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top1=오만)] [include(틀:서아시아의 경제)] [include(틀:오만 관련 문서)] |||| '''{{{#white 오만의 경제 정보}}}'''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Muscat_Oman.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Oman_%28better%29_%28orthographic_projection%29.svg.png]] || || '''{{{#white 명목 GDP}}}''' ||<#FFFFFF>[[https://www.imf.org/external/pubs/ft/weo/2019/02/weodata/weorept.aspx?pr.x=88&pr.y=13&sy=2017&ey=2024&scsm=1&ssd=1&sort=country&ds=.&br=1&c=449&s=NGDPD%2CPPPGDP%2CNGDPDPC%2CPPPPC&grp=0&a=|$766억 900만(2019년,67위)]] || || '''{{{#white GDP(PPP)}}}''' ||<#FFFFFF>[[https://www.imf.org/external/pubs/ft/weo/2019/02/weodata/weorept.aspx?pr.x=88&pr.y=13&sy=2017&ey=2024&scsm=1&ssd=1&sort=country&ds=.&br=1&c=449&s=NGDPD%2CPPPGDP%2CNGDPDPC%2CPPPPC&grp=0&a=|$2,039억 5900만(2019년,64위)]] || || '''{{{#white 1인당 명목 GDP}}}''' ||<#FFFFFF>[[https://www.imf.org/external/pubs/ft/weo/2019/02/weodata/weorept.aspx?pr.x=88&pr.y=13&sy=2017&ey=2024&scsm=1&ssd=1&sort=country&ds=.&br=1&c=449&s=NGDPD%2CPPPGDP%2CNGDPDPC%2CPPPPC&grp=0&a=|$17,791(2019년,46위)]] || || '''{{{#white 1인당 GDP(PPP)}}}''' ||<#FFFFFF>[[https://www.imf.org/external/pubs/ft/weo/2019/02/weodata/weorept.aspx?pr.x=88&pr.y=13&sy=2017&ey=2024&scsm=1&ssd=1&sort=country&ds=.&br=1&c=449&s=NGDPD%2CPPPGDP%2CNGDPDPC%2CPPPPC&grp=0&a=|$47,365(2019년,25위)]] || || '''{{{#white 수출}}}''' ||<#FFFFFF>$21,000,000,000(2016년) || || '''{{{#white 수입}}}''' ||<#FFFFFF>$20,600,000,000(2016년) || || '''{{{#white 신용등급}}}''' ||<#FFFFFF>'''[[무디스]]''' Ba1 '''[[S&P]]''' BB '''[[피치]]''' BB+ || || '''{{{#white 외환보유고}}}''' ||<#FFFFFF>[[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foreign-exchange_reserves|$16,000,000,000(2019년 10월 기준)]] || || '''{{{#white GDP 대비 공공부채}}}''' ||<#FFFFFF>[[https://en.m.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41.3%(2017년)]] || || '''{{{#white 화폐 단위}}}''' ||<#FFFFFF>[[오만 리알]] || || '''{{{#white ISO 4217}}}''' ||<#FFFFFF>OMR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vvAEi9InG9k)] 오만은 산유국으로 석유수출 국가이다. 수출의 대부분을 석유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석유 시추는 [[1960년]] 부터 시행하였다. 이후 오만의 석유산업은 오만경제의 막대한 영역을 차지하였다. [[1999년]] 기준으로 오만의 수출에서 석유-천연가스 관련 제품이 차지하는 80% 이상이다. 오만은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대비하여[* 오만의 석유 매장량은 다른 걸프만의 국가들보다 그 양이 적으며 생산비용까지 높아 석유가 고갈될시 입을 경제적 타격이 엄청나다.] [[경공업]]을 육성하고 있다. [[1992년]] 부터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불황을 대비하기 위해 5차 5개년 개발계획을 추진하는 중이다. 이러한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공하였으며 [[2006년]]에 6.6%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데 디딤돌이 되었다. 하지만 유가하락으로 인한 경제불황은 피할수가 없었던지라 2015년부터 재정적자가 심해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오만 정부는 여태까지 국민들에게 지급되었던 연료 보조금을 삭감하기 시작했고 휘발유 가격을 올렸다. 국방예산 역시 재정적자로 25%나 축소해야 했다. 불황이 심하다보니 국가신용등급 역시 하락했는데 [[S&P]]는 오만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낮추었고 신용등급 전망도 부정적으로 보았다. [[무디스]]는 2019년 3월 5일에 오만의 국가신용등급을 Ba1으로 내리고 등급전망도 부정적을 유지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4&oid=001&aid=0010677989|#]] 중동국가들이 그렇듯이 오만도 현재 탈석유 시대로 들어섰다. 2021년 5월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린수소 생산단지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관광업으로도 적지 않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옆나라 예멘이 [[예멘 내전|전쟁 중]]임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수준의 치안을 자랑하며''' 관광객도 이슬람 규율을 크게 지킬 필요도 거의 없다는 점이 오만 관광의 메리트이다. == 산업 구조 == === [[GDP]] 구조 === 오만의 [[2006년]] 기준 산업별 구성 비율은 아래와 같다. [*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77755&mobile&categoryId=200000188]]] ||공업 ||38.8% || ||서비스업 ||58.7% || ||농업 ||2.5% || == [[무역]] 구조 == || [[파일:2021년 오만 수출 HS17_4 OEC.png|width=100%]] || || '''OEC(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에 따른 2021년 오만의 수출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omn/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오만 수출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오만은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AA7329 금속류(Metals)}}},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2E97FF 기계류(Machines)}}}, {{{#A0D447 식품류(Foodstuff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EDB73E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9C9FB2 기타(Miscellaneous)}}},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9CF2CF 무기류(Weapons)}}} 순으로 많이 수출했다. 오만은 2021년 599억 달러를 수출했다. || || [[파일:2021년 오만 수입 HS17_4 OEC.png|width=100%]] || || '''OEC에 따른 2021년 오만의 수입구조'''.[[https://oec.world/en/visualize/tree_map/hs17/export/omn/all/show/2021/|#]] 위 트리맵은 2021년 오만 수입을 2017년도 HS코드에 따라 4단위(호, Heading)까지 분류하였다. 오만은 {{{#2E97FF 기계류(Machines)}}}, {{{#A53200 광물제품류(Mineral Products)}}}, {{{#AA7329 금속류(Metals)}}}, {{{#69C8ED 수송수단(Transportation)}}}, {{{#ED40F2 화학제품류(Chemical Products)}}}, {{{#A0D447 식품류(Foodstuffs)}}}, {{{#F2AA86 축·수산물(Animal Products)}}}, {{{#F4CE0F 농산물(Vegetable Products)}}}, {{{#FF73FF 플라스틱·고무류(Plastics and Rubbers)}}}, {{{#02A347 의류·섬유류(Textiles)}}}, {{{#892EFF 귀금속류(Precious Metals)}}}, {{{#9E0071 계기류(Instruments)}}}, {{{#9C9FB2 기타(Miscellaneous)}}}, {{{#F46D2A 석재·유리(Stone and Glass)}}}, {{{#EDB73E 농·축·수산업부산물(Animal and Vegetable Bi-Products)}}}, {{{#EFDC81 종이류(Paper Goods)}}}, {{{#DD0E31 목재제품류(Wood Products)}}}, {{{#2CBA0F 신발·모자류(Footwear and Headwear)}}}, {{{#9CF2CF 무기류(Weapons)}}}, {{{#6DF2B0 천연피혁류(Animal Hides)}}}, {{{#847290 예술품·골동품류(Arts and Antiques)}}} 순으로 많이 수입했다. 오만은 2021년 341억 달러를 수입했다. || OEC에 따르면 2021년 오만은 599억 달러를 수출하고 341억 달러를 수입, 25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이 수출한 것은 광물제품류로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출의 64.8%를 차지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것은 기계류, 광물제품류, 금속류, 수송수단이며 이 상품군들은 전체 수입의 57.2%를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한국]], [[미국]], [[카타르]], [[일본]], [[브라질]]이다. == 관련 문서 == * [[경제학]] * [[국력]] [[분류:서아시아의 경제]][[분류: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