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오키나와현 일대와 가고시마현 아마미 군도에서 사용하는 토착 언어를 총칭하는 용어, rd1=류큐어, other2=근현대에 오키나와에서 형성되어 쓰이는 일본어의 방언, rd2=우치나 야마토구치)] [include(틀:일본어족)] >'''ナムウィキ、んな まじゅん すだてぃーる しみぬ きー。'''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나무위키 언어학 프로젝트#s-3.1|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 ||<:><-2> {{{+4 '''沖縄口'''}}} || ||<:><-2> {{{+1 '''오키나와어'''}}} || ||<:><-2> '''언어기본정보''' || ||<:> 주요사용지역 ||<:> [[일본]] '''[[오키나와]]'''|| ||<:> 원어민 ||<:> '''약 40~98만 명'''[* 98만 명은 [[http://www.ethnologue.com/18/language/ryu/|에스놀로그의 2000년 추정치]], 40만 명은 [[http://www.unesco.org/languages-atlas/index.php?hl=en&page=atlasmap|유네스코 위험에 빠진 언어 아틀라스의 추정치]]] || ||<:> 어족 ||<:> '''[[일본어족]][br][[류큐어]]파[br]북류큐어군[br]오키나와어''' || ||<:> [[문자]] ||<:>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 ||<:><-2> '''언어부호'''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1 ||<:> -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2 ||<:> -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3 ||<:> '''RYU''' || ||<:><-2> '''주요 사용 지역'''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36px-Boundaries_of_the_Okinawan_Languages.svg.png|width=200]] [br] 오키나와어 사용 지역(붉은색)[br][[쿠니가미어]] 사용 지역(파란색) || || 오키나와어 || [ruby(沖縄口, ruby=うちなーぐち)] || || [[쿠니가미어]] || ふちなーぐち[br]ふちなーくとぅーば || || [[일본어]] || 沖縄方言[br]沖縄語 || [목차] [clearfi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kishi_First_Public_Market.jpg]] 빨간 글씨로 된 부분이 오키나와어, 파란색은 [[일본어]]. [[오키나와]] [[나하시]] 마키시(牧志) 공설시장에서 찍은 사진이다. 뜻은 '시장에 어서오십시오.'[* 출처는 [[위키미디어 커먼즈]].] [[http://ryukyu-lang.lib.u-ryukyu.ac.jp/srnh/index.html|오키나와어 슈리-나하 방언 사전(일본어판)]]. [[문자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인코딩]]을 'EUC-JP'로 고쳐주면 된다. 2020년 12월 기준 9월 3일부터 지금까지 페이지가 접속이 안되고 있다. == 개요 == '''오키나와어'''(沖縄語, Okinawan language), '''중앙 오키나와어'''(中央沖縄語) 또는 '''중부 오키나와어'''(中部沖縄語)[* 중앙 오키나와어나 중부 오키나와어는 [[영어]]로 Central Okinawan language에 대응된다.]는 [[나하시]] 및 [[슈리#s-3.1]]를 중심으로 [[오키나와]] 현 중부와 남부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현대에는 슈리가 나하의 한 지역으로 합병되었으나, 나하는 항구도시로 서민들이 많이 살았고, 슈리는 [[류큐 왕국]]의 수도로 왕족과 귀족들이 살던 곳이었다. 당연히 두 곳의 언어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류큐어]]의 방언 중 하나 혹은 류큐어파의 하위 언어 가운데 하나이다. 오키나와어로 '''우치나구치'''([ruby(沖縄口, ruby=うちなーぐち)])라고 하며, [[일본어]]나 류큐어의 하위 방언으로 볼 때에는 '''오키나와 방언'''(沖縄方言)이라고 한다. 현지에서는 '섬말'이라는 뜻인 '''시마쿠투바'''(島くとぅば)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 류큐어에 속하는 다른 언어를 포함하여 지칭할 수도 있다. 사용 인구가 많다는 이유 등으로 류큐어의 [[사실상 표준|사실상 표준어]]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오키나와어의 방언 중에서 엄밀한 표준어를 옛 [[류큐 왕국]]의 수도였던 [[슈리#s-2.1]] 방언으로 볼지 현대 오키나와현의 현청 소재지인 [[나하시|나하]][* [[슈리#s-2.1]]가 나하시에 합병돼 있지만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둘을 구분하는 경향이 강하다. 여기서 나하는 나하시청 본청 관할지로 한정한다.] 방언으로 볼지는 이견이 있는 듯하다. [[류큐 왕국]]은 일찍이 일본의 문자 체계([[한자]], [[가나(문자)|가나]])를 받아들였기 때문에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오키나와어 문헌은 많이 남아있다. 가나와 한자를 표기 수단으로 사용한다. 젊은층으로 갈수록 오키나와어를 잘 쓰지 않기 때문에 사어가 될 위기를 겪고 있다. [[유네스코]]의 [[http://www.unesco.org/languages-atlas/index.php?hl=en&page=atlasmap|위험에 빠진 언어 아틀라스]]에서는 오키나와어 구사자 인구를 약 40만 명 정도로 추산하였다. 이 수치는 오키나와 본섬 중남부 인구의 절반에 못 미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기존의 류큐어에 [[일본어]]가 섞여 현지화된 형태를 한 [[우치나 야마토구치]]가 성립되었는데, 일반적으로는 이 문서에서 다루는 우치나구치가 오키나와의 방언으로 인식된다. 류큐어 또는 오키나와어와 우치나 야마토구치의 관계와 비슷한 사례로 [[영국]] [[스코틀랜드]]의 [[스코틀랜드 게일어]]와 [[스코트어]]의 관계를 들 수 있다. == [[류큐어|계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류큐어)] == 역사 == [[류큐 왕국]]의 성군인 [[쇼신 왕]](尚真王, 재위 1476~1526)은 중앙 집권화 정책으로 각지의 호족이었던 [[아지]]들을 수도인 [[슈리]]에 모여살게 하였고 이를 통해 오키나와어(슈리 방언)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류큐 왕국]]에서 오키나와어(특히 슈리 방언)는 사실상의 공용어의 역할을 했다.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에 덧붙여 실린 <어음번역>(語音飜譯)이라는 글에 당시의 오키나와어가 한국어로 어느 정도 번역되어 소개되어 있다. 해동제국기는 1471년에 간행되었고, 어음번역은 1501년 쓰여졌다. 1623년에는 류큐 왕국에 전해져 내려오던 가요들을 모아 가요집 <오모로소시>[* おもろさうし.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썼기 때문에 '오모로사우시'가 아닌 '오모로소시'로 읽는다.]를 완성하였다. 이외에도 여러 공문서, [[류카(시)|류카]](琉歌), [[쿠미오도리]](組踊)등이 슈리 방언으로 만들어졌다. [[한문]]도 많이 썼는데, 대표적인 예가 역사서인 《중산세보》(中山世譜)이다. 이 때의 [[문어체]] 오키나와어는 당시의 [[일본어]]와 닮은 면이 많아서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 익숙한 일본어 화자라면 해독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단, 발음은 아주 달라서 청해는 불가능하다. 차이를 보고 싶다면 [[류카(시)]] 문서의 [[류카(시)#s-3|3. 대표작]] 문서 참고. [[류큐 왕국]]이 [[일본]]에 병합되면서, [[슈리]]의 귀족들이 몰락하였고 슈리 방언도 따라서 그 위세를 잃어버렸다. 대신 항구도시 [[나하시]]의 상인들이 사용하던 나하 방언이 널리 사용되었다. [[슈리]] 방언과 [[나하시]] 방언의 중요한 차이 가운데 하나는 동사 종지형의 차이이다. 슈리 방언은 ゆん을 쓰지만 나하 방언은 いん을 쓴다. <예> 슈리 방언: わかゆん, 나하 방언: わかいん, 일본어: わかる (알다) 여러 오키나와어 교재에서는 오키나와어의 표준으로 슈리 방언을 쓰기도 하고 나하 방언을 쓰기도 한다. [[일본 제국]]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오키나와어는 탄압의 대상이 된다. 일례로 오키나와어를 쓰는 학생에게는 방언찰(方言札)라는 나무판을 매달게 하고 수치심을 주는 처벌이 이루어졌다. 이는 [[한국어]]나 [[일본]] 내 다른 방언에 대해서도 적용되었다. 한편 오키나와인이 본토 일본인과 동등한 지위를 얻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일본어]]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도 있었다. 1940년부터는 오키나와어를 비롯한 [[류큐어]] 사용이 금지되었는데, 당시 오키나와를 방문했던 민예학자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悦)[* [[대한민국|한국]]에는 조선 도자기 사랑,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철거 반대 등으로 알려져 있다.]는 이를 문화 탄압이라고 비판하였다. 이에 대해서 한편으로는 류큐어를 애완하는 것이냐며 반발이 일어났고, 이러한 갈등을 방언논쟁(方言論争)이라고 부른다. 그리하여 오키나와의 문화를 보존하고 연구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는데, 오키나와학(沖縄学)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하 후유(伊波普猷)가 <오모로소시>를 연구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오키나와 전투]] 이후 [[미군]]이 진주하면서, 표준 일본어를 기반으로 오키나와어가 섞이고 미군 기지의 [[영어]] 어휘가 많이 유입된 [[우치나 야마토구치]]라는 신종 방언이 생겨나기도 했다. 현대에도 오키나와어로 된 [[오키나와 음악]]이 인기를 끌기도 하고, [[쿠미오도리]](組踊)와 같은 전통 연극에도 오키나와어가 쓰이고 있다. 류큐 대학의 국제언어문화학과 등에서도 연구를 계속하는 중. 그러나 오키나와에서는 본토의 [[일본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오키나와 방언의 실제 사용 인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라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그나마 다른 [[류큐어]]들보다는 낫다는 것이 위안이다. 오키나와 출신의 젊은 세대는 대부분 오키나와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하며 '하이사이'나 '멘소레' 같은 기본 인삿말만 --배워서-- 아는 수준. 이로 인한 이미지 때문에 본토로 올라간 오키나와인이 대학 등 모임과 같은 자리에서 오키나와 출신이라고 밝히면 본토 출신들이 높은 확률로 오키나와어를 할 수 있냐고 물어본다고 한다.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오키나와어 위키백과 실험판인 [[https://incubator.wikimedia.org/wiki/Wp/ryu/%E3%83%A1%E3%82%A4%E3%83%B3%E3%83%9A%E3%83%BC%E3%82%B8|오키나와어 위키백과 인큐베이터]]가 운영되고 있다. == 음운 == 오키나와어의 음운은 본토 [[일본어]]와 어느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오키나와어는 다음과 같은 음소를 사용한다. * 모음: /i, e, a, o, u/ * [[일본어]]의 모음 체계가 あ\[a\], い\[i\], '''う\[ɯᵝ\]''', え\[e\], お\[o\]의 다섯 모음으로 구성된 것과 흡사하게 오키나와어도 あ\[a\], い\[i\], '''う\[u\]''', え\[e\], お\[o\]의 다섯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차이를 보이는 부분은 う인데, 본토 일본어에서 う의 발음은 한국어 '우'와 '으'의 중간 발음인 \[ɯᵝ\](원순화된 후설 평순 고모음)에 가깝지만, 오키나와어에서는 한국어 '우'처럼 \[u\](후설 원순 고모음)으로 발음한다. * 자음: /p, b, t, d, k, g, ʔ, s, z, h, r, m, n/ * 한국인이나 본토 일본인에게 있어서 최고 난관은 ʔ([[성문음|성문 파열음]])이 될 것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숫자 2와 알파벳 E를 발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면 덜 어려울 듯. 2는 \[i\]이고, E는 \[ʔi\]이다. [[중세국어]]의 [[ㆆ]]와 같은 발음이다. * 일본어 [[50음도]]의 た행은 자음이 \[t\]와 \[ts\]가 섞여서 たちつてと는 \[ta\]\[tɕi\]\[tsɯᵝ\]\[te\]\[to\]가 되지만, 오키나와어에서는 た'''てぃとぅ'''てと \[ta\]\[ti\]\[tu\]\[te\]\[to\]를 사용하며, \[ts\] 발음은 따로 구분하여 つぃ\[tsi\]와 つ\[tsu\]를 사용한다. * は행은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ひ\[çi\], ふ\[ɸu\]와 같이 발음이 변한다. ふぁ\[ɸa\], ふぃ\[ɸi\], ふぇ\[ɸe\]의 형태로도 사용된다. * 반모음: /j, w/ * [[일본어]]에서는 わ\[wa\]로만 사용하는 \[w\] 발음을 다양하게 사용한다. * 박절음소: /N, Q/ * 각각 일본어의 ん(비음)과 っ(촉음)에 해당한다. 일본어와 다른 점은 어두(語頭)에 나오기도 한다는 점. === 본토 일본어와의 대응 === 전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오키나와어 단어는 본토 일본어가 일정한 규칙에 의한 음운변화를 거친 것이다. ||[[일본어]]||오키나와어||예시||비고|| ||え||い||ふね→ふに 배(船)||<|2>삼모음 원칙[* 모음 체계가 [a\], [i\], [u\]라는 극단적 무표(unmarked) 모음들로 재편된다. 이에 따라 [e\]는 [i\]가 되고, [o\]는 [u\]가 된다. 이는 여타 언어에서도 종종 보이는데, 아랍어 단어인 무슬림(Muslim)과 모슬렘(Moslem)이 함께 통용되는 현상과도 유관하다.]|| ||お||う||ほし→ふし 별(星)|| ||あい||<|2>えー||だい→でー 대(台)|| || ||あえ||まえ→めー 앞(前)|| || ||あう||<|2>おー||かう→こーゆん[* 동사의 어미는 대응되지 않는다.] 사다(買)|| || ||あお||あお→おー 청색(靑)|| || ||か행||<|2>ちゃ행||いか→いちゃ [[오징어]]||<|4>[[구개음화]]|| ||た행||した→しちゃ 아래(下)|| ||が행||<|2>じゃ행||くぎ→くじ 못(釘)|| ||だ행||あしだ→あしじゃ [[나막신]](足駄)|| ||す||し||すぐ→しぐ 곧|| || ||つ||ち||つなひき→ちなひち [[줄다리기]](綱引き)|| || ||り||い||つもり→ちむい 속셈, 의도(積り) || || ||あわ||あー||あわ→あー 거품(泡)|| || [[나하시|나하]] 방언에서는 D음이 R음으로 변화하여 だ행과 ら행이 합해지기도 한다. ||[[일본어]]||오키나와어 [[나하시|나하]] 방언||예시|| ||だ||ら||だし→らし 국물, 육수(出汁)|| ||で||り||そで→すり 소매(袖)|| ||ど||る||どく→るく 독(毒)|| == 표기법 == 오키나와어는 대부분의 경우 [[가나(문자)|가나]]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 가나의 표기법이 하나로 정해져 있지는 않다. 지금은 [[일본어]]에서 폐기처분된 문자도 쓰며, 심지어 [[히라가나]]를 변형해 새로운 보조문자를 만든 경우도 있다. [[https://ja.wikipedia.org/wiki/%E6%B2%96%E7%B8%84%E6%96%B9%E8%A8%80%E3%81%AE%E8%A1%A8%E8%A8%98%E4%BD%93%E7%B3%BB|#일본어 위키백과 문서]] 여기서는 [[류큐대학]] 표기법[* 위에 나온 주소의 오키나와어 사전도 류큐대학 표기법을 쓴다.]을 쓰도록 한다. 괄호 안은 일치하거나 비슷한 [[한국어]] 발음이다. ~~[[성문음|성문음(ʔ)]] 발음은 답이 없다~~ 이미 [[국제음성기호]] 표기가 있으므로 한글 표기는 현대 한국어에 쓰이는 글자만으로 비슷하게만 적도록 한다. 오키나와어는 전통적으로 [[히라가나]]를 써서 기록하였으며, 가끔 [[한자]]가 섞이기도 했다. 그리고 [[가타카나]]의 사용은 드문 편이었다. 하지만 현대에는 주로 본토 일본어로 된 서적을 통해 오키나와어가 소개되고 있으며, 히라가나로 쓰여진 [[일본어]] 내용과 구분하기 위해 오키나와어를 가타가나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오키나와어로만 글을 쓸 때에는 히라가나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Ø[* 자음 음가 없음] || あ / ア[br]\[a\] (아) || ゐ / ヰ[br]\[i\]\[ji\] (이) || をぅ / ヲゥ[br]\[u\]\[wu\] (우) || え / エ[br]\[e\]\[je\] (에, 예) || を / ヲ[br]\[o\]\[wo\] (오) || || [[경구개음|j]] || や / ヤ[br]\[ja\] (야) || || ゆ / ユ[br]\[ju\] (유) || || よ / ヨ[br]\[jo\] (요) || || w || わ / ワ[br]\[wa\] (와) || ゑぃ / ヱィ[br]うぃ / ウィ[br]\[wi\] (위) || || ゑ / ヱ[br]うぇ / ウェ[br]\[we\] (웨) || || || [[성문음|ʔ]][* 다쳐서 '아야!'하고 외칠 때 '아'에 들어있는 소리. 혹은 높은 음으로 악센트를 주어도 비슷하다. 자세한 건 [[성문음]] 항목 참조.] || あ / ア[br]\[ʔa\] (아) || い / イ[br]\[ʔi\] (이) || う / ウ[br]\[ʔu\] (우) || いぇ / イェ[br]\[ʔe\] (에) || お / オ[br]\[ʔo\] (오) || || ʔj || いゃ / イャ[br]\[ʔja\] (야) || || いゅ / イュ[br]\[ʔju\] (유) || || いょ / イョ[br]\[ʔjo\] (요) || || ʔw || うゎ / うゎ[br]\[ʔwa\] (와) || うゐ / ウヰ [br]\[ʔwi\] (위) || || うぇ / ウェ[br]\[ʔwe\] (웨) || || || [[연구개음|k]] || か / カ[br]\[ka\] (카) || き / キ[br]\[ki\] (키) || く / ク[br]\[ku\] (쿠) || け / ケ[br]\[ke\] (케) || こ / コ[br]\[ko\] (코) || || kw || くゎ / クヮ[br]\[kwa\] (콰) || くゐ / クヰ[br]\[kwi\] (퀴) || || くぇ / クェ[br]\[kwe\] (퀘) || || || [[연구개음|g]] || が / ガ[br]\[ga\] (가) || ぎ / ギ[br]\[gi\] (기) || ぐ / グ[br]\[gu\] (구) || げ / ゲ[br]\[ge\] (게) || ご / ゴ[br]\[go\] (고) || || gw || ぐゎ / グヮ[br]\[gwa\] (과) || ぐゐ / グヰ[br]\[gwi\] (귀) || || ぐぇ / グェ[br]\[gwe\] (궤) || || || [[치경음|s]], [[후치경음|ʃ]] || さ / サ[br]\[sa\] (사) || し / シ[br]すぃ / スィ[br]\[ʃi\][si\] (시) || す / ス[br]\[su\] (수) || しぇ / シェ[br]せ / セ[br]\[ʃe\][se\] (셰, 세) || そ / ソ[br]\[so\] (소) || || ʃ || しゃ / シャ[br]\[ʃa\] (샤) || || しゅ / シュ[br]\[ʃu\] (슈) || || しょ / ショ[br]\[ʃo\] (쇼) || || [[치경음|dz]] || ざ / ザ[br]\[dza\] (자) || づぃ / ヅィ[br]\[dzi\] (지) || ず / ズ[br]\[dzu\] (주) || ぜ / ゼ[br]\[dze\] (제) || ぞ / ゾ[br]\[dzo\] (조) || || [[후치경음|dʒ]] || じゃ / ジャ[br]ぢゃ / ヂャ[br]\[dʒa\] (자) || じ / ジ [br]ぢ / ヂ[br]\[dʒi\] (지) || じゅ / ジュ[br]ぢゅ / ヂュ[br]\[dʒu\] (주) || じぇ / ジェ[br]ぢぇ / ヂェ[br]\[dʒe\] (제) || じょ / ジョ[br]ぢょ / ヂョ[br]\[dʒo\] (조) || || [[치경음|t]] || た / タ[br]\[ta\] (타) || てぃ / ティ[br]\[ti\] (티) || とぅ / トゥ[br]\[tu\] (투) || て / テ[br]\[te\] (테) || と / ト[br]\[to\] (토) || || [[치경음|d]] || だ / ダ[br]\[da\] (다) || でぃ / ディ[br]\[di\] (디) || どぅ / ドゥ[br]\[du\] (두) || で / デ[br]\[de\] (데) || ど / ド[br]\[do\] (도) || || [[후치경음|tʃ]] || ちゃ / チャ[br]\[tʃa\] (차) || ち / チ[br]\[tʃi\] (치) || ちゅ / チュ[br]\[tʃu\] (추) || ちぇ / チェ[br]\[tʃe\] (체) || ちょ / チョ[br]\[tʃo\] (초) || || [[치경음|ts]] || || つぃ / ツィ[br]\[tsi\] (치) || つ / ツ[br]\[tsu\] (추) || || || || [[치경음|n]] || な / ナ[br]\[na\] (나) || に / ニ[br]\[ni\] (니) || ぬ / ヌ[br]\[nu\] (누) || ね / ネ[br]\[ne\] (네) || の / ノ[br]\[no\] (노) || || nj || にゃ / ニャ[br]\[nja\] (냐) || || にゅ / ニュ[br]\[nju\] (뉴) || || || || [[성문음|h]], [[경구개음|ç]], [[양순음|ɸ]] || は / ハ[br]\[ha\] (하) || ひ / ヒ[br]\[çi\] (히) || ふ / フ[br]\[ɸu\] (후) || へ / ヘ[br]\[he\] (헤) || ほ / ホ[br]\[ho\] (호) || || ç || ひゃ / ヒャ[br]\[ça\] (햐) || || ひゅ / ヒュ[br]\[çu\] (휴) || || ひょ / ヒョ[br]\[ço\] (효) || || ɸ || ふぁ / ファ[br]\[ɸa\] (화) || ふぃ / フィ[br]\[ɸi\] (휘) || || ふぇ / フェ[br]\[ɸe\] (훼) || || || [[양순음|b]] || ば / バ[br]\[ba\] (바) || び / ビ[br]\[bi\] (비) || ぶ / ブ[br]\[bu\] (부) || べ / ベ[br]\[be\] (베) || ぼ / ボ[br]\[bo\] (보) || || bj || びゃ / ビャ[br]\[bja\] (뱌) || || びゅ / ビュ[br]\[bju\] (뷰) || || びょ / ビョ[br]\[bjo\] (뵤) || || [[양순음|p]] || ぱ / パ[br]\[pa\] (파) || ぴ / ピ[br]\[pi\] (피) || ぷ / プ[br]\[pu\] (푸) || ぺ / ペ[br]\[pe\] (페) || ぽ / ポ[br]\[po\] (포) || || pj || ぴゃ / ピャ[br]\[pja\] (퍄) || || ぴゅ / ピュ[br]\[pju\] (퓨) || || ぴょ / ピョ[br]\[pjo\] (표) || || [[양순음|m]] || ま / マ[br]\[ma\] (마) || み / ミ[br]\[mi\] (미) || む / ム[br]\[mu\] (무) || め / メ[br]\[me\] (메) || も / モ[br]\[mo\] (모) || || mj || みゃ / ミャ[br]\[mja\] (먀) || || みゅ / みゅ[br]\[mju\] (뮤) || || みょ / ミョ[br]\[mjo\] (묘) || || [[치경음|r]] || ら / ラ[br]\[ra\] (라) || り / リ[br]\[ri\] (리) || る / ル[br]\[ru\] (루) || れ / レ[br]\[re\] (레) || ろ / ロ[br]\[ro\] (로) || || || ん / ン[br]\[m\]\[n\]\[ŋ\]\[ɴ\][br](ㅁ, ㄴ, ㅇ 받침) || っ / ッ[br]\[p\]\[s\]\[ʃ\]\[t\]\[k\] [br](ㅂ, ㅅ[* [ʃ\] 앞에서 [ʃ\]로 발음됨.], ㄷ, ㄱ 받침) || || || || == [[오키나와어/문법|문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키나와어/문법)] == 몇몇 표현들 == 아래는 [[오키나와]] 토박이인 피자 바이런[* 미일 혼혈이지만 오키나와에서 나고 자랐다.]의 오키나와어 강의. 완강되어 있지는 않지만 [[일본어]]를 어느정도 구사할 수 있다면 배울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youtube(lOTK3IecqPs)] * [[엄마]] ㅡ あんまー(안마)[* 한국어의 '[[엄마]]'와 꽤 비슷한 수준의 발음이어서 언어학자들이 한국어와 일본어간 미싱링크일지도 모른다는 떡밥을 제공하였으나, 우연의 일치로 보고 있다. 세계 언어 대부분에서 어머니를 뜻하는 단어는 ㅁ 비슷한 소리가, 아버지를 뜻하는 소리는 ㅂ 비슷한 소리가 들어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족 호칭은 어족 관계를 연구할 때 고려하지 않는다.] * [[머리]] ㅡ ちぶる(치부루)[* 이 단어가 [[울트라 세븐]] 9화에서 등장한 [[두뇌성인 치불 성인]]의 유래가 되었다. 당시, 에피소드 각본가인 [[우에하라 쇼조]]가 오키나와 출신이었기 때문.] * [[고구마]] ㅡ っんむ(ʔm̩mu)[* [[일본어]]로는 [[https://hougen.ajima.jp/e373|ンム(んむ)]]라고 표기한다.] * 어서 오세요. ㅡ めんそーれー(멘소레) * 안녕하세요? ㅡ はいさい(하이사이, 남성어) / はいたい(하이타이, 여성어) * 어떻게 지내세요? ㅡ 頑丈やいびーみ? (간주 야이비미?) * 이름이 무엇입니까? ㅡ う名前や何やいびーが? (우나메야 누 야이비가?) * 제 이름은 OO입니다. ㅡ 我んねーOO言ちょーゐびん (완네 OO 잇쵸이빈) * 안녕히 주무세요. ㅡ う憩いみしぇーびり (우유쿠이미셰비리) * 이것은 무엇입니까? ㅡ クレー ヌーヤイビーガ? (쿠레 누 야이비가?) * 잘 먹겠습니다. ㅡ くゎっち一さびら (쾃치사비라) * 잘 먹었습니다. ㅡ くゎっち一さび一たん (쾃치사비탄) * 못 알아들었습니다. ㅡ 分かやびらん (와카야비란) * 실례합니다. ㅡ 御無礼さびたん (구부리사비탄) * 죄송합니다. ㅡ 悪さいびーん (왓사이빈) * 감사합니다. ㅡ 御拝でーびーる (니훼데비루)[* [[미야코어]]로는 "탄디가-탄디" 라는 표현을 쓴다.] * 사랑합니다. ー かなさんどー (카나산도) * 안녕히 계세요. ㅡ 行じ来ゃーびら (은지차비라) * 여러분. ぐすーよー【御総様】 (구스 - 요 - )[* 요 에서 음을 내린다.] * 처음 뵙겠습니다. * はじみてぃをぅがなびら【初みてぃ拝なびら】 (하지미티 우가나비라)[* '우' 발음시 wu로 발음한다.]-제일 정중한 인사 * はじみてぃやーさいー【初みてぃやーさゐ】 (하지미티 야 - 사이) - イキガ(男)의 보통인사 * はじみてぃやーたいー【初みてぃやーたゐ】 (하지미티 야 - 타이) - イタグ(女)의 보통인사 * はじみてぃやー【初みてぃやー】 (하지미티 야-) - 남녀 공통 손아랫사람에게 인사법 == 들어보기 == [youtube(oUdFDlZBGeo)] 오키나와음악가운데 가장 유명한 <[[하이사이 오지상]]>(ハイサイおじさん). 가사는 해당문서에서 확인 가능하다. [youtube(gtMsjw1misE)] 오키나와어로만 구사하는 오키나와의 부동산지역광고. [youtube(oXKDWMSKsLA)] 오키나와어와 일본어의 차이를 활용한 부동산지역광고. [youtube(GCOHcdozOTE)] 1998년쯤 나온 쿠메지마노쿠메센 주조의 25도 [[아와모리|쿠스]] '비(び)' 광고, 오키나와어에 일본어 자막이 붙었다. [youtube(-azFAf-W_yI)] <[[Amazing grace|Amazing Grace]]>의 오키나와어 버전. 처음에는 영어로 하다가 54초 경부터는 오키나와어로 부른다. [youtube(qlzAYQYzpHU)] [[겨울왕국]] 중 <[[Let It Go]]>의 오키나와어판 [youtube(RT6BStCG5J8)] [[겨울왕국]] 중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repirse)>의 오키나와어판 ~~이게 무슨 소리야?~~ ~~[[제주말]]?~~ [youtube(Qn7J9clWODA)] 밴드 [[BEGIN]]이 부른 영화 [[눈물이 주룩주룩]]의 삽입곡, [[涙そうそう]]의 오키나와어판. 제목도 오키나와어이다. [youtube(RCJzW-OUvpc)] 류큐왕국의 전통극 [[쿠미오도리]](組踊)의 한 작품인 니도티치우치(二童敵討)의 도입부. (대사 시작은 54초 경 부터.) [[분류:개별 언어]][[분류:일본어]][[분류:류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