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10px; margin-bottom:-10px" ||<-2> [[파일:1200px-Autechre_Logo.png|width=80]] ||'''{{{+1 오테커}}}'''[br]Autechre | オウテカ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utechre.jpg|width=100%]]}}}|| ||<:>'''{{{#fff 국적}}}'''||[[파일:영국 국기.svg|width=28]] [[영국]]|| ||<:>'''{{{#fff 결성}}}'''||[[1987년]] 영국 [[그레이터 맨체스터]] 주 [[로치데일]]|| ||<:>'''{{{#fff 멤버}}}'''||션 부스(Sean Booth)[* 본명은 션 앤서니 부스(Sean Anthony Booth). 1972년 출생.][br]롭 브라운(Rob Brown)[* 본명은 로버트 존 브라운(Robert John Brown). 1971년 출생.]|| ||<:>'''{{{#fff 활동 시기}}}'''||[[1987년]] ~ 현재|| ||<:>'''{{{#fff 데뷔}}}'''||EP 《Lego Feet》^^^(1991년)^^^[br]정규 《Incunabula》^^^(1993년 11월 29일)^^^ || ||<:>'''{{{#fff 장르}}}'''||[[IDM]], [[글리치]], [[앰비언트 뮤직|앰비언트]], 실험음악|| ||<:>'''{{{#fff 레이블}}}'''||[[워프 레코즈|Warp Records]], Skam Records, Wax Trax! Records[* 이전에는 TVT Records, Nothing Records에도 소속되어 있었으나 둘 다 해체되었다. 여담으로 두 소속사는 [[나인 인치 네일스]]와 연관되어 있었다.]|| [목차] [clearfix] == 소개 == [[파일:external/3.bp.blogspot.com/atcucre.jpg|width=500]] 영국의 일렉트로니카 듀오. [[IDM]] 장르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레이블인 [[워프 레코즈]]에서 [[에이펙스 트윈]], [[스퀘어푸셔]], [[LFO#s-2]]와 함께 90년대 중후반 최고의 인기를 구사했으며, 현재까지도 작품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게스콤과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사이드 프로젝트 앨범을 내기도 하는 등 여러모로 감상용 일렉트로니카 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뮤지션이다. 오테커의 음악 스타일을 이야기하자면, '빡세다' 한 마디로 정리할 수 있다. 동료 뮤지션이자 마찬가지로 슈퍼스타였던 [[에이펙스 트윈]] 역시 이성적이고 차가운 질감의 사운드가 특징이지만 곡에서 멜로디만 떼 놓고 들으면 섬세하고 아름답게 느껴지는 것과는 달리, 이쪽은 거칠고 투박한데다 때로는 귀에 거슬릴 정도의 기계적이고 차가운 사운드의 극단을 추구한다. 하지만 그렇게 낯선 소리가 '미래적' 이고 '신선하게' 느껴졌기 때문에 역으로 엄청나게 인기를 끈 케이스. 또한 본인들이 특정 장르로 구분되는 것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기도 했고,[* [[에이펙스 트윈]] 또한 '장르를 굳이 세분화하는 건 그리 달갑지가 않다.' 고 말했다.] 음반마다 음악적 스타일이 지속적으로 바뀐다. 주로 점점 빡세지는 방향으로(...). 그 때문에 장르의 팬들은 열광하지만 평론가들은 난해함을 이유를 들어 다소 점수를 짜게 주는 경향이 있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앨범 === ==== Incunabula ==== [[파일:Incunabula_19931129.jpg|width=500]] 1993년 11월 29일 발매된 데뷔 앨범으로 초창기 [[IDM#s-1|IDM]]의 특징인 애시드 테크노의 영향이 짙은 작품. 이후 발매되는 앨범들하고는 비교적으로 댄서블하고 규칙적인 리듬이 돋보이며, 빡센 음악을 다룬 것도 아니라서 초심자들도 쉽게 접근이 가능한 앨범이기도 하다. 앨범에 대한 평가도 좋은데 올뮤직에서 별 5개 만점의 4.5개를 받았고 피치포크에서 10점 만점의 8.2점을 줬다. 앨범의 이름은 현존하는 16세기 이전에 인쇄된 책을 뜻하는 단어인 '인쿠나불라(Incunabula)' 를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silver 트랙}}}''' || '''{{{#silver 곡명}}}''' || '''{{{#silver 길이}}}''' || || 1 ||Kalpol Introl || 3:18 || || 2 ||Bike'''^^^{{{#red Title}}}^^^''' || 7:57 || || 3 ||Autriche || 6:53 || || 4 ||Bronchus 2 || 3:33 || || 5 ||Basscadet'''^^^{{{#red Title}}}^^^''' || 5:23 || || 6 ||Eggshell || 9:01 || || 7 ||Doctrine || 7:48 || || 8 ||Maetl || 6:32 || || 9 ||Windwind || 11:15 || || 10 ||Lowride || 7:15 || || 11 ||444 || 8:55 || ||<-3> '''{{{#silver {{{-2 총 러닝타임 - 01:17:50}}}}}}'''|| ==== Amber ==== [[파일:Amber.jpg]] 1994년 11월 7일 발매된 [[앰비언트]]적 색깔이 짙어진 작품. 오테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커버 사진의 배경은 [[튀르키예]]에 있는 [[카파도키아]]라고 한다. [[http://twitpic.com/4vdk3p|참조링크]] ==== Tri Repetae ==== ||<#fff,#fff> [[피치포크|[[파일:피치포크 로고.svg|width=100%]]]] || '''[[피치포크|{{{#000,#fff 피치포크 선정 역대 최고의 IDM 앨범}}}]][br]{{{+4 3위}}}''' || [[파일:external/media.tumblr.com/tumblr_inline_mkurliRGKv1qz4rgp.jpg|width=500]] 1995년 11월 6일 발매된 [[IDM#s-1|IDM]]의 전성기를 대표하는 명반. 미국에서는 EP인 의 수록곡으로 구성된 보너스 디스크를 포함시킨 로 나왔으며 1996년 3월 16일에 TVT Records와 Wax Trax! Records를 통해 발매되었다. 하드코어한 IDM 사운드의 정점을 보여주는 앨범이라고 할 수 있으며 황동색 배경만 덜렁 있는 앨범 아트 또한 업계에서 두고두고 회자된다.[* 위 앨범 아트는 미국 발매반이며, 영국 발매반은 약간 녹이 섞인 듯한 배경이다.] 평가도 올뮤직에서 만점을, 피치포크에서 10점 만점의 9점을, 롤링 스톤지에서 별 5개 만점의 4개를 받는 등 아주 좋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2017년 피치포크 선정 최고의 IDM 앨범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한 바 있다.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길이}}}''' || || 1 ||Dael'''^^^{{{#red Title}}}^^^''' || 6:39 || || 2 ||Clipper'''^^^{{{#red Title}}}^^^''' || 8:34 || || 3 ||Reterel || 7:08 || || 4 ||Rotar || 8:04 || || 5 ||Stud || 9:40 || || 6 ||Eutow'''^^^{{{#red Title}}}^^^''' || 4:15 || || 7 ||C/Pach || 4:39 || || 8 ||Gnit || 5:49 || || 9 ||Overand || 7:33 || || 10 ||Rsdio || 10:08 || ||<-3> '''{{{#000 미국반 보너스 디스크}}}'''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99ffcc,#ccffcc)" ''{{{#000 {{{-2 '''Anvil Vapre'''}}}}}}''}}} || || 1 ||Second Bad Vilbel || 9:47 || || 2 ||Second Scepe || 7:45 || || 3 ||Second Scout || 7:23 || || 4 ||Second Peng || 10:54 || ||<-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cc6699,#333399)" ''{{{#fff {{{-2 '''Garbage'''}}}}}}''}}} || || 5 ||Garbagemx36 || 14:10 || || 6 ||PIOBmx19 || 7:37 || || 7 ||Bronchusevenmx24 || 9:44 || || 8 ||Vletrmx21|| 8:27 || ||<-3> '''{{{#000 {{{-2 총 러닝타임 - 1:12:29 | 2:28:16^^^(미국 발매반)^^^}}}}}}'''|| ==== Chiastic Slide ==== [[파일:external/www.ratsnest.com/Autechre%20-%20Chiastic%20Slide.jpg]] ==== LP5 ==== [[파일:LP5.jpg]] 1998년 7월 13일 발매된 [[IDM]]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글리치]] 장르로의 변신을 시도한 작품. 역시 오테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 Confield ==== [[파일:Confield.jpg]] 2001년 4월 30일 발매된 리듬의 불규칙성과 사운드 질감의 괴상함이 극에 달한 앨범. 팬들 사이에선 인기가 많지만 초심자가 듣기엔 어렵다. ==== Draft 7.30 ==== [[파일:external/cdn.albumoftheyear.org/draft-730.jpg]] ==== Untilted ==== [[파일:Untilted_20050418.jpg|width=500]] 2005년 4월 18일 발매된 정규 8집. 전작들보다 더 빡세고 정신없는 사운드를 구사한 앨범이며, 글리치를 적극 활용한 느낌이 많이 난다. 이전의 댄서블한 모습은 없어졌지만 리듬이 잡혀있으며, 규칙과 불규칙을 오가는 사운드를 추구했다. 이전보다 사운드가 더 빡센 쪽으로 바뀌어버렸지만 평점 매체들은 평가를 대부분 괜찮게 줬다. 메타크리틱에서 69점을 줬고, 피치포크에서 10점 만점의 7.6점을 줬으며, 대부분의 일렉트로니카 앨범들이 이런 점수를 받거나 이보다 더 낮게 받는다는 걸 생각하면 그나마 괜찮은 점수이다.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길이}}}''' || || 1 ||LCC'''^^^{{{#red Title}}}^^^''' || 7:46 || || 2 ||Ipecial Section || 9:57 || || 3 ||Pro Radii'''^^^{{{#red Title}}}^^^''' || 8:42 || || 4 ||Augmatic Disport || 9:27 || || 5 ||Iera || 4:55 || || 6 ||Fermium || 5:45 || || 7 ||The Trees || 7:26 || || 8 ||Sublimit || 15:52 || ||<-3> '''{{{#fff 일본반 보너스 트랙}}}''' || || 9 ||Zurich 2001 || 1:51 || ||<-3> '''{{{#fff {{{-2 총 러닝타임 - 1:09:50 | 1:11:41^^^(일본 발매반)^^^}}}}}}'''|| ==== Quaristice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quaristice.jpg]] 2008년 3월 3일 발매된 정규 9집. 오테커의 과거 음악 스타일이 혼재하는 앨범으로 [[앰비언트]]와 [[IDM]], [[테크노]] 등 다양한 장르가 섞여있다. ==== Oversteps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utechre_-_Oversteps.jpg]] 2010년 3월 22일 발매된 커리어 중에서 [[앰비언트]]의 비중이 가장 높은 작품. ==== Exai ==== [[파일:external/cdn4.pitchfork.com/f921262d.png]] 2013년 3월 4일 발매된 전성기 시절인 LP5와 Confield와 음악적 색깔이 유사한 앨범이다. ==== elseq 1-5 ==== [[파일:external/factmag-images.s3.amazonaws.com/autechreelseq-5.24.2016.jpg|width=600]] 2016년에 5개의 씨디를 하나로 모아 발매했는데, 모든 곡을 다 합치면 무려 247분이라는 경악스러운 러닝 타임을 가진 앨범이다. 특히 elseq 1과 elseq 4가 평단에 호평받는 중. ==== SIGN ==== ==== PLUS ==== === [[익스텐디드 플레이|EP]] === ==== Lego Feet ==== [[파일:legofeet_1991.jpg]] 1991년 Lego Feet 명의로 스캄 레코드(Skam Records)에서 발매한 동일한 명의의 첫 번째 음반이자 EP. 초판은 LP만, 리마스터판은 CD, LP, 다운로드로 발매되었으며, 스캄에서 나온 첫 번째 음반이기도 하다. 트랙 리스트는 몇몇 트랙들 빼고는 전부 무제(untitled)이며, 2011년 리마스터판은 총 Part 4까지 있다. 여담이지만 초판보다 리마스터판의 러닝타임이 더 길다.[* 초판은 37분 21초, 리마스터판은 1시간 13분 51초로 두 배 이상 차이난다.] 트랙 리스트(리마스터판 기준)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길이}}}''' || || 1 ||Part 1 || 19:42 || || 2 ||Part 2 || 17:20 || || 3 ||Part 3 || 21:46 || || 4 ||Part 4 || 15:03 || ==== Cavity Job ==== ==== Basscad, ==== [[파일:basscad,.jpg|width=500]] 1994년 4월 25일 발매된 정규 1집 Incunabula의 5번 트랙 Basscadet을 다시 믹싱한 다섯 가지 버전이 수록된 음반. 트랙 리스트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길이}}}''' || || 1 ||Basscadet (Bcdtmx) || 6:49 || || 2 ||Basscadet (Beaumonthannanttwomx) || 8:14 || || 3 ||Basscadet (Seefeelmx) || 6:51 || || 4 ||Basscadet (Tazmx) || 6:54 || || 5 ||Basscadet (Basscadubmx) || 9:37 || ==== Anti ==== [[파일:anti_1994.jpg|width=500]] 1994년 9월 3일에 발매된 음반. 트랙 리스트는 3곡으로 싱글 앨범 수준이지만 러닝타임이 길어 EP가 되었다. 빠른 비트를 구사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며, 전체적으로 몽환적인 차가움이 느껴지는 게 특징이다. 트랙 리스트 ||
'''{{{#ff9900 트랙}}}''' || '''{{{#ff9900 곡명}}}''' || '''{{{#ff9900 길이}}}''' || || 1 ||Lost || 7:24 || || 2 ||Djarum || 7:19 || || 3 ||Flutter || 9:57 || ==== Garbage ==== [[파일:garbage.jpg|width=500]] 1995년 2월 27일 발매된 음반. 이 때부터 조금씩 빡세지는 방향으로 가기 시작했으며, 복잡한 댄서블함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트랙들은 3집 Tri Repetae의 미국 발매반에 확장판으로 들어갔다. 트랙 리스트 ||
'''{{{#cc6699 트랙}}}''' || '''{{{#cc6699 곡명}}}''' || '''{{{#cc6699 길이}}}''' || || 1 ||Garbagemx || 14:11 || || 2 ||PIOBmx || 7:37 || || 3 ||Bronchusevenmx || 9:44 || || 4 ||VLetrmx || 8:27 || ==== Anvil Vapre ==== [[파일:anvilvapre.jpg|width=500]] 1995년 10월 2일에 발매된 음반. 90년대 IDM의 진수를 보여주는 음반이며, 그들이 최고의 인기를 누리기 시작한 것도 이 때부터이며, 1번 트랙 'Second Bad Vilbel' 은 현재까지 IDM 명곡 중 하나로 회자되고 있다. 3집 Tri Repetae의 미국 발매반에 Garbage와 함께 확장판으로 들어갔다. [youtube(g6zT3kVtpHc)] 오테커의 대표곡 'Second Bad Vilbel' 트랙 리스트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길이}}}''' || || 1 ||Second Bad Vilbel || 9:47 || || 2 ||Second Scepe || 7:45 || || 3 ||Second Scout|| 7:23 || || 4 ||Second Peng || 10:53 || ==== Keynell / Keynell ==== ==== We R Are Why / Are Y Are We? ==== ==== Envane ==== ==== Cichlisuite ==== ==== Peel Session ==== ==== Ep7 ==== ==== Peel Session 2 ==== ==== Gantz Graf ==== ==== L-event ==== === 라이브 앨범 === ==== NTS Sessions 1-4 ==== [[파일:98703-1.jpg|width=600&height=600]] NTS 라디오에서 공연한 것들을 모은 앨범이다. === 참여 앨범 === 거의 대부분의 워프 레코즈의 단체 앨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Artificial Intellegence (1992.07.06.)[* 오테커의 워프 레코즈 합류 이후 첫 번째로 참여한 음반이다.] * Artificial Intellegence II (1994.05.30.) * We Are Reasonable People (1998.06.29.) * Warp 10+3 Remixes (1999.10.11.) [[분류:영국의 음악가]][[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남성 듀오]][[분류:1987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1991년 데뷔]][[분류:I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