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유희왕 OCG]]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파일:card10034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오이스터 마이스터, 일어판명칭=オイスターマイスター, 영어판명칭=Oyster Meister, 속성=물,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200, 종족=어류족,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는 것 이외의 방법으로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 위에 "오이스터 토큰"(어류족 / 물 속성 / 레벨 1 / 공격력 0 / 수비력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듀얼리스트의 태동]]에서 등장한 하급 어류족 효과 몬스터. 자신 필드에 오이스터 [[토큰(유희왕)|토큰]]을 특수 소환하는 강제 발동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졌다. 대놓고 같은 팩에서 나오는 [[피셔 차지]]와의 연계성을 살리고 있다. 전투 파괴 이외의 그 어떤 별의 별 방법으로든 필드에서 묘지로 가기만 하면 [[토큰(유희왕)|토큰]]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토큰은 어떤 제약도 없으므로 각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강제효과이기 때문에 타이밍을 놓칠 일도 없다. 또한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이므로 [[초고심해왕 실러캔스]]로 소환해도 효과는 발동하며 [[금빛의 날치]]와 함께한다면 폭풍같은 필드파괴력을 보여줄 것이다. 일단 [[큰 파도 작은 파도]]와의 연계도 '''성립은''' 한다. [[링크 소환]]과도 궁합이 최고인데 링크 소재로 써버리면 다음 링크 소재인 토큰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 단점은 공격력이 1600이라 [[샐비지(유희왕)|샐비지]]로 건져오거나 [[회색곰 마더]]로 리크루트하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이름의 오이스터는 어패류인 [[굴(어패류)|굴]]을 의미한다. 즉, 이름을 해석하면 굴 장인. 근데, 실제로 오이스터 마이스터는 있다. 일본 굴 협회(...)에서 인증하는 굴 소믈리에를 [[https://ja.wikipedia.org/wiki/%E3%82%AA%E3%82%A4%E3%82%B9%E3%82%BF%E3%83%BC%E3%83%9E%E3%82%A4%E3%82%B9%E3%82%BF%E3%83%BC|오이스터 마이스터]]라고 한다. 일러스트에서 던지고 있는 것 역시 [[굴(어패류)|굴]]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듀얼리스트의 태동|THE DUELIST GENESIS]] || TDGS-JP02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태동|The Duelist Genesis]] || TDGS-EN02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의 태동]] || TDGS-KR02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어류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