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親分}}}[* [[훈독|유]][[일본 한자음|토]]요미. 일본어에서의 악센트는 첫째 혹은 둘째음절에 온다. [[한국어]]에서는 '가깝고 친한 정분'이라는 다른 뜻이다.] == 개요 == [[일본]]에서의 총칭. [[부모]]를 뜻하는 '親'에 [[일본어]]로 위치, 책임 등을 뜻하는 '分'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이다. 고로 직역하면 '부모의 구실을 하는 사람'이 된다. == 설명 == 반대말은 [[꼬붕]]. 부하를 뜻하며 역시 같은 이치다. 한자표기가 '子分'으로 [[자식]]을 뜻하는 '子'에 역시 일본어로 위치, 책임 등을 뜻하는 '分'이 합쳐진 단어이다. 역시 '자식의 역할을 하는 사람'의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은 단어들은 과거 [[야쿠자]]의 [[보스]]와 [[부하]]를 서로 부모 - 자식 관계와 같다고 본 것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즉, 오야붕은 아버지, 꼬붕은 자식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다. [[사카즈키고토]]를 마치고 두목을 아버지 같다는 의미로 부르는 일종의 애칭이다. 현대 일본에서는 야쿠자 외에 안 쓰인지 오래 되었고, 어딘가의 장을 말하려면 접미사 '쵸(長)' 를 더 많이 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 시대]]의 잔재인 단어 중 상당히 오래 살아남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오야', '오야'''봉'''', '[[오야지]]'[* 원래 일어로는 '아저씨'나 '중년 어른'이라는 의미다. 한국의 [[노가다|건설 현장]]에서는 현장 팀장을 부르는 은어로도 쓰인다. 이 경우엔 보통 줄여서 오야라 한다.]라고도 하며, 우리말로 하면 오야붕은 [[두목]], 우두머리로, 꼬붕은 [[따까리]], 부하 등으로 말할 수 있다. 이 단어가 살아남고 있는 것에는 드라마 [[야인시대]]가 어느 정도 기여한듯. 예를 들어 [[우미관]]패 '''두목'''인, [[김두한(야인시대)|김두한]]이 '''김두한 오야붕'''으로 불리는 것을 들 수 있다. [[분류:일본어 단어]][[분류:일본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