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엘더스크롤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종족)] ||{{{#!wiki style="margin: -5px -10px" [[https://i.namu.wiki/i/o3A63EKD_MK_3lwYOQ1_2HCk14zihwIUi6PXQ3h0HT57Yf0MIL28BRMOxqxiGNp5aNUE1me7O0MG55mwdVuJboIrFmGZ7almd6tcNMMxiyWdle3rOkFOeJOOMPoevBadPET3bru9enzbWjuw2V8a9g.webp|width=100%]]}}}|| || '''{{{#000 {{{+1 Orsimer}}}}}}''' || [[오크|Orc]], '''Orsimer''' [[엘더스크롤 시리즈]]에 등장하는 종족. [목차] == 개요 == 강력한 에이드라 중 한명이자 알트머의 신 중 하나였던 '[[트리니막]]'은 [[데이드릭 프린스]], [[보에디아]]에게 패배하여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라는 데이드릭 프린스로 타락하게 되었다. 이에 트리니막의 신자들인 [[알드머]]들까지 영향을 받아 추하고(낮은 코, 튀어나온 송곳니와 턱) 더럽게(녹색 피부와 우락부락한 근육질 몸) 변형된 이들이 바로 오시머. 때문에 '버림받은 민족(Pariah Folk)'이라고도 불린다. [[서머셋 아일즈]]에서부터 도망쳐나와 [[탐리엘]] 대륙 대부분 지방에 자리잡았었으나 크게 번성한 곳은 [[하이 락]] 중에서 [[스카이림]]과 국경을 맞닿는 부분인 로스가(Wrothgar) 또는 로스가리안(Wrothgarian) 산맥이라 불리는 곳인데, 오시머들은 그 곳에서 수천년간 그들만의 도시와 왕국인 오시니움(Orsinium)을 건국해왔으나, 매번 [[브레튼]]과 [[레드가드]]에 의해 파괴되었다.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 [[하이 락]]의 일부로써 로스가(Wrothgar)또한 구현되었는데, 관련퀘스트는 '현재' 오시니움의 왕이신 "쿠로그 그로-바그라크" 가 친히 내려주는 것이다. 주변인물들이 내리는 평가는 훌륭한 오시머의 표상, 그러니까 더럽고 냄새나는걸 상당히 좋아하며[* [[엘더스크롤 온라인]]의 오시니움 퀘스트에서 이게 잘 묘사되었다. 오시머들도 일단은 위생관념이 있긴 해서 성내에 공중목욕탕이 있긴 하나, 오시머들의 악취에 대한 묘사도 함께 등장한다. 메인퀘스트 첫단계로 유르폰 아이스-하트와 내통한 오시머 반역자를 추적하는 것이 있는데 특이한 향취로 알아낸다. 오시머 바 주인의 묘사에 의하면 죽은 호커를 뙤약볕에 오래 두면 생기는 냄새와 같단다(...).]모든 일을 힘으로 해결하다보니 제대로 된 정치를 하지 못 한다[* 부족간의 세력 차이도 있거니와 오시니움 퀘스트에서도 나오지만 트리니막과 말라카스 신자들간의 갈등도 크다. 여기에 동맹 가입을 지지하는 파와 반대하는 파들의 갈등도 있다. 쿠로그 왕은 부족들 사이의 종교 갈등과 연합에 대한 태도에서 오는 갈등을 무력과 이간질로 해결을 보려다가 일이 커져버리게 된다.]. == 기원 == 마법과 거리가 멀고 우락부락한 특성과는 달리,[* 그래도 오크 부족에서는 고블린과 비슷하게 오크 주술사 한 두명이 꼭 있다.] 이들의 기원은 수인(beastfolk)이 아니라 '''엘프'''다. 그래서 정식 종족명도 Orsi'''mer'''다. 데이드릭 프린스 보에디아가 엘프신 '트리니막'을 데이드릭 프린스인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로 타락시켜 버렸을 때, 그의 신자였던 오시머들은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는 것이 전승. 실제로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 [[헤르메우스 모라]] 퀘스트인 [[오그마 인피니움]] 관련 퀘스트 라인을 수행하면 오시머의 피 역시 엘프(Mer)로서 인정받는다. 하지만 타 종족에겐 엘프 계열로 인정받지 못 한다. [[서머셋 아일즈]]와 [[발렌우드]]의 알드머는 이들을 고블린, 오우거 등과 함께 고블린족(goblin-ken)이하 취급하며 노예로 부렸다. [[탐리엘]]의 다른 종족도 이들을 "돼지새끼(Pig children)"라 부르면서 수인 취급. 그리고 본인들도 그냥 자신의 민족을 오크라고 생각하지 엘프 계열로 생각하는 자는 거의 없다.[* 사실 엘더스크롤 설정의 종족분류는 [[테드 피터슨]]의 말처럼 애매하다. [[브레튼]]은 인간(Man)으로 분류되지만 이들의 조상중 절반은 엘프(Mer)의 피가 섞여다는 것이 정설이다. 몇몇 전통을 근거한다면 카짓은 엘프(Mer)와 공통적인 조상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지만 외모가 고양이스럽다는 이유로 그냥 수인종족(beast race)으로 분류될 뿐이다. 비록 오시머의 출발점이 알드머여서 Mer와 연관점이 있더라도 사회적으로 이미 분기되었다는 사실을 고려치 않고 오시머=엘프 계열로 단도직입적인 분류를 하는 것이 타당하냐는 지적. '트리니막의 타락'은 그들의 기원에 대한 가장 유력한 설명이지만 이 사실이 그들을 곧바로 엘프(Mer)중 하나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테드 피터슨 본인의 말에 따르자면 "아무리 잘 봐줘도, 먼 친척"이라고][[http://www.imperial-library.info/content/interviews-ted-peterson|엘더스크롤 시리즈의 설정을 최초로 작업한 Ted Peterson 인터뷰]] 정식 이름은 오시머지만, 게임 내에서 본인들이나 다른 종족이나 그냥 오크라고 부르지 오시머라는 호칭은 거의 쓰지 않는다. 왜냐하면 서술했듯 엘프 계열로 취급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 실제로 게임 내에서 NPC들이 종족 별 대사와 엘프 대사와 오크 대사로 아예 나뉘어져있다. 비단 게임 내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유저들 사이에서 대부분 오크라고 부르지 오시머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다만 나무위키에서는 정식 이름인 오시머로 많이 서술된다. 창작물의 오크의 원조격이자 [[반지의 제왕]]으로 유명한 톨킨 작가의 [[오르크(가운데땅)]]와는 설정이 미묘하게 다르다. 톨킨 세계관의 오크는 기원이 불분명하지만 세계관 내에서 대부분이 추측하는게 '엘프(요정) 종족을 납치하여 끔찍한 고문과 끔찍한 개조의 반복으로 만들어낸 결과물이 오크'라는게 정설이다. 톨킨의 오크는 오히려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 [[팔머(엘더스크롤 시리즈)|팔머]]와 비슷하다. 드웨머들에게 [[스노우 엘프]] 종족이 고문과 학대를 당하면서 지능이 퇴화되고 시력을 잃는 독으로 장님이 되고 몸이 휘고 굽어 끔찍한 생김새의 팔머로 변하였으니(...) 반면에 오시머들은 트리니막 - 말라카스 , 알드머 - 오시머 변화를 겪었지만 오시니움 재건과 스트롱홀드 생활에 명예와 자부심을 느끼는 표현은 있어도 압제에 고통받는다는 묘사나 불만이 없다. 인간들의 도시에서 상공업에 종사하거나 제국군에 가입한 군인, 용병 생활을 하면서 지내는 오시머들이 숱하게 보이고. == 역사 == 오크족은 [[탐리엘]] 전역에 흩어져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오크족의 왕국인 오시니움(Orsinium)을 중심으로 시간순서에 맞게 서술한다. 주요 참고자료는 [[http://www.uesp.net/wiki/Lore:Pocket_Guide_to_the_Empire,_1st_Edition/The_Wild_Region|Pocket Guide to the Empire, 1st Edition/The Wild Region]] [[http://www.uesp.net/wiki/Lore:Pocket_Guide_to_the_Empire,_3rd_Edition/Orsinium|Pocket Guide to the Empire, 3rd Edition/Orsinium]] * 노예생활과 해방 오크는 본래 [[서머셋 아일즈]]의 [[알트머]]에 의해 노예로 부역하고 있었다. 그것도 [[고블린]]이나 [[오우거]]같은 몬스터와 함께 고블린족(Goblin-ken)이라는 분류로 싸잡아 취급당했다. 하지만 [[발렌우드]]의 카모란 왕조가 집권할 시기, [[서머셋 아일즈]]측의 지배자는 이들 고블린족을 해방시키면서 [[발렌우드]] 북쪽에서의 거주를 허락했다. 이를 기점으로 오크는 [[탐리엘]]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그중에서도 [[발렌우드]] 북쪽이라는 단서에서 보듯이 [[하이 락]], [[스카이림]] 등 [[탐리엘]]의 북부에 주로 진출한듯 하다. 전승에 따르면 이 때 약 200년간 유목생활을 했다고 한다. 이후 오크는 용병이나 도적으로 각지에서 활약(?)하는데 1시대 700년 [[모로윈드]]에 있었던 [[레드 마운틴]] 전투에서도 드웨머측 연합군으로 참가한 기록이 있다. [[해머펠]]에도 진출하여 [[드웨머]]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고 한다. * 오시니움(Orsinium) 건국과 패망 오크가 노예생활에서 해방되고 각지로 흩어졌을시 일부는 [[하이 락]]지방의 Old H'roldan 근처, 로스가리안 산맥(Wrothgarian Mountains)에 자리를 잡았다. 처음에는 (고산지대에서 서식하고 고산지대의 먹이만 먹는) 거대 지네에 의존하며 하루하루 생존할 뿐이었다. 하지만 여기에 정주한 오크족은 [[시로딜]]이나 [[스카이림]] 등에서 쫒겨난 오크를 받아들이면서 날이 갈수록 강대해졌는데 특히 [[레드가드]]가 [[해머펠]]로 쳐들어와 오크를 쫒아내고 [[해머펠]]을 차지했을때 쫒겨난 오크 중 상당수가 로스가리안 산맥의 오크족에게 흡수됨에 따라 이들의 세력의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참고로 이 시기 오시니움에 거주했던 주민들은 오크뿐만 아니라 고블린, 오우거 등 다른 고블린족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들은 스스로를 '오시니움'이라 부르면 왕국을 세웠는데 '오시니움'이라는 말은 알드머의 언어로 '오크의 마을'이라는 뜻이다. 수백년동안 깡패적인 이미지를 쌓아온 오크가 자기들의 나라를 건립했다고 하니 가뜩이나 이미지가 좋지 않은데 오시니움은 실제로 뵬사에 강(Bjoulsae River)의 점유권을 주장하면서 [[하이 락]]의 웨이레스트(Wayrest)왕국에게 정기적인 강 이용료를 지급하라고 협박하기에 이른다. 이 협박으로 인해 하이 락과 해머펠을 빡치게 만들어 결국 1시대 948년 [[하이 락]]과 [[해머펠]]의 왕국들, 가이덴 신지[* [[임페리얼 시티]]의 [[아레나]]를 건립하고 초대 블레이드마스터를 역임한 가이덴 신지가 맞다. 그는 이 전쟁에서 사망했다. 디아그나(Diagna)는 [[레드가드]]의 영웅이자 신.]가 이끄는 디아그나의 결사(Order of Diagna)는 연합해서 오시니움을 공략하고 결국 30년에 이르는 전쟁 끝에 1시대 980년 오시니움은 전쟁에서 지고 왕국은 폐허가 된다. 역설적이게도 이 전쟁이 오시머들을 단순한 야만족으로 치부할 수 없게 만들었다. 왜냐면 저 30년은 바로 '''도시 오시니움 공략'''하는데 들어간 시간이다. 즉 오시머들의 수도를 포위하고 공성을 했는데 30년이나 들었다는 소리. 오시니움은 3개의 관문으로 지켜지는 삼중방벽의 도시인데 대거폴과 해머펠 연합군이 '''벽 하나를 뚫는 데 딱 10년씩 걸렸다'''고 한다. 그 먼치킨 가이덴 신지도 여기서 사망했다.[* 다만 전장에서 죽은 건 아니고 오크 장수와 결투를 벌이는데 브레튼들이 뒤통수를 쳐서 둘다 죽인거다.] 함락 직후, 오시니움을 떠나는 [[엑소더스]]행렬은 계속되었으며 [[탐리엘]] 각지에 흩어지고 정착하는 과정에서 오크의 야만스러운 본성이 일부 사라졌다고 한다. 정착도 쉽지 않았는데 가는 곳마다 안좋은 이미지 때문에 냉대와 멸시를 받았다. 일부는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하려 했지만 대부분 뿌리내리기 전에 박멸되었다. 참고로 오시니움의 성벽은 다른 도시의 성벽과는 달리 무쇠판을 덧대서 강화했다고 한다. 오크들이 야만족으로 취급받기는 해도 사실 [[오키쉬]] 장비같은 걸 만들만큼 기술력이 있는 종족이며, 오시니움 공략에 30년이나 걸린 것은 그 무쇠벽 때문이었다는 말도 있다. 그러다보니 하이 락, 해머펠 연합군이 오시니움을 함락하는게 쉽지 않았다. 아무튼 몰락 후의 오시니움 성벽은 녹슨 쇠와 무너진 돌벽이 뒤섞여 아주 처참한 모습이었다고. * 제2제국의 멸망과 쇠퇴 오시니움은 전쟁에서 패해 쑥대밭이 되었지만 나라는 존속한 것으로 보인다. 오시니움은 제2제국에 편입되기를 희망했고 실제로 편입되었으나 그 직후 2시대 431년 당시 제국을 통치하던 [[아카비르]] 수석고문 사비리엔 초락(Savirien-Chorak)의 암살과 함께 제2제국이 와해됨에 따라 다시 예전으로 돌아갔다. 당시까지만 해도 어느 정도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이후 [[하이 락]]의 숀헬름 왕국의 공격을 받아 근거지를 잃고 로스가 산(Wrothgar Mountain)으로 쫓겨가 겨우 명맥만 유지한 것으로 보여진다. * 란세르 전쟁과 2차 대거폴 동맹[* 자세한 내용은 [[하이킹 에머릭]]과 [[엘더스크롤 온라인]] 참고.] 2시대 563년 숀헬름(Shornhelm)의 왕이 일으킨 란세르(Ranser) 전쟁에서 당시의 부족장인 [[크로그 그로바그라크]]가 웨이레스트 왕국의 [[하이킹 에머릭|에머릭 왕]]에게 협력 요청을 받아들여 도움에 따라 그 대가로 오시니움의 옛 땅을 다시 되찾을 수 있었고, 하이 락의 도시국가들과 센티넬의 레드가드와 함께 2차 대거폴 동맹을 결성하기에 이른다. 하지만 이후 다시 쇠퇴를 거듭했으며 [[타이버 셉팀]]의 제3제국이 들어서면서 오시니움은 다시 제국령에 편입되기를 희망하였다. 하지만 [[타이버 셉팀]] 본인이 오크를 싫어해서 소원은 성사되지 못했다. * 노바 오시니움(Nova Orsinium)의 등장과 [[누미디움]] 제3시대 399년, 선각자 고트워그 그로-나고름(Gortwog gro-Nagorm)은 과거 오시니움이 존재하던 지역 근처에 땅을 확보하고 왕국을 건립한다. 왕국의 이름은 노바 오시니움.[* 땅을 확보하는 과정이 흥미로운데 고트워그는 [[브레튼]] 영주와의 1:1 대결에 승리함으로써 땅에 대한 소유권을 [[http://www.uesp.net/wiki/Lore:How_Orsinium_Passed_to_the_Orcs|인정받았다고 한다.]]] 새로운 오시니움의 등장은 주변 왕국들을 긴장시켰으나 고트워그는 지혜로운 오크이기도 했다. 과거와 같은 무력시위 대신 외교적인 방법으로 오시니움의 존재를 드러냈다. 이 시기의 내용은 [[엘더스크롤 2: 대거폴]]에서 확인가능하다. [* 그런데 정작 대거폴에서 오시니움을 방문해보면 무슨 도시같은 게 아니라 뾰족뾰족한 성채다. 게다가 디자인으로 보나 뭘로 보나 악당 냄새가 풀풀 풍긴다. 이런 디자인은 모로윈드까지 유지. 사실 모로윈드는 말라카스의 사원이라 그런거지만.] 고트워그는 결국 [[누미디움]]과 [[엘더스크롤 2: 대거폴#s-4.1|서방의 왜곡현상(The Warp in the West)]]을 통하여 [[유리엘 셉팀]] 7세로부터 노바 오시니움을 하나의 왕국 및 정치적 실체로 인정받게 되고 노바 오시니움은 제국령으로 편입된다. 2편 대거폴 엔딩에서 고트워그는 오시머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하여 노바 오시니움의 오크를 각지로 보내 보물을 찾도록 명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편 오블리비언에서는 시로딜 여기저기에 출몰하는 모험가(adventurer)라는 오크 NPC가 등장하는데 고트워그의 명령에 따라 보물을 찾으러 온 것이라고 한다. 참고로 고트워그와 노바 오시니움의 공식적인 신은 '트리니막'이지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가 아니다. 고트워그는 '트리니막'이야말로 참된 신이며 아직 살아있다고 주장하며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를 단순한 악마로 본다. 노바 오시니움의 사제도 동일한 입장. 노바 오시니움 영토 밖에 존재하는 오크족의 절대다수는 이를 이단으로 본다. 또한 노바 오시니움의 신성모독이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와 오크 간의 맺어진 피의 맹세에 해를 끼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했다.[* 그래서인지 고트워그는 나름 오시머를 제국에 편입시킨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오크들 사이에서 그다지 회자되지 않는다. 플레이어가 만날 수 있는 오크들은 전부 말라카스의 신자이기 때문. 반대로 플레이어는 제국령 오크족이므로 트리니막을 섬기는 오크임이 유력해 보인다. 실제로 오크가 제국령으로 포함된 모로윈드부터 플레이어블 종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원래 같은 종족이면 친밀도 보너스를 받는데 어째선지 오크족은 오크족으로 해도 친밀도 보너스가 없다.][* 그런데 고트워그 뿐만 아니라 원래부터 엘더스크롤 시리즈가 전작에 등장한 영웅, 인물에 대한 언급이 없는 걸로 유명하다. 스카이림 시대에서 던머들이 전투 시작 음성으로 네레바를 언급하는 게 전부이며 영원한 챔피언, 네레바린, 시로딜의 영웅, 유리엘 셉팀, 마틴 셉팀, 제이거 탄 등등 인류 역사에 엄청나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도 거의 언급이 되질 않는다. 오직 NPC들 입에 오르는 인물들은 네레바, 타이버 셉팀처럼 설정상으로는 존재하되 게임상 중요인물로 등장하지 않은 경우 뿐이다.] 또한 오시니움에는 마울로크(Mauloch)와 토룩(Torug)을 기리는 쇠로 만든 전신상을 세웠다고 한다. 마울로크는 벨로시 산맥의 신이자 당시 [[노르드]]의 지도자 하랄드 왕과 맹렬히 싸우던 인물로, 1시대 660년 드래곤의 벽(Dragon Wall) 전투에 패한 뒤 동쪽으로 달아났다. 전설에 따르면 마울로크의 분노가 하늘에 뜨겁게 치솟아, 훗날 "여름 속의 겨울 해(Year of Winter in Summer)"라고 불린다고 한다.[* 이 '여름 속의 겨울 해'라는 사건은 사실 [[레드 마운틴]]의 분화라고 한다.][* 그러나 마울로크란 이름은 말라카스의 또 다른 이명인지라 허구의 인물인지, 말라카스의 이름을 부여받은 오크 영웅인지, 아니면 말라카스 본인이 강림했던 것인지 알 수 없다.]흥미롭게도 [[레드가드]]신앙에도 Malooc이라고 비슷한 존재가 등장한다. 레드가드 신앙에서는 고블린을 이끌고 [[해머펠]]로 쳐들어왔다가 패하고 동쪽으로 달아났다고 한다. 토룩은 제1 오시니움을 직접 설계하고 세운 건국왕인 만큼 오시머 최고의 대영웅으로 꼽힌다. 토룩의 마운트인 백곰 콜드윈드가 죽었을 때 말라카스가 그 무덤을 영원히 지키도록 드레모라들을 보냈을 정도니 말 다했다. * 노바 오시니움의 멸망 [[타이투스 미드]]의 제스 4시대 초반, 노바 오시니움은 [[하이 락]]과 [[해머펠]]의 협공을 받아 멸망당한다. 노바 오시니움에서 탈출한 오크 피난민은 [[스카이림]] 방면으로 이주하고 결국 [[스카이림]]과 [[해머펠]]의 경계에 새로운 오시니움 왕국을 세우게 된다. 의외로 메데 왕조는 오크들을 많이 도와줘서 노바 오시니움의 피난민들을 이주시키고 새로운 오시니움 건설을 도왔고 당연히 오크들도 제국에 충성하고 군대 및 여러 분야에 협력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시로딜 내에 영지를 받아 조그만 왕국을 만든 경우도 있다고. == 사회 == 오크는 전통적으로 스트롱홀드(Stronghold)를 중심으로 하는 부족 사회를 이루고 있으며, 부족장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과 동료애 등의 집단의식을 가지고 있다. [[엘더스크롤 2: 대거폴]]에 등장한 오시니움(Orsinium) 왕국 역시 [[http://www.uesp.net/wiki/Daggerfall:Orsinium|스트롱홀드를 중심으로 형성된 왕국]]이었다. 해당 작품에서 스트롱홀드는 오크족 버전의 성(castle)이기도 했다. 참고로 스카이림에서 최초로 스트롱홀드의 모습이 제대로 등장했는데 공식 컨셉아트에 대한 개발진의 설명을 보면 동양(eastern)의 건축양식을 참고했다고 한다[* 실제로 오시니움 퀘스트를 위해 가보면 중앙아시아나 티베트풍이 보인다.].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서는 고대에 만든 [[던머]]족의 스트롱홀드가 황폐하게 방치되어있자 거기에 기어들어와 사는 [[http://www.uesp.net/wiki/Morrowind:Valenvaryon|일부 오크 부족]]이나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 사원 부근에 눌러 앉은 [[http://www.uesp.net/wiki/Morrowind:Assurdirapal|오크족]]이 등장한다. 해당 작품에서 오크족 특유의 스트롱홀드는 등장하지 않으며 오크족의 전통문화보다는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의 신도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스카이림]]의 [[http://uesp.net/wiki/Lore:The_Code_of_Malacath|서적]]과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바로는, 남자와 여자 오크의 사회적 위치가 다르다. 남자 오크의 경우 싸워서 족장 자리를 쟁취하는 반면 여자 오크는 원로자(Wise woman)나 대장장이 일을 하면서 다른 부족의 부족장에게 시집가는, 정략결혼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아내를 가지는 것은 부족장에게만 허용되는 일이고, 아내들은 역할에 따라 '역할을 맡는 장소'-wife로 불린다. 대장간의 일을 감독하는 아내는 Forge-wife라고 부르는 식[* 단 정실부인의 위치는 Forge-wife가 가지는 경우가 많은데 오시머 사회에서 제련술의 위상을 생각하면 당연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스카이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남성 오시머들은 많은 반면, 여성 오시머들은 별로 안보이는 것도 나름 이런 것과 관련된 묘사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만 오시머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는 절대로 비천하다고 볼 수 없다. 포지-와이프{Forge-wife}나 포지-마더{Forge-mother}의 자리에 올라도 상당히 강한 발언권을 가지게 되며 족장과 맞먹는 권한을 누린다.]. 그나마 [[마르카스]]에 거주하는 대장장이인 고르자 그라-바골{Ghorza gra-Bagol}이(제련술 저니맨 트레이너다) 유일하게 알려진 여성 오시머. 다만 오크의 스트롱홀드 밖에서 사는 오크들은 이러한 역할과 규약을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발렌우드 바깥의 [[보스머]]들이 녹색 조약[* 자연을 보호한다는 목표하에 채식은 안하고 육식만을 고집하는 문화.]을 엄격하게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과 비슷한 셈.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나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에 등장한 다수의 오크는 이미 제국에 편입되어 전통을 버린 오크들이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공격부터 하는 야생의 오크도 다수 등장하기는 하나 산적 등으로 등장하는 것은 다른 종족도 마찬가지므로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대화가 통하면서도 제국문화에 동화되지 않은 오크족도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의 신도로 일부 등장하나 고유의 거주지(오크 스트롱홀드)에서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들에게서 오크족의 전통을 확인하는 것은 곤란하다. 다만 UESP에서도 모로윈드에서의 게임 내 오크족에 대한 설명에서는 [[http://www.uesp.net/wiki/Morrowind:Orc|양성 간의 상호 존중에 대한 내용]]이 짤막하게 언급된다. 반면에 중년이 넘어가면 죽을 자리를 찾아다니는 게 보통이다. 여기서 죽을 자리를 찾는다는건 죽어서 묻힐 자리가 아니라 죽도록 싸울만한 상대를 찾아다닌다는 의미. 나이가 들어서 죽는 게 아니고 기력이 떨어지기 전에 이렇게 죽는 것이 명예롭다 믿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또한 이미 자신을 증명할 수 있는 힘이 없이 그냥 골골거리며 살아가는 것은 말라카스에 대한 모욕이라는 인식도 크게 영향을 준다. 이는 [[스카이림]]에서 필드를 돌아다니면서 가끔 만나는 오크 NPC들과 대화하면 알 수 있다. "헐 제가 님 왜 죽여야 해여~" 하면 약골이라며 무시한다[* 오크족 풍습에 따라 강한 상대를 만나서 싸우다 죽는게 정상인데 이렇게 대꾸했다간 '''죽음이 오려다가 달아나겄다, 물러가라 훠이'''라는 반응만 나온다.]. 특별한 성문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의 규약(The Code of Malacath)이라는 법도 아래에서 질서를 유지한다. 규약은 오크 사회에 대한 관습과 규칙에 대해 다루는데, 개중에서도 처벌에 관련해서는 다소 특이한 내용이 담겨있다. * 훔치지 말라 * 살인하지 말라 * 이유 없이 공격하지 말라 * 명예롭게 싸워라 * 부족을 지켜라 * 남에게 해를 입었다면 반드시 복수를 해라.[* 말라카스가 복수의 신이기 때문에 오크들은 복수라는 개념에 다소 집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이를 어길 시 피의 대가(Blood Price)를 치른다. 피의 대가란 규약을 어긴 자가 충분한 양의 피를 흘릴 때까지 공격받는 것으로, 기준은 요새의 우두머리나 피해를 입은 당사자가 정한다. 우두머리가 적당하다고 판단하거나, 피해자가 만족할때까지 피를 흘리며, 이를 충족할 시 죗값을 치른 것으로 간주된다. 즉, 오크의 전통에서는 감옥이 없다. 남의 땅에서 살며, 구성원 모두가 자신을 맡은 몫을 해야지 간신히 살 수 있는 마당에, 아무런 일도 안 시키며 먹이고 입혀주는 것은 낭비라 여긴다. 규약을 어긴 만큼 피를 흘리는 것으로 형벌을 대신할 뿐이다. 이 규약은 말라카스가 오크들에게 직접 명한 내용으로 여겨지며, 스트롱홀드 바깥에서 사는 도시화된 오크들 또한 (말라카스 신앙을 유지할 경우) 말라카스의 규약만은 엄격하게 지킨다.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선 복수를 하라는 규약 때문에 다른 종족 주변인들과 잘 지내던 오크가 어느날 갑자기 사이가 틀어져버렸다는 묘사가 등장하기도 한다. 오크 거주지인 Narzulbur의 족장의 말에 따르면, 족장 직위를 아들이 계승할 경우 아들이 늙은 아버지와 1대1 결투를 벌여 이긴 뒤 계승하는 게 관습이라고 한다. 그 족장도 자신의 늙은 아버지를 죽이고 족장 직위를 계승했는데, 그 자신도 언젠가는 자신의 아들이 족장 직위를 계승하면 아들에게 죽을 것이라고 덤덤하게 말한다. 참고로 이 승계 문화는 말 그대로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고수하는 오크에게만 해당되는 사항이며, 이미 제국의 주민으로서 문명화된 오크에겐 해당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엘프들의 수명은 300~400년이라는 게 설정이지만, 오시머들은 긴수명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게 특징. 위에서 상기 했듯이 대부분 나이가 들며 죽을 자리를 찾기 때문에 늙은 오크가 안보인다. 그래도 근본은 엘프라 그런지 딱히 문제 없으면 다른 엘프들 마냥 오래사는 오시머도 있는 모양.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까진 그런 모습까지 세세히 묘사해주지 않아서 이런 모습이 보이지 않았지만,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는 [[스카이림]] 외곽 곳곳에 스트롱홀드를 건설하고 오크족끼리만 모여 지내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리치맨]]도 문명화 사회와의 접촉을 피하긴 하지만, [[포스원]]만 대놓고 자신들을 제외한 모든것에 적대적일 뿐이지 문명생활을 영유하는 리치맨도 얼마든지 존재한다. 오시머 집단의 경우, 외부인을 경계할 뿐 죽이려고 달려들진 않는다. 때문에 외부와 교류를 하며, 아예 제국군에 입단하거나 스트롱홀드에서 자란 뒤 다른 도시에 가서 일하는 오시머도 있을 정도다. [* 심지어 오크족 스트롱홀드에서 주는 퀘스트를 해결하면 의형제격인 '피붙이(Blood-Kin)'로 인정받아 스카이림에 분산된 오크족 스트롱홀드의 출입이 가능하다. 전사계열 관련 포크를 트레이닝 하는데 중요한 트레이너들이 이곳에 있으니 주저없이 도전해 보자.]. 하지만 무슨 이유던 요새를 벗어난 오크는 "도시 오크"라고 부르며, 실제로 해당 요새에서 태어났더라도 동료로 취급하지 않는다. 다만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 등장한 [[http://www.uesp.net/wiki/Morrowind:Valenvaryon|어느 오크족 마을]]은 전통적인 오크족으로 구성되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외부인에 무조건 적대적이었다. 해당 링크에 소개되어 있는 마을은 엄밀히 말하자면 버려진 던머 스트롱홀드를 점거한 오크 집단이라 할 수 있다. [[엘더스크롤 온라인]]의 DLC(오시니움)에서 오시머들의 사회상과 건축물들을 볼 수 있는데 스카이림 인근에 속해있다보니 설원이 즐비한 산맥 중턱에 자리잡은 왕국으로 유적지에는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의 신봉자들과 거대한 야금술장치가 존재한다. == 특징 및 기타 == 사실 [[엘더스크롤: 아레나]]에서는 그냥 다른 판타지 게임들처럼 잡몹 1 수준이였다. [[엘더스크롤 2: 대거폴]]에서 드디어 대화가 가능한 소규모 세력으로 등장하긴 했으나, 여전히 대부분의 오크는 적이었다. 대충 모로윈드의 라이클링, 오블리비언의 고블린 정도 취급이라고 보면 된다.[* 단, 이때는 오크의 언어(Orcish)라는 스킬이 따로 있어 체크성공하면 적대상태가 해제되는등 나름 문명적(?)인 모습을 보였다. 해당 스킬을 최고치로 올리면 오크는 그냥 중립NPC와 다를바 없다.] 사실 위의 '노예로서 부려졌었다'는 설정은 바로 아레나 시절의 모습에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 붙인 설정일수도 있다.[* 같은 맥락에서 그냥 피부색 다른 인간이였던 카짓과 아르고니안도 '설정상 다양한 종류의 카짓이 존재하며 그 중엔 인간과 거의 유사한 수준도 있다'는 설정이 붙었다. 물론 인간외모의 아르고니안이란 설정은 아직까지도 없어서 아레나 시절의 아르고니안은 설정오류로 남아있다.] 아레나와 대거폴에서 적으로 등장했을 때를 생각한다면 그리 친근한 종족은 못되지만, 대거폴 엔딩에서 오크들의 나라인 '오시니엄(Orsinium)'이 제국령으로 인정받으면서, [[모로윈드]]부터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크를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오래 사용하다 보면 다른 종족 못지않게 큰 장점과 유용성을 발견할 수 있다. 강력한 전사 종족으로써 남녀 모두 중장갑이 잘 어울리는 종족으로, 강력한 신체 능력과 떡대가 큰 근육질 체형이 특징이다. 특히 오크족 고유의 갑옷 외에도 어깨가 떡 벌어진 오크 남성이 입은 [[데이드릭]] 아머는 거의 [[로망]]이다. 중장갑으로 무장한 채 [[둔기]]류, [[도끼]] 등으로 전투하는 데 탁월한 소질이 있으며, 대부분 대장장이인지라 수리 능력도 뛰어나다. 질병과 마력에 대한 저항력이 있다. 하루 한 번 일시적으로 광전사가 되어 민첩성을 희생하고 힘과 체력 등을 급격하게 높이는 능력이 있다. 실제로 로어 상으로도 신체적으로 매우 강인한 종족으로 모로윈드에서 네크로맨서의 책을 보면 "오시머의 뼈는 다른 종족보다 크고 두껍다." 라는 설명이 있다. 같은 전사 종족들인 노드, 레드가드들과도 비교했을 때 로어의 묘사를 봤을때 근력과 내구력은 한수 위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오블리비언에서 중갑옷과 도끼를 착용한 오크 제국 병사는 공포스럽다는 종족 설명이 있을 정도로 오크의 전사로서의 위용은 상당한 듯 하다. 물론 당연하지만 그런만큼 섬세하거나 지적으로 현명한 오크족은 드문 편이다. [[도둑 길드]] 멤버들 중에서 오크족은 아예 존재하질 않고, [[메이지 길드]]에서는 가뭄에 콩 나듯 아~주 쪼끔 나온다. 그나마도 수가 매우 적다. 도둑 길드와 비슷한 [[다크 브라더후드]]엔 오크 대원이 있긴 한데 무용담을 들어보자면 솔직히 교활하고 은밀한 암살자는 아니고, 무기더 단검이나 활같은 게 아닌 양손도끼를 들고 다니니 그냥 '도살자'에 가깝다.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의 무대 [[시로딜]] 내 남쪽 도시 [[레이야윈]]에서는 특이하게 '''서점을 운영하는 오크'''가 있긴 한데 주변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닌듯 하다.(첫 대면시 '그래 나 책 만지는 오크다 어쩔?' 하는 인상 깊은 인사를 날려준다...) 대충 같은 오크족들끼리는 '종이 쪼가리나 붙들고 사는 한심한 녀석' 취급을 받고 다른 종족들에게는 '오크가 책을 다룰줄도 알아요? 신기하네~' 취급을 받는다고. 아, 물론 플레이어 캐릭터는 그레이 폭스나 아크 메이지가 되어도 별반 문제 없지만. [[블레이드(엘더스크롤 시리즈)|블레이드]]처럼 [[아카비르]]와 어느정도 연관이 있기때문에 일본색이 녹아있다. 명예를 추구하는 전사 그런 건 흔하니까 넘어가고, 이들의 전용 무구인 '[[오키쉬]] 무구'는 왠지 일본 갑옷삘 나게 만들어져있다. '''3편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의 오크 무구는 대놓고 [[사무라이]] 갑옷이다'''. 이후 오블리비언부터는 일본색이 거의 빠져나갔지만. 제작진들의 취급은 다소 안습한 편. 강력한 전사 종족이긴 하지만 작중에서의 비중은 많이 낮다. 그나마 어떻게 메인 퀘스트 사이에 끼어들은 [[아르고니안]]이나 길가의 잡몹으로 흔히 발견되는 [[카짓]]과는 달리 오크족은 각종 퀘스트와 아무런 연관이 없다.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둘 다. 종교조차도 별로 관심이 없는 것인지 아예 [[신화 여명회]] 멤버도 단 한명도 없다...그나마 자신들의 전 주인(?)인 [[말라카스(엘더스크롤 시리즈)|말라카스]]의 신도들은 오크인데, 문제는 말 그대로 '''말라카스의 신도는 전부 오크'''라는게...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겠지만 같은 오크족들끼리는 서로를 매력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듯 하다. [[아레나]]의 그랜드 챔피언 '[[아그로낙 그로 멜로그]]'와 관련된 퀘스트를 보면, 타종족 역시 오크에게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듯 하다. 일종의 특이취향인 듯. 종족 특유의 용맹성 내지 무대뽀성이 탐리엘의 다른 종족들에게는 멍청하거나 야만적인 모습으로 비쳤는지 카짓과 마찬가지로 이런저런 농담의 희생양이 되기도 한다. 일례로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에 등장하는 한 시덥잖은 유머집에 오크를 주제로 한 농담이 있는데, 저자의 안위가 걱정될 정도로 인격 모독이 심각하다. > How many orcs does it take to light a torch? -오크가 횃불에 불을 붙이려면 몇 명이 있어야 할까? Depends. Is an orc doing the counting? -그때그때 다르다. 오크도 숫자를 세나?(...) [* 즉, '오크는 수를 셀 줄 모른다'고 농담하는 것이다. 수를 셀 줄 모르니 실제로는 한명이 불을 붙였는데 세명이라고 할 수도 있고 두명이라고 할 수도 있고... 뭐 이런 식의 농담.] 모로윈드 명물 중 자신이 카짓이라 믿고 있는 오크가 있다. 이 오크는 [[쉐오고라스]] 신도라서 제정신이 아닌 듯 한데 어느 정도냐면 말을 걸면 야옹거리며, 카짓처럼 자신을 삼인칭화해서 말한다. 또 네레바린에게 자기 꼬리를 만져 보라고 계속 조르며, 넌 오크라고 하면 자기는 카짓이라고 억지를 부린다. 그리고 그에게 문 슈거를 주면 호감도가 오른다.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의 무대인 [[시로딜]]에서도 오크를 주제로 한 농담이 있다. 내용은 "나무다리를 한 오크를 본 적이 있나요?"[* Oak와 Orc를 이용한 말장난. 단, Oak는 '오우크'이고 Orc는 '오-ㄹ-크'라는 발음의 차이가 존재한다.] 라는 것. 당연히 본인들은 이 조크를 상당히 싫어하는듯[* 현실 세계에서도 당연히 싫어할만하다. [[국민성 유머/예시|이런 항목]]도 있다.]. 플레이어가 오크NPC에게 '소문' 주제로 이야기를 걸면 가끔가다 "나무다리 오크에 대한 이야기하는 거면 기절시켜버릴 줄 알어'라는 반응을 보인다. 상기한 레이야윈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오크 외에도 독특한 오크가 하나 더 있다. [[쉐이딘홀]] 북동쪽에 [[파이터 길드]] 퀘스트 중에 들르게 되는 한 귀족의 저택이 있는데, 저택 주인이 다름아닌 오크이다. 이 오크는 납치당한 자기 딸을 구해달라는 말을 귀족풍으로 고상하게 말하려다 잘못된 단어를 마구 써댄다. Horned를 Horny로 말하거나 Resistance를 Residence로 말하는 등 영어 원문으로 들어보면 상당히 웃기다. 딸을 구해주러 가면 '나도 오크이니만큼 주먹이든 무기든 쓸 줄 알지만, 명색이 '''아가씨'''라구요. 고상하지 못하게 직접 그럴 수는 없잖아요.'라며 도도한 귀한집 아가씨의 품위를 자랑한다! 오크에 대한 편견 대신 지금의 이미지를 옹호하는 유저라면 그냥 개그로 웃어넘길 수 있다.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는 외모가 조금 더 강건하면서도 반듯한 형태로 조정되어 훨씬 자연스러워졌지만 험악한 인상은 여전하다. 거기에 더불어 무시무시한 성능의 종특을 들고 나와서 전투적인 거라면 뭐든지 잘할 수 있는 깡패 종족이 됐다. 대폭 하향평준화된 종특과 고유능력 탓에 누굴 고르든 딱히 차이가 없는 종족들 중에서 [[브레튼]]이나 아르고니안 등등과 함께 경쟁력을 지닌 드문 종족. 본작에서도 책 읽는 오크가 나오는데 이 오크는 마법사 양성 학교인 [[윈터홀드 대학]]의 사서다[* 우라그 그로슈브{Urag gro-Shub}.]. 윈터홀드 대학의 팩션퀘스트나 [[엘더 스크롤]]을 얻어오는 메인 퀘스트를 할때 도움을 준다. 드디어 오크가 메인퀘에서 주요한 NPC 중 하나로 능력을 발휘한 셈. 그것도 지적인 캐릭터로!- 그리고 스카이림 기준에서 제국 최고의 요리사로 명망이 자자한 '요리왕'이라는 자는 오시머다. 정체를 밝히지 않은 것도 세상의 편견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여기저기서 탄압받는 종족에다가 끊임없이 본인들만의 나라를 세우려는 모습이 현실 속 [[유대인]]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하도 세웠다 부숴졌다 뭉쳤다 흩어졌다를 반복하는 꼴을 보니 무너지는 댐과 그걸 다시 세우는 [[비버]]가 떠오른다는 의견(...)도 있다. [[https://gall.dcinside.com/m/skyrim/172098|비버니움]] 오시머가 본격적으로 조명받은 것은 1996년에 발매된 2편 대거폴부터인데 판타지 세계의 클리셰인 야만적이고 무지막지한 [[오크]]족 이미지 대신 나름대로 머리와 인성이 좋고 고유 전통과 언어를 가진 전사부족으로서의 이미지가 부각되었다. 이런 식의 이미지 세척(?)은 [[워크래프트 3]]에서 유사한 이미지가 본격적으로 조명되는 것보다 훨씬 앞서있으며 [[워크래프트 어드벤처]]에서 구현된 오크족의 컨셉과 선후를 다툴만하다. 다만, 대거폴과 워크래프트가 서로 어느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여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는 2015년 10월 5일 두번째 DLC로 이들의 왕국인 오시니움(Orsinium)의 추가가 발표되었다. [[하이 락]]에 위치한 로스가 산(Wrothgar Mountain)의 폐허가 된 왕국을 재건시켜 부활시키는 것이 주 스토리인 듯하다. 게임 내에서는 다른 플레이어블 종족과의 형평성 문제로 묘사되고있지 않으나, 고대에 같이 노예생활을 한 탓인지 [[고블린(엘더스크롤 시리즈)|고블린]]이나 [[오거(엘더스크롤 시리즈)|오거]]가 우호적으로 대한다고. 첫번째 오시니움 건국 때 오시머를 이들 종족들도 합세해서 같이 나라를 세웠고, 같은 신인 말라카스를 숭배하는 등 오크와의 접점이 은근히 많다. 아예 말라카스를 섬기는 오거들과는 달리 고블린 족은 Muluk라는 자체적인 신을 섬기는 경우가 많으나, 발음의 유사성도 그렇고 말라카스의 일면이거나 이름만 약간 다를 뿐 말라카스 본인을 섬기는 것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전투종족이란 이미지가 강하긴 하지만 평화주의적으로 살려는 오시머들도 등장한다. 전쟁에 찌들려 사는 이들의 일상이다보니 진저리가 나는 이들도 있게 마련이고 문명세계를 접한 경력(?)이 있는 오시머들은 경제개념이 확고한 모습도 보인다. 더불어 정복한 지역의 묘지나 분묘는 절대로 건드리지 않는다고 한다. 타지역의 묘지나 분묘에 들어가 분탕질쳐 이를 갈게 만드는 브레튼과는 대조적이다. 왕족이나 영웅적인 행동으로 큰 공을 세운 오시머들은 죽은 뒤 화장된 재를 무기를 벼리는데 사용한다고 한다. 그들의 정신을 이어간다는 상징적인 행위라고. 험상궂은 외모와는 다르게 요리실력이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오시머가 만든 케이크도 맛이 좋기로 유명했... 었는데,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 등장하는 오시머의 음식 중 "하울워터(Howlwater)"라는 음료의 설명에 의하면 그 [[똥|'''맛의 비결''']]이 실로 충격적이다. [[https://gall.dcinside.com/m/skyrim/167673|#]] 스카이림의 미식가가 죽어라고 [[https://gall.dcinside.com/m/skyrim/167758|정체를 숨기는 이유]]를 알 것 같다는 점이 진짜... == 작품별 특징 == === [[모로윈드]] === ''남성'' * 근력(Strength) : 45 * 지력(Intelligence) : 30 * 정신력(Willpower) : 50 * 민첩성(Agility) : 35 * 속력(Speed) : 30 * 지구력(Endurance) : 50 * 인격(Personality) : 30 * 운(Luck) : 40 ''여성'' * 근력(Strength) : 45 * 지력(Intelligence) : 40 * 정신력(Willpower) : 45 * 민첩성(Agility) : 35 * 속력(Speed) : 30 * 지구력(Endurance) : 50 * 인격(Personality) : 25 * 운(Luck) : 40 ''종족 특화 스킬'' * 수리(Armorer) : 10 * 방어(Block) : 10 * 중갑 숙련도(Heavy Armor) : 10 * 평갑 숙련도(Medium Armor) : 10 * 도끼술(Axe) : 5 ''종족 고유 스킬'' * 마력 저항 : 마법 저항 25% * 광폭화(Berserk) : 60초 동안 체력(Health) 20, 피로도(Fatigue) 200, 명중률(Attack) 100 증가, 민첩성(Agility) 100 감소. 오크는 인격이 상당히 낮은 걸로 설정돼서 대부분의 NPC와 호감도가 낮다. 특히 오크 여성은 인격이 고작 25로 동족을 제외하면 호감도가 전부 40 밑이므로 경멸하는 말을 듣는다. 비슷한 종족은 노드가 있다. 노드도 인격이 남녀 둘 다 30으로 낮은 편. 오크 여성보다는 인격이 조금 높다. 그리고 던머 남성도 인격이 30으로 낮으나 모로윈드에는 던머 NPC가 제일 많기 때문에 그나마 나은 편. 여담으로 말라카스 퀘스트를 할 때, 주인공이 오크냐 아니냐에 따라 말라카스의 대화문이 달라지는데 오크가 아니면 너가 뭘 할 수 있겠냐면서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지만 오크라면 반가워하며 자기를 도와달라고 한다. === [[오블리비언]] === ''남성'' * +10 정신력(Willpower), 지구력(Endurance) * +5 힘(Strength) * -10 지력(Intelligence), 속력(Speed), 인격(Personality) * -5 민첩성(Agility) ''여성'' * +10 지구력(Endurance) * +5 힘(Strength), 정신력(Willpower) * -15 인격(Personality) * -10 속력(Speed) * -5 민첩성(Agility) ''종족 특화 스킬'' * +10 수리(Armorer), 방어(Block), 둔기술(Blunt), 중갑 숙련도(Heavy Armor) * +5 격투술(Hand-to-hand) ''종족 고유 스킬'' * 마력 저항 : 마법 저항 25% * 광폭화(Berserk) : 60초 동안 체력(Health) 20, 피로도(Fatigue) 200, 힘(Strength) 50 증가, 민첩성(Agility) 100 감소. === [[스카이림]] === ''특화기술'' * +10 중갑(Heavy Armor) * +5 방어(Block), +5 마법부여(Enchanting), +5 한손무기(One-Handed), +5 제련술(Smithing), +5 양손무기(Two-Handed) ''고유능력'' * Berserker Rage : 하루 한 번, 60초 동안 적에게 2배의 데미지를 주고 받는 피해는 절반으로 줄인다. ''처음부터 사용가능한 주문'' * Flames (파괴마법) * Healing (회복마법) 스텟 버프는 탱커형으로 평범한 편이나 문제는 저 광전사의 분노(Berserker Rage)라는 스킬이 밸런스 파괴수준으로 강력하다는 점에 있다. 사용시 공격력 2배 + 받는 피해 절반은 다른 심심한 직업특성들에 비하면 너무나 황홀한 혜택으로 말그대로 하루 한 번 1분간 근접질에 미친놈이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특히 온갖 퍽을 찍고 다크 브라더후드 장비로 무장한 은신 암살자의 30배 공격이 이 종특을 켜면 60배(!)까지 상승한다. 이 때문에 쌍수 퍽을 올리고 공격력이 높은 무기를 든다음 자연의 분노 포효를 켠 뒤 2배의 파워와 2배의 속도로 리듬을 타면 미락이고 알두인이고 삽시간에 끔살당한다. 정 스펙 차이가 너무 나서 60초 내에 전투를 제대로 못 끝냈다 싶으면 근처에 숨어서 24시간 대기하고 다시 쓰면 돼서 컨트롤에 따라서는 사실상 무한정 쓸 수 있다. 다만 오해하기 쉬운데 공격력은 무기, 맨손, 방패의 배쉬 데미지에만 적용이 되고, 마법에는 적용이 안된다. 방어력 또한 마찬가지로 물리데미지에만 적용이 되며 화염, 냉기, 전격, 독, 질병으로 들어오는 데미지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실수로 스킬 특성만 보고 오크 마법사 플레이를 하지 않도록 주의. 또한 마법 데미지를 막아주는 줄 알고 저항을 제대로 안갖추고 용한테 덤비는 실수를 하지 말도록 하자. 스카이림에서는 종족간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오블리비언보다 종족 특성의 효과가 너프된 편인데, 오시머는 오히려 사기종족에 가까워졌다. 종특에 몰빵한 특성상 다른 패시브가 없지만 이것만으로도 이미 넘사벽의 지위를 자랑한다. 사실 2배로 아프게 때리고 2배로 아프게 맞는 것으로 너프해도 은신단검 혹은 은신+활이라는 사기적인 공격수단 두 가지 때문에 여전히 밸붕이다. 물론 그러면 오크가 아니라 다들 카짓처럼 플레이할테니 스킬의 의미가 없어지겠지만(.....) === [[엘더스크롤 온라인]] === 대거폴 동맹의 일원으로 등장하며 레드가드, 브레튼과 동맹인데 과거에 피터지게 싸우다가 하이킹 에머릭의 오시니움 영토수복을 조건으로 화해한지라 퀘스트를 진행하면서 의견차이도 간간이 보이고 자치령 퀘스트에선 아예 대거폴 동맹을 버리고 자치령으로 붙으려는 오크도 나온다.[* 왜 배신했냐고 물어보면 자신들을 짓밟고 무시하며 칼을 겨누어 온 인간 종족과 동맹을 맺을 수는 없다며, 동맹에 가담한 오크들은 결국 레드가드와 브레튼의 손에 놀아나는 것이라며, 대거폴 궁정에 머무르며 지켜 본 동맹의 대표 에머릭 고왕의 실체가 위선적인 배신자 왕이라고 답한다.] 레드가드처럼 모든 오크들이 동맹에 순순히 가입한 것이 아니라는 걸 보여주는 장치라고 볼 수 있다[* 레드가드는 일단 자신의 동족이 왕비로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연결점은 있다.]. 여담으로 [[발렌우드]]에도 오크가 사는데, 이들은 오시머와 엄연히 구분되는 우드 오크(Wood Orc)들이다. 작중 서적에 따르면 오시머의 투사적 기질보단 보스머의 교활함이 엿보이는 도적 타입의 오크라고 하지만, 외모부터 시작해서 생활이나 문화나 건축양식까지 오시머랑 전부 디 똑같디. 그러나 오시머가 탄생하기 한참 전인, 알드머가 진출해오기 전부터 이미 우드 오크들이 발렌우드에 살고 있었다고 하기에, 이들의 기원이 고대 오시머들이 [[해머펠]]로 가는 중에 잔류한 이들의 후손이라고만 할 수도 없다.[* 이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풀리지 않고 있다. 추측하자면, '오크'라는 형상의 종족은 원래부터 고블린이나 오우거처럼 탐리엘의 자생하는 인간형 괴물로 원시적인 생활을 하며 살고 있었는데, 오시머는 이 오크의 외양으로 변하는 저주를 맞고 니서 탐리엘로 쫓겨나 해머펠로 향하며 발렌우드를 경유하는 도중, 발렌우드에 잔류한 고대 오시머들이 이 원시적인 오크들과 같이 살면서 오시머의 문화와 관습과 말라카스 신앙을 퍼트린 게 지금의 우드 오크가 되었던 거라고 볼 수 있다.] 이 우드 오크들은 '말록(Malocc)을 섬기는데, 정황상 오크들의 주신인 말라카스가 맞다.[* 말록은 고블린이 말라카스를 지칭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종족특성은 체력을 강화하는 특성도 있어 같은 전사종족인 레드가드가 스테미너강화에 치중해 있는것과 대조적이다. 또 달리기 능력을 강화할 수 있어 PVP나 말을 못타는 상황에서 좀더 편하다. Heavy Armor Expertise Increases experience gain with the Heavy Armor skill line by 15%. 중갑스킬의 경험치 획득량이 15% 증가 Brawny Increases maximum Health and maximum Stamina by __% ◾Rank 1: 2% (Unlocked at Orsimer Level 5) 최대 체력과 스테미너 수치를 늘린다. ◾Rank 2: 4% (Unlocked at Brawny Rank I) ◾Rank 3: 6% (Unlocked at Brawny Rank II) Khajiitrobust Increases Health regeneration while in combat by __% ◾Rank 1: 10% (Unlocked at Orsimer Level 10) 전투중 체력 회복량 증가 ◾Rank 2: 20% (Unlocked at Robust Rank I) ◾Rank 3: 30% (Unlocked at Robust Rank II) Swift Reduces cost of sprint by __% and increases sprint speed by __% ◾Rank 1: 4%, 3% (Unlocked at Orsimer Level 25) 전력질주시 스테미너 소모량을 줄이고 속도를 늘린다. ◾Rank 2: 8%, 6% (Unlocked at Swift Rank I) ◾Rank 3: 12%, 9% (Unlocked at Swift Rank II) == 캐릭터 목록 == *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 라-그루즈곱 * 샨 그라-므주곱 * 야각 그로-글룩 * [[움브라(엘더스크롤 시리즈)|움브라]]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 고그론 그로-볼모그 * 둘피쉬 그로-오룸 * [[마조가 디 오크]] * 브래그 그로-바그 * 스낙 그라-부라 * [[아그로낙 그로 멜로그]]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듀락 * 모그룰 * 발라고그 그로-놀롭 * 버국 * 야마즈 * 우라그 그로슈브 [[분류:엘더스크롤 시리즈/종족 및 민족]][[분류:엘프]][[분류: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