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페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36px-GiorcesRossini1.jpg]] '''작곡가 로시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a_Malibran_%28Maria%29_par_F._Bouchot.jpg]] '''로시니 오텔로 초연 당시 데즈데모나역을 맡은 메조 소프라노 마리아 말리브란''' [목차] == 개요 == [[세빌리아의 이발사]]로 유명한 [[조아키노 로시니]]의 오페라. '베네치아의 무어인'이라는 또 다른 제목도 존재하지만, 초연에는 [[오텔로]]라는 제목을 사용했기 때문인지 지금도 초연 당시의 제목을 그대로 표기하고 있다. 1816년에 초연했을 때는 [[루드비히 반 베토벤]]도 극찬했을 정도였다고 하지만, 지금은 후배인 [[주세페 베르디]]가 70년 뒤에 만든 오텔로 오페라에 밀려 거의 연주도, 언급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이 오페라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를 찾고 싶다면 이 사이트를 추천. [[https://brunch.co.kr/@jinaohmezzo/56|내가 베르디를 이길 상이오?]] == 베르디의 오텔로에게 가려진 이유들 == 로시니 버전이 베르디 버전에 밀리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제기된다. * 베르디 버전은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충실히 반영한 데 비해, 로시니의 오페라는 친티오 원작을 삼았고, 그 땜에 드라마성이 약하다는 것. * 베르디 버전은 이아고의 비중이 제 2의 주인공이라 생각될 정도로 아주 강하지만, 로시니 버전은 이아고의 사악한 면은 물론, 비중조차 거의 없어다는 점.[* 이 역시 셰익스피어 원작이 아닌, 친티오가 쓴 버전을 바탕으로 작곡해서 그렇다.] * 벨칸토 오페라의 원조답게(?) 멜리즈마가 많은 로시니의 음악 스타일이 비극과는 전혀 안 어울린다는 점. * 베르디 버전은 오텔로가 [[테너]][* 베르디 버전은 그냥 테너가 맡으면 안 된다. [[마리오 델 모나코]]같은 강한 목소리를 가진 드라마티코 테너가 맡아야 제대로 살아날 수 있는 배역이다.], 이아고가 바리톤 이라 한다면, 롯시니 버전은 오텔로와 로드리고, 그리고 이아고 세 캐릭터 모두 테너[* 특히, 로시니 버전 오텔로의 타이틀롤은 드라마티코 테너가 아닌 리릭 테너가 맡는다. 이는 원작 속의 오텔로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너무 안 어울린다는 평가가 많다.]한테 맡겨서 균일성의 조화가 약간 부족하다는 점. * 로시니 버전은 벨 칸토 오페라답게 음악이 너무 아름답지만, 너무 아름다움에만 치중해서 극의 흐름이 자칫 지루하다는 점. * 로시니 버전은 로드리고의 비중이 높아진 만큼 오텔로x데즈데모나x로드리고 이렇게 삼각관계로 흘러가는 내용인데, 이 점이 관객들의 공감을 못 얻었다는 점. 로시니를 좋아하는 이들의 주장으로는 베르디 버전이 훨씬 박력이 넘쳐서 밀렸다는 얘기도 있는데, 어느 정도는 사실이다. 그리고, 위의 주장들도 로시니 버전 오텔로가 [[공기]] 취급 받는데에 한 몫 한 것은 맞는다. 또, 롯시니의 오텔로 초연 당시 [[세빌리아의 이발사]]와 [[라 체네렌톨라]][* [[신데렐라]]를 원작으로 삼은 롯시니의 또 다른 [[오페라]]]가 공연되었는데, 이 두 작품이 워낙 [[넘사벽]]이 돼버리는 바람에 로시니의 오텔로는 저절로 극장과 관객들에게 잊혔다는 것이다. 어쨌거나, 극적 박력에서도, 셰익스피어 원작을 충실히 따라간다는 점에서도, 각 캐릭터 배역의 음역 선택에서도 베르디 오페라쪽이 더 우월하다는 의견이 절대다수. [[세빌리아의 이발사]], [[라 체네렌톨라]], [[오리 백작]]을 제외한 나머지 로시니 오페라와 마찬가지로 극장에서도 잘 공연하지 않은 레퍼토리이다.[* 물론, 베르디의 오텔로도 [[조반니 마르티넬리]], [[마리오 델 모나코]], [[존 빅커스]], [[플라시도 도밍고]], [[쥬세페 쟈코미니]]같은 테너들의 작고나 은퇴 또는 도밍고의 바리톤 전향 이후로 무대위에 잘 안 올려지게 되었다. 이유인즉슨, 현재 유럽 오페라계는 드라마티코 테너가 완전 동이 나버렸다는 것이다. 일명, 테너 기근(…).]