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틴 헤지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rangers_world_champions.jp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3}}}]]''' || ---- ||<-5> '''{{{#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18번}}}''' || || [[카를로스 쿠엔틴]][br](2012~2014) || {{{+1 →}}} || '''{{{#2f241d 오스틴 헤지스[br](2015~2020)}}}''' || {{{+1 →}}} || [[미치 모어랜드]][br](2020) || ||<-5> '''{{{#FFFFFF [[클리블랜드 가디언스|{{{#FFFFFF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가디언스}}}]] 등번호 17번}}}''' || || [[앤드루 벨라스케스]][br](2019) || {{{+1 →}}} || '''{{{#FFFFFF 오스틴 헤지스[br](2020~2022)}}}''' || {{{+1 →}}} || [[윌 브레넌]][br](2023~) || ||<-5> '''{{{#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18번}}}''' || || [[벤 게멀]][br](2021~2022) || {{{+1 →}}} || '''{{{#000000 오스틴 헤지스[br](2023)}}}''' || {{{+1 →}}} || 결번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11번}}}''' || || [[찰리 컬버슨]][br](2022) || {{{+1 →}}} || '''{{{#ffffff 오스틴 헤지스[br](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인저스헤지스.jpg|width=100%]]}}} || ||<-2> '''{{{+2 오스틴 헤지스}}}[br] Austin Hedges''' || || '''본명''' ||오스틴 찰스 헤지스[br] Austin Charles Hedges || ||<|2> '''출생''' ||[[1992년]] [[8월 18일]] ([age(1992-08-18)]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산 후안 카피스트라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제이세라 카톨릭 고등학교 || || '''신체''' ||185cm / 99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82번,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 '''소속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15~2020)[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2020~2022)[br][[피츠버그 파이리츠]] (2023)[br][[텍사스 레인저스]] (2023) || || '''SNS''' ||[[https://www.instagram.com/austinhedges1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ustinhedges18, 크기=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투우타]] [[포수]]. == 선수 경력 ==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015 시즌 22세의 젊은 나이에 데뷔 하였으며 2017 시즌부터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의 주전 포수로 도약한다. 풀타임 첫 시즌 투수친화적 구장인 [[펫코 파크]]를 홈구장으로 쓰며 18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윌 마이어스]], [[헌터 렌프로]]에 이어 팀내 홈런 3위를 기록한다. 2018, 2019 시즌에도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려내기는 했으나[* 18시즌 14개,19시즌 11개] 타격스탯 자체는 뛰어나진 못한 수비형 포수이다. ===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헤지스.jpg|width=100%]]}}} || 2020 시즌 도중 [[조시 네일러]], [[칼 콴트릴]], [[가브리엘 아리아스]], [[오웬 밀러]], [[조이 칸티요]]와 함께 [[그렉 앨런]], [[마이크 클레빈저]], 추후지명선수[* [[맷 월드론]]]를 상대로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이적했다.[* 이후 샌디에이고는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오스틴 놀라]]를 트레이드로 영입하여 주전 포수로 앉힌다.] 클리블랜드에서는 [[로베르토 페레즈(1988)|로베르토 페레즈]], [[샌디 레온]]에 밀려 6경기 출장에 그치고 만다. 2021 시즌 장기부상을 당한 [[로베르토 페레즈(1988)|로베르토 페레즈]]를 대신해 포수 마스크를 썼다. 타격 스탯은 영 좋지 않았으나 88경기에서 10개의 홈런을 때려내며 2년만에 두자릿수 홈런을 기록했다. 트레이드가 되지 않는 이상 [[로베르토 페레즈(1988)|로베르토 페레즈]]가 팀을 떠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주전 포수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이리츠헤지스.webp|width=100%]]}}} || 2022년 12월 17일, 피츠버그와 1년 5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 [[텍사스 레인저스]] === 8월 1일, 국제 아마추어 계약 보너스 풀을 상대로 텍사스 레인저스로 트레이드되었다. [[조나 하임]]의 백업 포수 역할을 해주며 [[미치 가버]]가 지명타자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다. == 플레이 스타일 == 타격면에서 보자면 풀타임 기준으로 10개 이상의 홈런을 날릴 수 있는 파워를 보유하고 있으나, 그 외의 모든 타격능력에서 평균을 한참 밑돈다. 당장 통산 슬래시라인이 194/249/347에 통산 OPS가 0.596. 그럼에도 헤지스가 독하게 메이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메이저 톱을 다투는 수비능력. 스트라이크 1~2개 쯤은 더 받아낼 수 있는 프레이밍과 통산 도루 저지율 32%를 자랑하는 강한 어깨, 그 외에도 3,800이닝 동안 필딩률 .990을 기록하면서 포수 수비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플러스급의 기량을 보여주고 있다. 정리하자면 극악의 컨택, 썩 좋다고 볼수는 없는 선구안으로 인해 [[멘도사 라인]]마저 밑도는 타격을 보여주지만 그럼에도 절륜한 수비력 덕분에 아무리 컨디션이 나빠도 메이저리그의 백업 포수 정도는 할 수 있으며, 한 시즌에 10개 정도의 홈런을 칠 수 있는 준수한 장타력으로 인해 컨디션이 좋으면 주전 포수도 거뜬히 맡을 수 있다. == 수상 내역 == * [[월드 시리즈]] 우승 ([[2023년 월드 시리즈|2023]])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오스틴 헤지스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5 ||<|5>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56 || 152 || 23 || 2 || 0 || 3 || 13 || 11 || 0 || 8 || 38 || .168 || .215 || .248 || .463 || 0.5 || -0.4 || || 2016 || 8 || 26 || 3 || 1 || 0 || 0 || 2 || 1 || 0 || 0 || 7 || .125 || .154 || .167 || .321 || -0.3 || -0.4 || || 2017 || 120 || 417 || 83 || 17 || 0 || 18 || 36 || 55 || 4 || 23 || 122 || .214 || .262 || .398 || .660 || 1.8 || 0.9 || || 2018 || 91 || 326 || 70 || 14 || 2 || 14 || 29 || 37 || 3 || 21 || 90 || .231 || .282 || .429 || .711 || 2.3 || 1.2 || || 2019 || 102 || 347 || 55 || 9 || 0 || 11 || 28 || 36 || 1 || 27 || 109 || .176 || .252 || .311 || .563 || 1.5 || -0.7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0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35 || 83 || 10 || 1 || 0 || 3 || 7 || 6 || 1 || 6 || 23 || .145 || .231 || .290 || .521 || -0.1 || -0.2 || || 2021 ||<|2> [[클리블랜드 가디언스|CLE]] || 88 || 312 || 51 || 7 || 0 || 10 || 32 || 31 || 1 || 15 || 87 || .178 || .220 || .308 || .527 || 0.2 || 0.0 || || 2022 || 105 || 338 || 48 || 4 || 0 || 7 || 26 || 30 || 2 || 25 || 78 || .163 || .241 || .248 || .489 || -0.5 || -0.4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피츠버그 파이리츠|PIT]]/[[텍사스 레인저스|TEX]] || 81 || 212 || 34 || 5 || 0 || 1 || 14 || 16 || 1 || 11 || 47 || .184 || .234 || .227 || .461 || 0.8 || -1.1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9시즌)''' || 686 || 2213 || 377 || 60 || 2 || 67 || 187 || 223 || 13 || 136 || 601 || .189 || .246 || .321 || .568 || 6.1 || -1.0 || == 여담 == *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시리즈|OOTP 22]]가 한글화되면서 이 선수도 오팁을 플레이하는 유저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상당히 탔는데, 포수 어빌리티가 매우 중요한 게임 메타에서 '''상당히 헐값에 쓸 수 있는 포수 어빌리티 매우 높은 포수'''라는 점 때문에 오팁 커뮤니티에선 포수의 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실제 게임 데이터상으로 타격이 MVP급인 것이 아닌 이상 [[https://m.dcinside.com/board/ootp/48839?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D%97%A4%EC%A7%80%EC%8A%A4|애매한 수비에 타격 괜찮은 포수보다 헤지스 같은 수비에 몰빵된 포수를 쓰는 것이 훨씬 더 좋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오렌지 카운티(캘리포니아)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