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오카사키 미호}}}[* 예명이다. 학창시절 전일본 애니송 그랑프리에 참가시 사용한 이타미 미호코(伊丹美保子)가 본명으로 추정된다. 또한 본인이 고1 때 [[NHK 노도지망|노도지망]]에 나온 것을 인정하였다.[[https://youtu.be/Qxi0qMUzKyU|#]]][br][ruby(岡, ruby=おか)][ruby(咲, ruby=さき)][ruby(美, ruby=み)][ruby(保, ruby=ほ)][* 岡咲의 읽는 방법은 공식 프로필에서 의거한 것이므로 '''오카자키'''로 혼동할 수 있으니 주의.] | Miho Okasak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岡咲美保2023.jpg|width=100%]]}}} || ||<|2> '''출생''' ||[[1998년]][* 2018년 7월 6일 진행한 [[라디오 닷아이]] 1회에서 공개했다.] [[11월 22일]] ([age(1998-11-22)]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신체''' ||158cm|A형[* [[https://www.animatetimes.com/tag/details.php?id=7343|출처]]]|| || '''직업''' ||[[성우]], [[가수]]|| || '''양성소''' ||[[일본 내레이션 연기연구소]]|| || '''소속사''' ||[[아임 엔터프라이즈]]|| || '''레이블''' ||[[킹 레코드(일본)|KING AMUSEMENT CREATIVE]]|| || '''활동 시기''' ||'''성우'''|2017년 ~ 현재[br]'''가수'''|2021년 ~ 현재 || || '''별명''' ||미포링(みぽりん)[* 성우 동료들에게 불리는 별명], 오미호(おみほ)[* 일반인 친구들에게 불리는 별명]|| || '''취미・특기''' ||노래방, 순정만화 보기[br]노래, 낭독, 서예, 댄스, 피아노, 배드민턴|| || '''링크''' ||[[https://www.imenterprise.jp/profile.php?id=30|[[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공식 프로필^^|[[https://www.okasakimiho.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아티스트^^|[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kasakimiho_PR, 크기=20)]^^오피셜^^|[[https://www.youtube.com/c/okasakimih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오피셜^^||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여성 성우. 일본 내레이션 연기연구소 졸업생이며 2017년 4월부로 아임 엔터프라이즈 소속이 되었다. 학창시절 배드민턴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마땅한 교우관계를 형성하지 못해 고립되어 있던 차, 자신이 친해질 수 있을 것 같다고 느낀 친구들이 애니메이션 등 서브컬처에 관심이 많았던 터라 함께 빠져든 것이 장래를 결정하게 된 시발점. 비단 애니메이션 뿐만 아니라 [[미즈키 나나]]같은 성우 아티스트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직업으로서 성우를 인식, 본격적으로 목표하게 되었다. 2013년 제7회 전일본 애니송 그랑프리에 참가한 적이 있으며[[https://www.youtube.com/watch?v=Il-7c2nc_F4|#]] 2014년 12월엔 [[NHK 노도지망]](노래자랑 프로그램)에서 이타미 미호코(伊丹美保子)란 이름으로 [[https://www.bilibili.com/video/BV11p411d7t2/|우승]]했다. 당시 부른 노래는 [[미즈키 나나]]의 'DISCOTHEQUE'로 미즈키 나나가 심사위원이었다. 2021년 7월 1일 아티스트 데뷔가 발표되었다. 데뷔 싱글은 9월 15일 릴리즈 예정이며 공식 트위터가 개설되었다.[* 다만 개인 트윗은 아닌지라 앞으로도 동료 성우들의 오미호부는 계속될 전망.] 유튜브 라이브에서 이 곡을 피로하기 전 약간 벅차오르는 듯한 말투로 말하길 ''''꿈을 이루어준 곡'. ''' 동료성우들의 해시태그 응원 속에서 이 말에 대한 감동을 느낀 이들이 꽤 보이곤 했다. [[쿠기미야 리에]]와 [[유우키 아오이]]의 음색을 섞은 듯한 연기가 특징이면서 [[오오하시 아유루]]의 음색과도 비슷하다. 첫 주연작인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1기)|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에서 [[리무루 템페스트]]로 좋은 연기를 펼쳐 호평을 받았다. == 여담 == * 관심이 많은 취미는 메이크업으로 용도별로 구분해도 각각 최소 백 단위로 가지고 있다.[* 특히 좋아하는 립 제품의 경우엔 500개 가량.] 프로필상 특기로 기재된 서예도 단순히 잘하는 것 중 하나가 아니라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쭈욱 파고든 것으로, 한때 서예 선생님을 목표했을 만큼 몰두해 여전히 자신있는 분야로 꼽는다. 8단 이상. (경필 서사 기능 검정 2급, 모필 서사 기능 검정 3급) * 합창부에 오디션을 통해 들어갔으며, 지휘를 맡았다고 한다. 교내 콩쿠르 대회에서 우승, 준우승을 수상한 적 있다. * [[게츠쿠]]에 대한 토크 중에 2009년에 방영된 [[버저비트 ~벼랑 끝의 히어로~]]를 언급했는데, 당시 '''초등학생'''이었기 때문에 같이 mc인 [[야마모토 카네히라]]와 게스트로 나온 [[토마리 아스나]]가 나이 차이에 실감하는 리액션을 보였다. [[하메후라]] 라디오에 출연했을 때 [[게임보이]]와 [[버추얼 보이]]가 뭔지 아냐는 질문에 전자는 들어는 봤는데 자신에게 있어서는 전설의 물건이라고 했고 후자는 모른다며 처음 들어봤다고 했다.[* 버추얼 보이는 [[우치다 마아야]]도 몰랐다.] * 초등학교 때 크리스마스 선물로 [[닌텐도 DS]]을 받았으며, 그 중에서 [[쿠킹마마]]를 자주 했다고 한다. * 성우가 되기 위해 양성소가 있는 고베까지 신칸센을 타고 등하원을 했는데, 역 근처에서 헌팅남들이 말을 거는 것이 싫어서 남장을 하고 다녔다고 한다. * 2018년 11월 3일. [[AGF]] 참여로 처음으로 한국을 공식 방문하였다. 그리고 전슬라 콜라보 카페 오픈 인사 영상도 올렸다.[[http://youtu.be/OTSOVXCLqKM|#]] * '오카'''자'''키 미호'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어, 나무위키에도 '오카자키 미호'라는 문서가 몇 번 생겼다 없어지기를 반복했다. [[오카자키]]라는 성도 존재하는 데다가 그쪽이 더 많은 문서가 있어서 헷갈린 듯. * 도쿄에서는 아버지랑 둘이서 생활하고 있다. 딸이 시끄러워서 "아빠는 미호의 말은 못 알아듣겠으니까."라면서 안 듣고 넘긴다고. 외동딸이라고 하며, 형제가 있는 것을 동경하고 있다.[[https://www.skyperfectv.co.jp/special/voice-actor/hominis/?post6817|인터뷰]] * 유튜브를 보면서 식사를 하거나 목욕을 하는 등의 생활을 한다. 성우 일이 하루하루 일과가 매우 변동적이어서 생활을 타인과 맞추는 게 어렵다 보니 혼자 식사를 하는 등의 일이 많은데 유튜브를 보면 기분탓인지 혼밥도 맛있게 느껴진다고 한다. * 오이를 못 먹는다. 특히 향을 싫어하는데 가족 전부 오이를 싫어한다고 하는 걸 보면 유전인 듯. 사실 채소 자체를 싫어한다. 날 것에 가까울수록[* 본인의 표현으론 "나 살아있다고 주장하는 것 같은", "생명감이 느껴지는" 상태] 더 싫어한다. * 쇼타 취향이라고 한다. 그런데 얘기를 들어보면 나이를 불문하고 그냥 잘생겼으면 좋아하는 듯하다. 학생 때 짝사랑했던 캐릭터는 [[오늘부터 신령님]]의 [[토모에(오늘부터 신령님)|토모에]]. 첫 현장에서 토모에의 성우인 [[타치바나 신노스케]]와 함께 하게 되었는데, 덕분에 초면부터 두근거렸다고 한다. * 어릴 적엔 엄청나게 긍정적이어서 '내가 세상에서 제일 귀여워~'라고 생각하는 등 자의식 과잉이었는데, 성장함에 따라 현실을 겪으면서 분수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 * 고3 때 양성소에 다니기 시작하여 기초과 1년 만에 소속이 결정되어 고교 졸업과 동시에 상경, 현장에 투입되었기 때문에 업계에서 쓰는 용어, 관습 등을 거의 모르는 상태로 일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첫현장에 마침 소속사 선배인 [[마츠오카 요시츠구]]도 있었기 때문에 마츠오카가 일일이 가르쳤다고 한다. 덕분에 마츠오카는 삼촌의 마음으로 오카사키를 지켜보고 있다고.[* 아빠의 마음으로 지켜보는 것 아니냐는 말에 마츠오카 본인이 '아버지'라는 단어에서 오는 책임감은 너무 무겁다면서 그정도까진 아니고 한 발자국 떨어진 곳에서 지켜보니까 삼촌의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때 매니저가 마츠오카에게 오카사키를 맡기면서 "'''우리 회사의 기대주'''"라고 말했다고 한다. 계열사의 동기 [[스즈시로 사유미]]는 [[https://seigura.com/senior/99860/|인터뷰]]에서 "다른 동기들보다 오카사키 미호가 압도적으로 빛났다"는 말을 했다. * 오카사키에 대한 주위 선배/동료들의 공통된 평가는 나이에 걸맞지 않게 침착하고 인간관계의 형성에 있어 대단히 적극적이라는 점. 본래 어린 시절엔 선생님이 함께 하교해 줄 친구를 공개적으로 구해줘야 했을만큼 내성적이고 소극적이였으나, 초등학교 3학년 즈음을 전후로 '이대로는 살아갈 수 없다'는 마인드 전환과 동시에 지금같은 성향으로 180도 바뀌었다고 한다. 성우라는 직업자체가 작품에 따른 이합집산에서 일시적인 관계의 연속이고, 어차피 친해질 수 없는 사람은 무얼 어떻게 해도 친해질 수 없을테니, 그 중에서 남길 사람은 모두 남겨보겠다는 마음가짐으로 먼저 다가가는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말로도 결코 쉬워보이지 않는 행동원리를 몸소 실천하고 있기 때문인지, 현장을 가리지 않고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이들과 밀접한 소통을 주고 받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 [[일본 내레이션 연기연구소]]에 입소하기 전에도 어떤 활동을 했는지 [[나카시마 유키]]가 고2, 오카사키 미호가 고1이던 시점에 만난 적이 있다고 한다.[* 시기상으로 보아 2014년에 개최된 [[어스 스타 엔터테인먼트]]의 제1회 국민적 성우 그랑프리일 가능성이 있다.] 대기실 같은 곳에서 당시 미성년자였다보니 부모님과 함께 있었는데 부모님끼리 대화했었다고. 오카사키는 나카시마를 '와카야마 출신의 귀여운 아이'라고 기억하고 있다가, 19세 무렵 재회했을 때 '아, 그때의 귀여운 애잖아!'하고 떠올렸다고 한다. * 친해진 여성 성우에게 "이제 내 거야." 하고 '''내 꺼 발언'''을 한다고 [[나카시마 유키]]가 폭로했다. [[하메후라]] 라디오에서도 "마아야 씨는 내 건데..."라고 발언하면서 [[메리 헌트]]에게 감정이입을 하면서 연기했다고 [[우치다 마아야]] 본인에게 말했다. 두번째로 출연했을 때 아티스트 데뷔 발표 직후여서 우치다가 [[요비스테|"미호"라고 부르면서]] 축하해줬는데, "앞으로도 '미호'라고 불러주실 건가요?"라면서 엄청 좋아했다. --그리고 마아야 씨는 남성뿐만 아니라 다른 여성들 누구에게도 못 넘긴다고-- * 같은 레이블 메이트인 [[미나세 이노리]]와 라인을 많이 하다보니 친해지게 되었는데 오카사키가 패션이나 여성스러운 물건들에 능통하다보니 같이 화장품을 고르러 많이 다닌다고 한다. 이노리가 뭔가 망설이고 있으면 자기 이거 써봤다고 바로 피드백을 준다고. 그리고 2021년 성우 그랑프리 8월호에선 둘이서 표지를 맡게 되었다. * SNS에 글을 남길 때 문자만으로는 자신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서 [[이모지]] 사용에 의존한다.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에서 == 2020년 3월 말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의 신 아이돌인 [[noctchill]]의 [[이치카와 히나나]] 성우로 캐스팅되었다. 오디션에선 히나나를 제외한 3인의 배역을 차례차례 받은 후 히나나역도 한 번 해보자는 제안에 자료를 받아든 것이 그녀와의 첫 만남이였다. 사전에 준비하지 못했던 갑작스런 오디션 제안이였던만큼 온전히 자신의 가용범위 내에서 성립시킨 것이 발탁으로 이어진 셈이라 되려 운명같은 감각을 느낀다는 모양. 기본적인 오디션 후의 면접과정에선 '앞으로 지금보다 더욱 바빠질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걸 위해 이 오디션을 목표했다'라 답변했다.[* 유닛 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배역을 따내는 인물인지라 제작진 입장에선 이후의 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을 다소 우려했던 모양.] 대본을 펼쳐들자 우선 눈에 들어온 수많은 장음표기들에 [[갸루]]같은 느낌이라 이해하고 연기해보았더니 '히나나는 갸루가 아니라 귀여운 쪽이다'라는 디렉팅을 받고 전체적인 노선에 변화를 준 것이 지금의 연기. 히나나는 일견 특이하기만한 아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녀 나름대로 자신에게 솔직한 삶의 방식을 선택한 것이라 해석하고 있다. 다소 스트레이트하게 본인의 감정을 드러내는 화법 역시 그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라고 이해할 수 있었기에 더욱 거리를 좁힐 수 있었다는 듯. 히나나의 시그니처와도 같은 야하~나 아하~는 꽤나 고전했던 부분으로 몇 번이나 녹음을 반복해 가장 좋은 연기를 사용했다. 데뷔 전부터 무대에 오르는 성우 아티스트를 목표해 입상한 전적도 가지고 있을만큼 기본적인 포텐셜 자체가 뛰어난 인물. 본래 구사가능한 수준 높은 테크닉과 캐릭터로서의 톤을 절묘하게 버무려내 완성도 높은 보컬을 성립시킨다. 실제 라이브에서도 히나나로서의 발성에 중점을 둔 가창과 템포좋게 병행해가는 안무 등에서 그 실력의 편린을 엿볼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3rd-oksk2.jpg|height=25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3rd-nc.jpg|height=25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3rd-oksk.jpg|height=25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3rd-oksk3.jpg|height=250]]}}}|| 2020년말 MUSIC DAWN을 통해 처음으로 무대 데뷔, 이듬해인 2021년 3월 2ndLIVE, 4월에서 5월에 걸친 3rdLIVE투어에 출연하며 주년 라이브 참가도도 성사했다. 원래 성우로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던 인물 중 하나라 어느정도 참가율을 유지할 수 있을지엔 다소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고, 실제 최초 발표된 출연진 목록에선 결석일이 복수 존재했으나, 기어코 스케줄을 조정해 총합 10회에 달하는 전 공연 출연을 성사시킨 것은 놀라운 부분. 훌륭한 기량을 십분 발휘해 이치카와 히나나의 매력을 전달하려 애썼으며, 특유의 친화력을 바탕으로 단기간내에 많은 이들과 친교를 개척하며 팀에 녹아드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2021년 개인 아티스트 활동을 개시하며 안그래도 바쁘던 스케줄에 더욱 큰 부담이 걸리게 되었다. 문제는 아티스트 활동에 수반되는 앨범녹음에 따른 과부하가 단기간에 몰리는 바람에 목건강이 상당히 악화되었었다는 점. 평소의 목소리마저 늘 목이 쉰 것처럼 다소 허스키한 상태를 유지했고,[* 해당 시기에 녹음한 히나나의 연기톤에도 영향을 끼쳐 몇몇 유저들은 약간의 위화감을 느끼기도 했다.] 가창에선 고음을 올릴 때 플랫이 일어나거나 원치않는 불규칙한 비브라토가 걸리는 식으로 좀처럼 본래의 실력을 드러내지 못했다.[* 고음 파트에서 최대한 음정을 잡으려고 눈을 질끈감고 쥐어짜내는 식으로 겨우겨우 소화했다. 결국 한 비대면 이벤트의 솔로곡 피로에선 마음대로 풀리지 않는 자신의 노래에 속이 상해 울어버린 모양인지 내내 눈가가 새빨간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대개 개인 아티스트 활동을 시작하면 이에 방점을 찍고 그외의 라이브 활동을 차순위로 미루는 경우가 많은데,[* 비슷한 시기 [[카자노 히오리]]역 [[콘도 레이나]]가 개인 아티스트 활동에 집중하며 샤니마스 관련 활동을 크게 줄였다.] 오카사키는 이런 고생을 하는 와중에도 굵직한 무대에는 끝내 빠지지 않는 열정과 애착을 드러냈다. 다행히 2022년에 접어들어서는 조금씩 컨디션을 회복하는 단계에 접어들어 본래 실력에 가까운 퍼포먼스로 조금씩 근접하는 도중. 샤이니 컬러즈 내 [[사쿠라기 마노]]역 [[세키네 히토미]], [[하치미야 메구루]]역 [[미네다 마유]],[* 막역한 사이로 짧게나마 함께 라디오를 진행하기도 했다.] [[아리스가와 나츠하]]역 [[스즈모토 아키호]], [[마유즈미 후유코]]역 [[유키무라 에리]] 등 과는 양성소 동기 사이로 친분이 있다. == 출연작 == === TVA === * 2017년 * [[러브라이브! 선샤인!!]] - 여학생 * [[아이돌 마스터 SideM/애니메이션|아이돌 마스터 SideM]] - 관객 * [[아이카츠 스타즈!]] - 아이 * [[요괴 아파트의 우아한 일상]] - 여학생 D * [[클래시컬로이드]] - 여자 * [[키노의 여행|키노의 여행 -the Beautiful World- the Animated Series]] - 아이 C * [[혈계전선 & 비욘드]] - 아이들 * 2018년 * [[citrus/애니메이션|citrus]] - 여성 * [[건담 빌드 다이버즈]] - 미유 * [[골든 카무이(애니메이션 1, 2기)|골든 카무이 1, 2기]] - 아이들 *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애니메이션|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 - 여학생 A * [[라스트 피리어드/애니메이션|라스트 피리어드 ~끝없는 나선의 이야기~]] - MC * [[사이키 쿠스오의 재난(애니메이션 2기)|사이키 쿠스오의 재난 2기]] - 여성 B * [[메르크 스토리아 -무기력한 소년과 병 속의 소녀-]] - 파르티샨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 마을사람 * [[슬로우 스타트/애니메이션|슬로우 스타트]] - 여자 * [[식극의 소마/애니메이션|식극의 소마 세 번째 접시]] - 여학생 B * [[아이돌리쉬 세븐(애니메이션 1기)|아이돌리쉬 세븐]] - 여고생 A, 손님, 팬 A, 사무실 스태프 외 * [[어떤 마술의 금서목록 Ⅲ]] - 시민 * [[오버로드 Ⅲ]] - 포아일 * [[음악소녀]] - '''니시오 미쿠''' * [[이윽고 네가 된다/애니메이션|이윽고 네가 된다]] - 체육대회 아나운서 * [[이토 준지 컬렉션]] - 여자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1기)|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 '''[[리무루 템페스트]]''' * [[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청춘 돼지는 바니걸 선배의 꿈을 꾸지 않는다]] - 카노 코토미 * [[패궁 봉신연의]] - 딸 * [[하이스코어 걸/애니메이션|하이스코어 걸]] - 모리 * [[하이스쿨 D×D HERO]] - 여우 누나 * 2019년 * [[Fairy gone]] - 레이 돈(少) *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 1기)|귀멸의 칼날]] - 테루코 * [[길모퉁이 마족(애니메이션 1기)|길모퉁이 마족]] - 아이 * [[로드 엘멜로이 2세의 사건부: {레일 체펠린} 그레이스 노트]] - [[이베트 L. 레이먼]] * [[방패 용사 성공담(애니메이션 1기)|방패 용사 성공담]] - 리파나 * [[버뮤다 트라이앵글 ~컬러풀 파스토랄레~]] - 마을사람 * [[소라의 날개/애니메이션|소라의 날개]] - 토미나가 하루미 * [[앙상블 스타즈!/애니메이션|앙상블 스타즈!]] - [[사카사키 나츠메]](少) * [[엔드로~!]] - 소녀 * [[여고생의 낭비/애니메이션|여고생의 낭비]] - 아가씨 * [[우리는 공부를 못해/애니메이션|우리는 공부를 못해!]] - 점원 * [[이 소리에 모여!/애니메이션|이 소리에 모여!]] - 관람객 * [[장난을 잘 치는 타카기 양 2]] - 스즈키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애니메이션 1기)|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 고백받는 여성 *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팝 팀 에픽]] - 오니의 딸 * [[학생회 임원들/애니메이션|학생회 임원들]] - 히로세 유우 * [[황야의 코토부키 비행대]] - 마리아 * [[후르츠 바스켓(2019년 애니메이션)|후르츠 바스켓]] - 이와타 마이 * 2020년 * [[A3!/애니메이션|A3!]] - 미나기 미츠루 * [[플런더러/애니메이션|플런더러]] - 단역 * [[다윈즈 게임/애니메이션|다윈즈 게임]] - 단역 * [[모여라! 시튼 학원]] - 시라우미 카나 * [[몬스터 아가씨의 의사 선생님]] - 메메 르돈 * [[불꽃 소방대 2장]] - 사키 *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 '''[[메리 헌트]]''' * [[재채기 대마왕 2020]] - 아이돌 * [[조조조 좀비군]] - '''이사무''' * 2021년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2기)|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2기]] - '''[[리무루 템페스트]]'''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전생슬라임 일기]] - '''[[리무루 템페스트]]''' *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X]] - '''[[메리 헌트]]''' * [[야미시바이]] 8기, 9기 * [[쟈히님은 기죽지 않아!/애니메이션|쟈히님은 기죽지 않아!]] - 마왕 * [[현실주의 용사의 왕국 재건기/애니메이션|현실주의 용사의 왕국 재건기]] - 파미유 캐럴 * 2022년 * [[마법사의 여명기/애니메이션|마법사의 여명기]] - '''로 크리스타스''' * [[Extreme Hearts]] - '''코다카 사키''' * 2023년 * [[데드 마운트 데스 플레이/애니메이션|데드 마운트 데스 플레이]] - 루루 * [[블루 록(애니메이션 1기)|블루 록]] - [[바치라 메구루|어린 메구루]] * [[월드 다이 스타/애니메이션|월드 다이 스타]] - 센쥬 이로하 * [[이세계 유유자적 농가/애니메이션|이세계 유유자적 농가]] - 프라우렘 크롬 * [[어떤 아재의 VRMMO 활동기/애니메이션|어떤 아재의 VRMMO 활동기]] - '''밀리''' * 2024년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3기)|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3기]] - '''[[리무루 템페스트]]''' * [[전생 귀족, 감정 스킬로 성공한다(애니메이션)|전생 귀족, 감정 스킬로 성공한다]] - '''로젤 키샤''' === 극장판/OVA === * 2018년 *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Detonation]] - 오퍼레이터 * 2019년 * [[학생회 임원들/애니메이션|학생회 임원들*]] OAD - 히로세 유우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OAD - '''[[리무루 템페스트]]''' * 2021년 * [[로드 엘멜로이 2세의 사건부: {레일 체펠린} 그레이스 노트]] 특별편 - [[이베트 L. 레이먼]] * [[시도니아의 기사/애니메이션|시도니아의 기사 사랑을 잣는 별]] - 한마 이츠키 * 2022년 * [[극장판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홍련의 인연편]] - '''[[리무루 템페스트]]''' * 2023년 * [[극장판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 '''[[메리 헌트]]''' * [[청춘 돼지는 외출하는 여동생의 꿈을 꾸지 않는다(애니메이션) |청춘 돼지는 외출하는 여동생의 꿈을 꾸지 않는다]] - 카노 코토미 === 게임 === * [[가디언 테일즈]] - [[플리트비체(가디언 테일즈)|전쟁의 여신 플리트비체]], 염룡 [[기르가스]] * [[괴리성 밀리언아서]] - 티레니아 * [[그랜드체이스 for kakao|그랜드체이스 글로벌]] - [[샤샤(그랜드체이스 for kakao)|샤샤]] * [[동방 캐논볼]] - [[나즈린]] * [[라그나돌]] - 네네코갓파 * [[로스트아크]] - '''[[니나브]]'''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외전]] - [[사라사 한나]] * [[마법사와 검은 고양이 위즈]] - 아스피나 * [[메멘토 모리(게임)|메멘토 모리]] - [[하토르(메멘토 모리)|하토르]] * [[명조: 워더링 웨이브 ]] - [[단근]] * [[방주지령]] - [[요르문간드(방주지령)|요르문간드]], [[비다르(방주지령)|비다르]], 달의 추방자 [[항아(방주지령)|항아]] * [[백야극광]] - [[디나(백야극광)|디나]], [[오피나]] * [[벽람항로]] - [[쿠퍼(벽람항로)|쿠퍼]] * [[붕괴3rd]] - 클라인 * [[브라운 더스트]] - 코델리아 * [[사우전드 메모리즈]] - 무기 중개상 첼시, 빛의 절단공주 마드리드 누나 * [[승리의 여신: 니케]] - [[아니스(승리의 여신: 니케)|아니스]] * [[아이돌 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 [[이치카와 히나나]] * [[어비스 호라이즌]] - 캐봇, 어드미럴 그라프 쉐페, 포르뱅 * [[영원한 7일의 도시]] - [[세이린]] * [[에픽세븐]] - [[리무루(에픽세븐)]] * [[온게키 SUMMER]] - 히나타 치나츠 * [[온센무스메]] - 유노고 미사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키류인 아오이]]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리코리스]] - '''[[메디나 올티나노스]]''', 미리엄 올티나노스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마왕과 용의 건국담]] - '''[[리무루 템페스트]]''' * [[카운터사이드]] - [[이디스 트윈즈]] * [[케모노 프렌즈 3]] - 시사·레프티 * [[편대소녀]] - 에이미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카리자 * [[테일즈 오브 루미나리아]] - 세리아 아르비에 === 드라마 CD === * [[29세와 JK]] - 미나미사토 카렌 * [[마녀의 여행]] - [[아빌리아]] === 프로젝트 === * [[MILGRAM]] - [[시이나 마히루(MILGRAM)|시이나 마히루]] === 라디오 및 웹 방송 === * 마츠오카 함바그 (어시스턴트) (松岡ハンバーグ) * [[라디오 닷아이|오카사키 미호의 하나 사케! 미호쨩♪]](岡咲美保の花咲け!美保ちゃん♪) (2018년 3분기)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쥬라의 숲 방송국 (転生したらスライムだった件 ジュラの森放送局) * 미호마유(みほまゆ) (2019년 1월 8일 ~)[* [[미네다 마유]]와 공동 진행] * LIVE DAM Ai presents ANISON INSTITUTE 카미라보!(LIVE DAM Ai presents ANISON INSTITUTE 神ラボ!)(2019년~) * 아이돌마스터 샤이니 컬러즈 하바타키 라디오 스테이션(2020년~) * 초!A&G+ 먼슬리 스페셜 오카사키 미호의 미호라지(2021년 1월) * 나카지마 유키 오카사키 미호 만나면 스텐드(2021년 4월 3일~) == 음반 == ||<-4>
'''1st Single 「ハピネス」''' || ||<-4> '''{{{-1 2021년 9월 15일 발매}}}''' || ||<-2> [[파일:KIZM-695.jpg|width=100%&height=100%]] ||<-2> [[파일:KICM-2097.jpg|width=100%&height=100%]] || ||<-2> '''초회한정판''' ||<-2> '''통상판''' || || '''트랙''' || '''곡명''' || '''작사/작곡/편곡''' || '''비고''' || || '''1''' || '''ハピネス[br]해피니스''' || 작사:DECO*27[br]작곡:DECO*27[br]편곡:Rockwell || [[https://youtu.be/eFNuW_fa76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2''' || Popping Moments || 작사:ミズノゲンキ[br]작곡:睦月周平[br]편곡:睦月周平 || [[https://youtu.be/b3Kc_uHCUW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3''' || MY SPIRAL || 작사:真崎エリカ[br]작곡:本多友紀(Arte Refact)[br]편곡:本多友紀(Arte Refact) || [[https://youtu.be/CX2fQBV6R6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4>
'''2nd Single 「ペタルズ」'''[br]TVA [[쟈히님은 기죽지 않아!/애니메이션|{{{#663399 쟈히님은 기죽지 않아!}}}]] 2쿨 ED || ||<-4> '''{{{-1 2021년 11월 3일 발매}}}''' || ||<-2> [[파일:KIZM-703.jpg|width=100%&height=100%]] ||<-2> [[파일:KICM-2107.jpg|width=100%&height=100%]] || ||<-2> '''초회한정판''' ||<-2> '''통상판''' || || '''트랙''' || '''곡명''' || '''작사/작곡/편곡''' || '''비고''' || || '''1''' || '''ペタルズ/PETALS[br]''' || 작사:真崎エリカ[br]작곡:本多友紀(Arte Refact)[br]편곡:脇眞富(Arte Refact) || [[https://youtu.be/fhN-sykLmZ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2''' || 好きじゃないよ || 작사・작곡:DECO*27[br]편곡:Rockwell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3''' || 魔法の言葉 || 작사・작곡・편곡:志村真白(FirstCall)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관련 문서 == * [[성우/일본]] * [[아이돌 마스터/성우]] [[분류:일본 여성 성우]][[분류:일본 여가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오카야마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