래 솔루션. 디샵은 구글 클라우드, 브레이브(Brave),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 [[솔라나]](Solana) 등 다양한 프로젝트들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1887860719|오리진 기반 BRAVE 스토어]] 우리나라 ICT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의 공유숙박 ‘위홈'이 오리진 프로토콜 디샵을 이용해 구축한 스토어의 대표적인 예시[[https://www.fnnews.com/news/201810141624047675|#]] === NFT 런치패드 === 앞서 서술한 디샵처럼 IPFS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으로 무료로 구축 가능한 [[NFT]] 스토어 솔루션. 실제로 오리진 프로토콜에서 진행한 [[NFT]] 경매들은 각자만의 스토어가 구축돼 있다. [[https://tabong.brave.com/#/|Brave NFT 스토어]] 그리고 블라우(3LAU)와 [[패리스 힐튼]] 등 유명인들이 함께 하고 있으며, 유튜브 영상 ‘찰리 비트 마이 핑거’의 [[NFT]] 경매 등 [[NFT]] 관련 시장에서도 빠르게 그 영향력을 넓혀가는 중이다. 유명 프로듀서이자 DJ이며, 암호화폐계의 인플루언서인 블라우는 오리진 프로토콜의 [[NFT]] 런치패드를 활용해 한화로 약 133억원의 수익을 내며 2021년 [[NFT]] 음악 산업 최고가 경매 기록을 세웠다. ‘찰리 비트 마이 핑거’ 비디오 [[NFT]] 경매 역시 오리진 프로토콜 [[NFT]] 런치패드를 통해 경매를 진행하며 최고가 8억 6천만원에 낙찰. 뉴욕타임즈, 포브스, BBC 뿐만 아니라 국내 언론사 MBC, SBS 그리고 연합뉴스에 보도됐다. [[https://youtu.be/dFsKEWfvEUg|유튜브 MBC NEWS 채널 영상]] ==== NFT Drop 리스트 ==== 2021년 2월부터 진행된 오리진 프로토콜의 NFT 드랍 리스트다. 2월 17일 3LAU [[https://nft.3lau.com/#/auction|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246545161|블로그]] 3월 30일 루페 피아스코(Lupe Fiasco) [[https://nft.lupefiasco.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292356618|블로그]] 4월 7일 제이크 폴(Jake Paul) [[https://nft.jakepaul.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01477433|블로그]] 4월 14일 라이언 테더(Ryan Tedder) [[https://nft.ryantedder.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09429490|블로그]] 4월 21일 마이크 딘(Mike Dean) X 셰퍼드 페어리(Shepard Fairey) [[https://nft.obey422.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17645458|블로그]] 4월 27일 Bassjackers [[https://nft.bassjackers.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24720442|블로그]] 5월 11일 Micro [[https://nft.micro.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46520058|블로그]] 5월 17일 유튜브 영상 'Charlie Bit My Finger-again' [[https://www.charliebitme.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55052603|블로그]] 5월 21일 모노네온(MonoNeon) X 키 아렌스(Kii Arens) [[https://nft.monoxkii.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59781452|블로그]] 5월 28일 마이크 딘(Mike Dean) & 쉐퍼드 페어리(Shepard Fairy) [[https://nft.obey422.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71409595|블로그]] 6월 3일 브레이브(Brave) [[https://brave.com/exclusive-nft-drop/|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382586397|블로그]] 6월 22일 USA Today [[https://nft.usatoday.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406754641|블로그]] 6월 24일 DJ KSHMR [[https://nft.welcometokshmr.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408478444|블로그]] 6월 25일 스티브 심슨(Steve Simpso) & USEUM [[https://nft.useum.org/#/edition/78|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409718413|블로그]] 7월 4일 조지 로페즈(George Lopez), 알리 사벳(Ali Sabet), BLK PRL [[https://nft.chachalucha.com/|경매 링크]] [[https://blog.naver.com/originprotocol/222419869740|블로그]] === OGN, OUSD === 오리진 토큰(OGN)은 전체 오리진 플랫폼 및 제품군에 대한 거버넌스 및 가치 누적 토큰이다. OGN은 Origin 플랫폼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 유틸리티 토큰. 인센티브 시스템, 지불 및 향후 스테이킹 및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가능하게 한다. 조금 더 상술하자면, OGN 토큰 보유자는 기본 프로토콜을 관리하기 위한 제안을 만들고 투표할 수 있고, 오리진 플랫폼과 그 위에 구축된 제품의 성공을 통해 직접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창출된 수익은 향후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통해 변경될 수 있는 여러 경제 모델을 통해 OGN에 직접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OGN은 전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와 [[업비트]] BTC, [[코인원]], [[고팍스]] 등에 상장됐다. 그리고 2021년 4월에는 [[코인베이스]] 프로에도 상장됐다. OUSD는 최초로 지갑에서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오리진 프로토콜이 자체 개발한 스테이블 코인이다. 버고엑스와 쿠코인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OUSD 관련 홈페이지를 별도로 개설했다는 점은 오리진이 얼마나 자신들의 스테이블 코인을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https://ousd.com/governance|OUSD.COM]] === 오리진 스토리 === 오리진 스토리는 2021년 11월 출시된 오리진 프로토콜의 개방형 NFT 플랫폼이다. 오리진 NFT 런치패드는 오리진과 제휴한 아티스트만 NFT를 발행 및 판매할 수 있었다. 반면 오리진 스토리에서는 누구나 NFT를 발행 및 판매할 수 있다. NFT 경매, 2·3차 판매 등 마켓플레이스 기능을 지원한다. 2022년 1월 기준 수수료 정책은 다음과 같다. NFT 플랫폼에서 작품 판매시 일반적으로 15%의 수수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오리진 스토리에서는 15%의 수수료를 오리진 프로토콜 자체 토큰 OGN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OGN은 6개월의 락업 기간 이후 사용 가능하다. OGN을 받고 싶지 않다면 평균 수수료 15%의 절반 수준인 7.5%를 지불하면 된다. 오리진 프로토콜은 오리진 스토리 출시를 기념해 유명 유튜브 영상의 NFT 경매를 진행하기도 했다.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90783|오리진프로토콜 NFT 플랫폼 '오리진 스토리'서 유튜브 바이럴 영상 NFT 경매]] ==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리진 프로토콜/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로드맵)] == 주요 투자자 및 파트너십 == 홈페이지와 블로그 등을 통해 알 수 있는 투자자 및 파트너사는 다음과 같다. === 주요 개인 투자자 === * 유튜브 설립자 스티브 첸(Steve Chen) * 레딧 창업자 알렉시스 오해니언(Alexis Ohanian) * Y Combinator 파트너 개리 탄Garry Tan) * 엔젤 투자자 길 펜치나(Gil Penchina) * DJ 저스틴 블라 우 * Uber 고문 및 엔젤 투자자 스티브 쟁(Steve Jang) * 작가이자 VC 투자자 카말 라비칸트(Kamal Ravikant) * Akamai 창업자 랜들 캐플런 === 해외 파트너사 === * [[아마존닷컴]] * [[아마존 웹 서비스|아마존 AWS]]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구글 클라우드]] * [[Brave|브레이브]] * [[바이낸스]] * 체인링크 === 국내 파트너십 === * [[삼성]] * 위홈 [[분류:블록체인]][[분류:암호화폐]][[분류:201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