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미술]][[분류:프랑스어 단어]] [목차] == 개요 == {{{+3 Objet}}} 영어의 object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단어다. 라틴어 objectum(오브옉툼)에서 유래된 단어로서, 어원적으로는 "앞으로 던져진 것"을 의미한다. == [[철학]]에서의 사용 == '기존에 사용되던 사고, 사상, 주체에 대립되는 무언가'를 의미한다. 영화 [[매트릭스(영화)|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매트릭스 시리즈)|네오]]가 모피어스에게 받은 빨간 약을 먹고 진짜라고 믿고 있던 가상 현실인 잠에서 벗어서 현실에 눈을 뜨게 되는데, 이때 빨간 약이 기존 매트릭스 세계를 부정하는 오브제가 될 수 있다. == [[예술]]에서의 사용 == 일상의 물품이나 자연물 등을 원래의 그 기능이나 있어야 할 장소에서 분리하고, 그대로 독립된 작품으로 제시하여 일상적 의미와는 다른 상징적이고 환상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뜻한다. 오브제 표현은 19C에 시작되었으며 많은 미술가들(특히 [[다다이즘]] 성향의 예술가들)이 고정된 예술의 생각의 한계를 넘어 새로운 예술작품으로 제시하였다. 종래에는 미술 작품으로 여겨지지 않던 사물 또는 방식이 작가의 재해석을 매개로 미술 작품이 될 때, 해당 작품은 오브제로 불릴 수 있다. 유명하고 적절한 예로 [[마르셀 뒤샹]]의 '[[샘(마르셀 뒤샹)|샘]]'(1917년 작)을 들 수 있다. 뒤샹은 전에는 미술 작품으로 불리지 않던 남자 화장실 변기를 ‘샘’이라는 이름의 작품으로 제출함으로서 변기를 오브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꽃꽂이]]에서는 꽃 이외의 요소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 예시 === ==== [[공연]]에서 ==== * 희희낙락 - 이 공연의 연출가인 [[이윤택]]은 무대장치 대신 배우들을 작품의 오브제로 하는 특이한 연출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배우들은 그림 속에서 튀어나오는 소, 물고기, 아이들, 새의 역할을 한다. [[http://www.pbc.co.kr/CMS/news/view_body.php?cid=652220&path=201609|관련기사]] ==== [[미술]]에서 ==== * 마르셀 뒤샹의 '샘' - 앞에서 언급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피에르 만조니(1933 ~ 1963)의 '[[예술가의 똥]]' - 만조니 본인의 [[똥]]을 통조림 깡통에 넣은 것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에 유럽과 미국에서 대량의 [[쓰레기|산업 폐기물]]이 발생하자 로버트 라우셴버그(1925 ~ 2008)를 포함한 각국의 예술가들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과 자원 보존의 메세지의 전달을 위해 폐기물들을 오브제로 활용한 정크 아트(Junk Art)를 창조해 내었다. 아래 이미지가 그 예시. [[http://www.yeongnam.com/Photo/2009/05/16/M20090516.010220732010001i1.jpg]] [[http://m.yeongnam.com/jsp/view.jsp?nkey=20090516.010220732010001|폐기된 자동차의 부품들로 쇠똥구리의 모습을 만듦. 이미지 출처]] ==== [[영화]], [[드라마]] 등에서 ==== * [[기차]]는 대한민국 영화에서 오브제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 기타 ==== * [[무적코털 보보보]]의 등장 악역인 [[기가(무적코털 보보보)|기가]]는 오브제 진권을 쓸 수 있다. 이 진권을 사용하면 상대를 오브제로 만들어 무기로 사용하여 공격할 수 있으며, 진권 사용자들을 오브제로 만든 후에 파괴하면 그들의 에너지를 흡수하여서 자신의 파워를 축적할 수도 있다. * [[일본]]의 [[교토]] 국제 만화 뮤지엄에는 [[불새#s-5|불새]] 오브제가 있다. == 패션 브랜드(OBZEE) == ||<:> [[파일:external/qa.m.skfashionmall.com/lookbook_ui_logo_obzee_20150818112301873.png|width=250px]] ||<:> [[파일:external/img.skfashionmall.com/obzee_20160629110532498.jpg|width=250px]] || ||<:> [[http://qa.m.skfashionmall.com/sfmmbl/mbl/magazine/styleBook.do|2016년 상반기까지 사용하던 로고]] ||<:> [[http://www.skfashionmall.com/sfmweb/display/display.do?screenNumber=1103&categoryNumber=40246&SKM_CD=100006|2016년 하반기부터 사용하는 로고]] || [[https://www.obzee.com/|홈페이지]] 오브제(OBZEE)는 [[SK네트웍스]]의 여성복 브랜드이다. 원래 1994년 6월 21일 설립된 여성용 의류 제조업체였으나, 2008년 4월에 SK네트웍스에 인수 합병되었다. == [[스마트폰]] 앱(OVJET) == [[파일:external/pbs.twimg.com/b346acf5a84bc3430b6aa0e2de15919c.png]] > 좋은 곳 멋진 생각 OVJET[* 앱을 실행할 때 나오는 문구이다.] 오브제(OVJET) 앱은 위치 기반 SNS 앱으로, 자신의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를 맵, [[증강현실]], 리스트로 볼 수 있다. 2016년 9월 Google Play 기준 500~1000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다.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kiwiple.ovjet|다운받기]] 모드 설정은 앱 화면 아래에 있는 Search를 누른 후, 왼쪽 위에 있는 창문 모양을 누른 다음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서비스 종료됐다고 한다. == [[LG전자]] 가전 브랜드 (LG Objet)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G전자/제품)] == 가수 겸 작곡가 [[obz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