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50017> '''{{{#fff 십칠세신 제6대[br]{{{+1 오오쿠니누시}}}[br]大国主}}}'''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오쿠니누시.jpg|width=100%]]}}} || ||||<#950017> {{{#fff {{{+1 '''농업, 의술, 주술의 신''' }}} }}} || || '''신족''' ||[[쿠니츠카미]] || || '''이름''' ||오오쿠니누시노 카미[br](大国主神) || || '''별명''' ||오오아나무치노 카미(大穴牟遅神) 야치호코노 카미(八千矛神) 미모로노 카미(三諸神) 카쿠리요노 오오카미(幽世大神) 오오쿠니타마노 카미(大国魂神) 키즈키노 오오카미(杵築大神) 아메노시타츠쿠라시시 오오카미(所造天下大神) || || '''별칭''' ||오오쿠니누시노 오오카미(大国主大神)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부친 아메노후유키누(天之冬衣神)[br]모친 사시쿠니와카히메(刺国若比売) || || '''형제''' ||[[카구츠치]]의 시체에서 태어난 다른 신들 || || '''배우자''' ||스세리비메(須勢理毘売命) 등 || || '''자녀''' ||코토시로누시(事代主神) 타케미나카타(建御名方神) 등 || || '''신사'''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등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신화]]의 신. [[쿠니츠카미]]에 속한다. == 특징 == [[이즈모]] 신화의 신으로서, [[일본 신화]]에서 하늘의 신 [[아마츠카미]]를 대표하는 [[아마테라스]]와 대조적으로, 대지의 신 쿠니츠카미를 대표하는 신이다. 대표적인 신화로는 [[고사기]] 및 [[일본서기]]에 기록된 아시하라노나카즈쿠니(葦原中国) 건국 및 국토 이양 신화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이나바의 흰토끼]] 설화, 저승 방문 설화, 누나카와히메와의 결혼 설화가 고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쿠니츠카미에 속하지만 특이하게도 [[스사노오]]의 혈통을 잇고 있는 신인데,[* [[스사노오]]는 [[타카마가하라]]로부터 추방된 이후로 [[아마츠카미]]와 결별했기 때문에 [[쿠니츠카미]] 세력의 계보가 되었다.] 일본서기 본문에서는 스사노오의 아들로 언급되고 있고,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일서나 신선성씨록(新撰姓氏録)에서는 스사노오의 6대손으로 나오며, 일본서기의 또 다른 부분에서는 7대손 등으로 되어있기도 하는 등 상세한 부분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다. 형제들에게는 미움을 받아서 몇번씩이나 죽임을 당하기도 했으나 모두 되살아났으며, 이후 저승에 갔다가 아내로 삼은 여신이 역시 스사노오의 딸, 즉 자신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저승의 신이 되어 있던 스사노오와도 사이가 험악해지지만 결국은 도피하는 데 성공해서 부부관계를 인정받았다고 전해진다. 참고로 스사노오의 딸 말고도 오오쿠니누시는 다양한 여신과의 사이에서 많은 아이를 낳았다고 하는데 자식의 수는 고사기에서 180명, 일본서기에서 181명이라고 나온다. 스사노오의 후대에 [[스쿠나히코나]](少彦名神)와 협력해 지상을 통치하였다고 하며, 마지나이(禁厭), 의약 등을 가르쳐 아시하라노나카즈쿠니(葦原中国) 건국[* 여기서 아시하라노나카즈쿠니는 단순한 일개 국가가 아니라 타카마가하라와 대비되는 지상의 현세를 의미한다.]의 토대를 완성시켰다. 이후 아마테라스측 세력이 지상의 지배권을 요구함에 따라, 처음 몇 번은 거부의 뜻을 보였지만, 결국 [[타케미카즈치]]에게 사실상 굴복하여 저승의 지배권을 받는 대신 현세의 지배권을 아마테라스의 천손인 니니기노미코토(瓊瓊杵尊)에 양보하게 된다. 이를 국토 이양 신화라고 하는데, 국토 이양의 조건 중 하나로 현세에 자신과 그 휘하 신들을 모실 궁전을 요구하였고 아마츠카미 세력이 그 요구를 받아들여 만들어준 곳이 이즈모 대사(出雲大社)[* 아마츠카미에게 굴복한 쿠니츠카미를 모시는 [[신사(신토)|신사]]이다.]라고 하며 이러한 유래에서 오오쿠니누시는 키즈키노오오카미(杵築大神)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국토 이양 신화에 관련해서 출운국풍토기의 오우군(意宇郡) 지방[* 현 [[시마네]] 현 야스기 시.]의 지명 기원 설화에서는 쿠시야쿠치(越八口)라는 괴물을 오오아나모치(大穴持命)[* 오오쿠니누시의 별명 중 하나.]가 퇴치한 후 돌아오는 길에 국토 이양의 선언을 했다고 전하고 있다. 국토 이양 신화는 실질적으로 [[야마토]] 정권의 정복을 정당화하는 정치적 신화이므로 그 주인공인 오오쿠니누시는 고대사에서 큰 의미를 지니는 신이기도 하며, 따라서 대부분 잊혀져버린 쿠니츠카미 중에선 특이하게도 [[건국]]의 신, [[농업]]의 신, [[상업]]의 신, [[의료]]의 신 등으로 현재까지 추앙받고 있다. 심지어는 大国의 음독이 ‘다이코쿠’로 대흑천(大黒天)과 같은 발음이라는 이유로 신격이 결합되어 민간신앙에까지 침투하기도 했다. 한편, [[일본]]의 신들 중에서 특히 많은 별명을 가진 신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신으로서의 덕망이 높음을 의미한다고도 풀이되지만, 원래 따로 있던 토착신앙들이 하나의 신으로 결합하면서 남은 흔적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러한 개별 토착신앙의 상당수는 [[시코쿠]]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한다. 오오쿠니누시를 받드는 [[신사(신토)|신사]] 중 가장 역사 깊은 곳은 [[나라현]]의 오오미와 대사로, 일본 내에서 가장 오래된 신사이기도 하다. == 별명 == * 오오쿠니누시노카미(大国主神) – 대국을 통치하는 제왕이라는 의미. 비슷한 명칭으로는 오우(意宇)[* 고대 이즈모 국의 동부지방]국의 주인이라는 의미의 오우쿠니누시(意宇国主)가 있다. * 오오아나모치(大穴牟遅神 또는 大穴持命), 오호나무치(大己貴命) - 대국주의 젊은 시절 이름. * 오호나무치(大汝命) - 파마국풍토기(播磨国風土記)에서의 호칭. * 오오나모치(大名持神) * 야치호코(八千矛神) – 창(矛)은 무력의 상징으로, 무신(武神)으로서의 성격을 나타낸다. * 아시하라시코노오(葦原醜男 또는 葦原色許男神) – 시코노오(しこのを)라고 함은 강한 남자라는 의미로, 역시 무신으로서의 성격을 나타낸다. * 오오모노누시(大物主神) * 오호쿠니타마(大國魂大神) * 우츠시쿠니타마(顕国玉神 또는 宇都志国玉神) * 쿠니츠쿠리오호나무치(国作大己貴命), 이와오호카미(伊和大神 또는 伊和神社主神) - 파마국풍토기(播磨国風土記)에서의 호칭. * 아메노시타츠쿠라시시오호카미(所造天下大神) - 출운국풍토기(出雲国風土記)에서의 호칭. * 카쿠리고토시로시메스오오카미(幽冥主宰大神) == 대중 문화 매체에서 ==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 신수의 모티브라고 한다. === [[여신전생 시리즈]] === * [[오오쿠니누시(여신전생 시리즈)]] 참조. === [[퍼즐앤드래곤]] === 게임 [[퍼즐앤드래곤]]의 [[가챠]] 캐릭터. === [[에테르 게이저]] === * [[오쿠니누시(에테르 게이저)]] 참조. [[분류:일본 신화]][[분류:의술의 신]][[분류:농경의 신]][[분류:상업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