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남아시아의 통화)] [Include(틀: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ريال عماني ([[아랍어]]), Omani Rial([[영어]])[* 위와 같은 표기방식 문제로 리'''알'''과 리'''얄'''이 혼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하나은행]]에서는 '''얄'''로 표기하나 [[위키백과]]에서는 '''알'''로 표기하고 있다. 본 문서에서는 리알이라는 이름으로 먼저 작성되었기에 리알로 통일한다.] [[파일:Central_Bank_of_Oman_logo.png|align=right&width=200]] [목차] == 개요 == [[오만]]의 통화로, [[ISO 4217]]코드는 OMR, 기호는 ر.ع.이다. 보조단위로 바이사(바이자 , بيسة)를 사용하는데, 1/100단위가 아닌 '''1/1,000'''단위임에 유의. 더 옛날, 그러니까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에는 안나(Anna)라고 하는 중간단위도 존재했다. 당시 단위로 따지면 1 테레사탈러(구 리알) = 60안나 = 240파이사. 인플레이션은 4.1%(2011년)이다. 전신은 사이디 리알(Rial Saidi)이며, 교환비는 1:1이다.[* [[사우디 리얄]]과는 전혀 무관하다. 1971년에 정권을 잡은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قابوس بن سعيد) 술탄에서 따온 것이다. --정작 물러난 아빠 이름도 "사이드"라는건 무시하자--] 다만 이건 이름만 바뀐 것이니 현실적으로 말하자면 영국령 걸프 루피([[인도 루피]]류와 동등)에 해당하는데, 이 경우는 21루피 = 1리알 = '''1 파운드 스털링'''. 이런 사유로 단위 통화값이 높은 통화 중 하나이다. 하지만 파운드화에 비해서도 유난히 더 큰 값을 갖는 건 일부러 높은 값의 [[페그|고정환]]을 채택하고 있는 정책 상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결과. (1리알 = 2.6008[[미국 달러]], 1달러=0.3845 오만 리얄) 2022년 7월 6일 현재 환율은 약 3,450원/리알. 또 세계에서 3번째로 가치가 높은 화폐이기도 하다. == 환전과 환율 == 2014년 1월부터 [[KEB하나은행]]에서 유일하게 취급하고 있다. 일반적인 보유 권종은 5, 10, 20리알화 3종. 하지만 중동 화폐들이 늘 그렇듯이 보유량도 많지 않고 순순히 파는 것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수요는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2022년 6월 29일 KEB하나은행 본점에서 현찰 사실 때 가격은 1리알 당 3,690원 스프레드율은 살 때와 팔 때 비용은 동일하게 8%. ||단위||원화 환산|| ||0.1||370|| ||0.5||1,850|| ||1||3,690|| ||5||18,470|| ||10||36,930|| ||20||73,870|| ||50||184,660|| 만약 국내에서 KEB하나은행 본/지점에서 매수 못했을 경우에는 오만 현지 사설환전소, 은행에서 아래의 외국 통화로의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이 있더라도 일부 사설 환전소나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 [[https://cbo.gov.om/Pages/DFESearch.aspx|오만 중앙은행 환율창]] * [[https://www.travelex.com.om/order-currency|Travelex 취급통화 목록]] * 아시아: 방글라데시 타카, 중국 위안, 홍콩 달러, 인도 루피, 일본 엔, 한국 원, 스리랑카 루피, 말레이시아 링깃, 필리핀 페소, 파키스탄 루피, 싱가포르 달러, 태국 바트, 신 대만 달러 * 중동: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바레인 디나르, 요르단 디나르, 쿠웨이트 디나르, 레바논 파운드, 카타르 리얄,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튀르키예 리라, 예멘 리알 * 유럽: 유로, 스위스 프랑, 영국 파운드[*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 스웨덴 크로나, 노르웨이 크로네, 덴마크 크로네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브라질 헤알]] * 아프리카: 남아공 랜드, 이집트 파운드, 모로코 디르함, 튀니지 디나르, 케냐 실링, 에티오피아 비르, 탄자니아 실링 * 오세아니아: 호주 달러, 뉴질랜드 달러 == 사이디 리알 == 1970년 5월 7일에 등장했다. 당시 발행명은 "오만 및 무스카트 술탄령"으로, 오만이라는 [[국가]]에서 발행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애매한 구석이 있다. 동전은 2, 5, 10, 25, 50, 100바이사의 6종이고, 지폐는 100바이사 및 ¼(250바이사), ½(500바이사), 1, 5, 10리알화의 6종이 발행되었다. 이 구성은 차후 오만 리알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 오만 리알 == 지폐는 1972년 11월 18일에 등장했고, 동전은 1975년 초에 일괄적으로 계승이 이루어졌다. 중앙은행이 등장한 것은 1977년. 동시에 20리알과 50리알화(US$130)라는 당시로선 엄청난 고액권이 발행되었다. 1985년에는 ¼리알(250바이사)을 대신할 200바이사 지폐가 발행되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발행이나 취급이 뜸해지더니 자연스레 사장되었다. ===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구권) === |||| 1985~90 || 뒷면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jpg|width=100%]] || 100바이사 || 카부스 항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2.jpg|width=100%]] || 200바이사 || 루스타크 요새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3.jpg|width=100%]] || R.O.¼ || 어선, 고기 분류하는 어부들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4.jpg|width=100%]] || R.O.½ || 카부스대학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5.jpg|width=100%]] || R.O.1 || [[소하르]] 요새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6.jpg|width=100%]] || R.O.5 || 니즈와 요새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7.jpg|width=100%]] || R.O.10 || 미라니 요새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8.jpg|width=100%]] || R.O.20 || 중앙은행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10.jpg|width=100%]] || R.O.50 || 자브린 요새 || |||| 1995~2000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1.jpg|width=100%]] || 100바이사 || 관개수로 || [[검은독수리]], 흰[[ 오릭스]]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2.jpg|width=100%]] || 200바이사 || 무스카트 국제공항, 살랄라 국제공항 || 해양 과학 어류센터, 카부스항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3.jpg|width=100%]] || R.O.½ || 발라 요새 || 알 하짐 성 및 나칼 성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4.jpg|width=100%]] || R.O.1 || 술탄 카부스 스포츠 센터 || 오만식 단검, 은팔찌 및 은장신구, 다우(배)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5.jpg|width=100%]] || R.O.5 || 카부스 대학 || 니즈와 성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6.jpg|width=100%]] || R.O.10 || 알 나다 타워 || 무트라 성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7.jpg|width=100%]] || R.O.20 || 중앙은행 본청사 || 무스카트 증권거래소, 루사일 공단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28.jpg|width=100%]] || R.O.50 || 경제재정부 청사 || 내각 및 경제재정부 건물 ||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현행권) === |||| 2020~ || 앞면 || 뒷면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0.jpg|width=100%]] || 100바이사 || 자발 알 아크다르 || 코코스야자, 아플라즈 관개 시설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1.jpg|width=100%]] || R.O.½ || 아인 쿠르 폭포 || 청회색매, 아라비아표범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2.jpg|width=100%]] || R.O.1 || 오만 문화유산 박물관 || 오만식 단검 (Khanjar), 알아인 유적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3.jpg|width=100%]] || R.O.5 || 카부스 대학 || 왕립 오페라 하우스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4.jpg|width=100%]] || R.O.10 || 카부스 그랜드 모스크 || 알 발리드 고고학 지구, 우웨이나 모스크 미나레트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5.jpg|width=100%]] || R.O.20 || 무스카트 국제공항 || 바티나 고속도로, 소하르 항, 살랄라 국제공항 || || [[파일:attachment/오만 리알/omani016.jpg|width=100%]] || R.O.50[* 오만 현대 르네상스 50주년 및 카부스 전 국왕 추모 형태로 등장했으며, 기념권이지만 통용권에도 해당한다.] || 오만 중앙은행 || 오만 평의회, 대법원, 재무부 || == 동전 == 동전의 경우 1975년에 계승된 이래 1980년에 ¼(0.25)리알 및 ½(0.5)리알화가 새로 발행된 점을 빼고는 별 무리 없이 쓰였다. 다만 2바이사화의 경우는 계산하기 귀찮은 이유로 탈락하였다. 2020년 5월 20일부로 100바이사, 200바이사, ¼리알, ½리알 동전의 유통이 정지되었는데 2010년 당시 소액권을 모두 동전으로 교체하려고 시도했으나 그게 그리 잘 되지 않았던 모양. 그래선지 이후에 나온 신 시리즈에는 소액권 지폐들이 도로 부활하었다. 현재는 5, 10, 25, 50바이사 4종이 쓰이고 있다. [[파일:Oman Coins.jpg]] == 둘러보기 == [include(틀:오만 관련 문서)] [[분류:오만]][[분류: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